개원가에서 임상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보철, 치주, 교정 등에 관한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져 관심이 쏠렸다. (가칭)대한통합치과학회(회장 김기덕·이하 통합치과학회) 제8회 학술대회가 지난 15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은명대강당에서 개최됐다사진. ‘임상 trouble shooting’을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3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의원)은 ‘[Trouble shooting] 근관치료 실패의 원인 분석’을 주제로 근관치료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을 짚었다. 또 김신영 교수(서울성모병원 보존과)는 ‘[Troble shooting] Crack tooth;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Cracked tooth의 진단방법을 비롯해 치수와 치주 상태 평가, 치료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From the INCISION, Back to the SUTURE’를 주제로 발표한 박정철 교수(단국치대 치주과)는 이에 대한 임상 팁을 전달했으며, 김성태 교수(서울대치의학대학원 치주과)는 ‘Peri-implantitis 치료; 우리가 지금 잘하고 있는 걸까?’를 주제로 Peri-implantitis 치료의 한계점과 상황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짚
개원의들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턱관절 치료법을 비교·고찰하는 자리였다.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김용식·이하 교합학회) 2015 종합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양일간 서울아산병원 연구원 지하 대강당과 소강당에서 열렸다사진.‘다양한 TMD 치료의 허와 실! 그것이 알고 싶다’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약 6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특히 최근 관심이 부쩍 높아진 턱관절 치료에 관한 다양한 노하우가 전달돼 개원의들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평가다.학술대회 첫째 날에는 김희진 교수(연세치대)가 ‘안전한 시술을 위한 보톡스, 필러 해부학’을 주제로 강연했으며, ‘세상의 모든 splint 총정리’를 주제로 황재웅 원장(황재웅 치과)이 발표했다.또 송영균 교수(단국치대)를 비롯해 이두형 교수(경북대치전원), 서재민 교수(전북대치전원), 임현필 교수(전남대치전원)가 ▲교합개념의 역사적 흐름 ▲교합기 및 교합양식 ▲고정성보철을 위한 교합조정 ▲가철성보철을 위한 교합조정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해 젊은 치과의사들의 교합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특히 국외 연자로 Somsak Mitrirattanankul 교수가 참여해 ‘Update in assessme
서울대치과병원이 중국 치과의사들에게 선진 치의료 기술을 전수했다. 서울대치과병원(병원장 류인철)은 지난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중국 대련 지역 치과의사 13명을 대상으로 의료연수를 진행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수에서는 치과 영역 최신 지견과 선진 치의료 기술 전수뿐만 아니라 서울대치과병원의 첨단시설 및 특수진료센터 견학도 함께 진행했다.한 연수 참가자는 “한국에서 연수가 진행되는 동안 세심히 배려해 주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한국과 중국 간 더 많은 교류를 통해 배움을 나누고, 연자분들이 향후 중국에서도 강의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류인철 병원장은 “서울대치과병원은 해외 치의학자 연수를 시행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하고, 국제교류 증진을 통해 ‘세계적인 치과병원’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서울대치과병원은 지난 2014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주관한 페루 치과교수 초청 연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바 있다.
서울대치과병원 치의생명과학연구원 임상시험센터(센터장 이종호·이하 임상시험센터)가 ‘치과의료기기 아이디어 실용화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로 선정됐다.임상시험텐터는 지난 10월 6일 보건복지부의 2015년도 상반기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의료기기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에 ‘치과의료기기 아이디어 실용화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로 응모해 최종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이 과제의 최종 목표는 치과의료기기 아이디어 발굴과 수집, 정보를 제공하는 ‘토탈 솔루션 시스템’을 통해 의료기기 개발 지원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다.주요 연구내용은 ▲개방적 아이디어 수집 및 원천기술 발굴 시스템 구축 ▲특정 중점분야(치과의료기기 중 재료, 부품, 시술기구) 기반의 아이디어 수집 및 기술 발굴 시스템 구축 ▲임상현장 및 산업체 기반 치과의료기기 공동연구 시스템 구축 ▲치과 의료기기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이종호 임상시험센터장은 “이번 과제의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치과의료기기 아이디어 실현을 돕겠다. 특히 치과 재료 및 기구의 국산화율을 제고하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사회성 짙은 작품을 무대에 올려 관객들에게 생각 거리를 던져준 연극을 사랑하는 치과의사 모임 덴탈씨어터(회장 차가현)가 이번에는 최초의 페미니즘 희곡으로 평가받는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을 선택했다. 덴탈씨어터가 제18회 정기공연작 ‘인형의 집’을 오는 26일(목)부터 29일(일)까지(평일 8시, 토 5시, 일 3시) 대학로 연동교회 가나의 집 열림홀에서 공연한다.이에 앞서 덴탈씨어터는 지난 5일 서초구 치과의사회관에서 시파티와 함께 공연을 무사히 마치길 기원하는 고사를 지냈다 사진.이날 행사에는 이지나 치협 부회장과 권태호 서울지부 회장, 이성근 치협 문화복지 이사 등이 참석해 격려금을 전달했다. ‘인형의 집’은 아내나 어머니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아 허위와 위선뿐인 ‘인형의 집’을 떠나려는 ‘노라’에 관한 이야기다. 이번 공연에서는 박승구·차가현·박건배·이석우 원장과 박해란·유경내 씨가 배역을 맡아열연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 연출을 맡은 오종우 원장(여의도 맨션치과)은 “이 작품은 작가가 여성만을 위해 쓴 게 아니고, 어떻게 자아를 찾고 세상을 자기 생각 가지고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라며 “이 공연을 본
우리 치과에 꼭 맞는 직원을 선발하는 방법이 공개된다. 덴티스 유멤버스가 오는 15일(일) 오후 1시부터 덴티스 서울영업본부 세미나실에서 ‘좋은 직원 선발하는 스마트 채용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김소언 대표(덴탈위키컴퍼니)가 ‘우리 치과에 맞는 좋은 직원 선발하는 채용의 기술’을 주제로 ▲직원 채용의 중요성 ▲면접 기술의 종류 ▲면접 평가 프로세스 ▲우리 치과의 장·단점 및 직원의 역량 파악하기 등에 관해 강연한다. 또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치과 노무관리 핵심포인트’를 주제로 윤경수 노무사가 ▲노동법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 ▲연차·휴가 관리 ▲무단 결근 ▲퇴직금 중간정산 등 16가지 치과 노무관리 핵심 포인트를 발표한다. 문의: 02-919-8312(이서진)
한국치위생과학회(회장 한양금·이하 치위생과학회)가 치위생교육 50년을 돌아보고 미래 비전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치위생과학회는 지난 10월 18일 대전보건대학교 청운관에서 2015년 종합학술대회 및 전국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참여하는 학생논문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사진. 치위생과학회에 따르면, 약 130여명의 회원과 340명의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종합학술대회에서는 ‘치위생교육 50주년 한국치위생과학회의 역할’을 주제로 한양금 회장이 본 학회의 이전 활동과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해 이목을 끌었다.또 올해 처음 시작한 학술연구비 지원 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인 ‘한국 치위생연구 의제(Research Agenda) 발굴(책임연구자 연세대학교 김남희 교수)’과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표준화 방안(책임연구자 강릉원주대학교 신선정 교수)’ 중간결과 발표가 진행돼 치위생계 현안과 함께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라는 호평을 받았다. 한양금 회장은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한국 치위생교육이 50년을 맞는 시점에 우리 학회의 역할을 되짚어 보고, 100년을 향한 단계적 성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 회장인 김현철 일산 리빙웰치과병원 병원장이 지난 25년간의 임플란트 시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초부터 어드밴스까지 하악구치부 임플란트 시술을 총망라하는 ‘종합선물세트’ 강연을 마련했다. 연수회는 ‘All about Posterior Mandible: 하악구치부의 치료전략수립’을 주제로 오는 21일 서울 강남 섬유센터 컨퍼런스홀 2층 C룸에서 열린다.이번 연수회는 지난 9월 열린 ‘All about Posterior Maxilla:상악구치부의 치료전략수립’을 주제로 한 강연에 이은 것으로 지난 강연에는 140여명의 참가자가 몰려 많은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지난 강연회가 상악구치부 중심의 강연이었다면 이번 강연회는 하악구치부 임플란트 치료를 중심으로 기초부터 어드밴스까지의 실전 내용이 다뤄진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에 첫발을 내딛는 초심자는 물론 실전 시술에 확신이 서지 않는 개원의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연수회에서는 ‘수평적, 수직적 골 결손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Ridge Split technique ▲Ridge Expansion technique ▲Ridge Split Expansion technique ▲GBR에 대한 내용
일선 개원가에서 이뤄지고 있는 예방·관리 노하우를 공유하는 한편 향후 예방·관리 및 진단 분야가 나아갈 길을 조망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산하 예방치과연구회가 주관한 ‘2015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특별세미나’가 지난 10월 25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7층 강당에서 개최됐다사진.이날 세미나에는 강정희 부장(전주미소모아치과의원), 최명희 부장(이든치과의원), 김기형 원장(CK치과의원), 윤홍철 원장(베스트덴치과의원), 김의성 교수(연세대학교 보존과)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중국, 일본의 저명한 교수들이 연자로 초청돼 강연을 진행했다. 치과의사들에게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예방진료의 추세와 발전방향을 보여주고, 이에 어떤 준비과정을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에서 연자로 초청받아 오후 첫 순서로 강연한 Bakhtinur KHUDANOV 교수(Tashkent State Dental Institute)의 연구발표 내용이 흥미로웠다는 반응이다. 그는 강연을 통해 현재 국내에서도 ‘큐레이(Qray)’ 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연구·KNN 센텀신사옥 23층 후이즈강당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플라그형광검사(QLF)’ 기
㈜신흥이 오는 11월 22일(일) 서울 신흥연수센터에서 ‘인류학적 입장에서 조망한 데이몬 교합과 그 응용’을 주제로 이유현 원장(서울바른이치과) 초청 데이몬마스터코스 2차 심화과정 세미나를 연다.‘데이몬시스템을 이용한 교정적/악정형적 구강 및 안면재건술’을 주제로 지난 4월 열린 1차 심화과정은 데이몬 교합과 교정 진료에 대한 참가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모은 바 있다. 이유현 원장은 이번 2차 심화 과정을 통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데이몬 교합과 응용법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이 원장은 “현대인은 초기 인류와 다르지 않은 유전인자를 갖고 있는데 왜 그들과 다르게 좁은 상악궁과 하악왜소, 크라우딩이 생기는가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특히 이번 강연을 통해 데이몬 시스템이 추구하는 상악궁 발육과 완벽한 상악골 성장을 통해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할 것 ”이라고 밝혔다.강연은 ▲DAMON OCCLUSION TO THE ANTHROPOLOGICAL EYE : IN PURSUIT OF ANCESTRAL HEALTH ▲EPICENETIC APPROCH IN MODERN CROWDING : NON-EXTRACTION USING DAMON SYST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보철, 교정 진료 등에 관해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대한디지털치의학회(회장 전영찬) 2015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0월 25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의생명산업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렸다사진. ‘Back 2 the future’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약 3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이날 김진환 원장(원데이치과의원)은 ‘구강 스캐너의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아직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구강스캐너가 치과 임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치과 보철 과정의 질 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구강스캐너들이 출시되고 한계점이 극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권영대 교수(경희대치전원)는 ‘How we implant this DIGITAL technic in OMFS’를 주제로 “악교정 수술에서는 3차원적 영상을 통해 simulation surgery를 수행함으로써 그간 전통적인 2D cephalometry에 의존하던 기존기술에 일대개혁을 가져왔다”면서 “악안면부의 종양제거 수술 후 생기는 결손부의 재건을 위해 3차원 digital technic은 조직공학 기술과 함께 안면부 재건에 새로운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회장 최순호·이하 대공협) 제9회 학술보수교육이 오는 13일(금)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 코엑스 300호 세미나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보수교육에서는 최종훈 교수(연세치대)가 ‘연조직 질환’과 ‘악안면통증 및 보톡스’를 주제로 강연한다. 또 안기용 공보의가 ‘소아 공간 감리’를 주제로 발표하며 BioMTA에서 ‘Basic Endo Treatment and MTA filling’을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최순호 회장은 “대공협이 주최하는 학술대회의 경우 보수교육 점수가 인정되지 않아 아쉽지만, 이번 학술보수교육이 여러 공보의 선생님들에게 알찬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