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치의학회 한국회(이하 ICD)가 고지도를 통해 조선 초기의 문화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ICD는 ‘15세기 최고의 지도, 조선이 만들다’를 주제로 지난 4일 서울클럽 지리산홀에서 양보경 성신여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학술집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강연에서 양 교수는 지도는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상의 위치정보, 지상 및 지하, 각종 시설과 건물, 이동네트워크를 담는 본질적 그릇이라며, 지도가 가지는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조선의 문화적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소개했다. 이 지도는 1402년에 조선에서 만든 세계지도로, 우리나라 단독 지도 중 가장 오래된 지도이며, 당대 세계지도 중 가장 훌륭한 지도로 인정받고 있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지도임에도 유럽과 아프리카까지 표현돼 있어 당대 최고의 지리 정보를 보여줘 유럽인들도 놀라움을 표한다는 설명이다. 양 교수는 “이 지도는 동서문명의 교류를 보여주는 흔적이 담겨있는 귀중한 세계적 문화 유산”이라며 “다만 유감스럽게도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하지 않고 일본에만 4종의 사본이 소장돼 있어 국내에서 연구와 소개가 잘 돼 있지 않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아울러 ICD는 이달 27~29일
함기화된 상악동 내부에 치근이 위치한 어금니에서도 효과적인 비발치 교정치료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악동이 커지면서 아래로 내려오는 현상을 상악동 함기화라 한다. 국윤아 교수(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연구팀은 환자 35명을 상악동이 함기화 된 그룹 20명과 그렇지 않은 그룹 15명으로 나눠 비발치 교정치료로 상악 전치열 후방이동을 진행한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 정식 게재에 앞서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구에 따르면, 상악동 함기화 그룹에서 상악 제1대구치가 후방으로 4.3mm 이동했고, 1.4mm 함입이 일어났고, 비함기화 그룹에서는 3.5mm 후방이동과 2.5mm 함입이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두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함기화 된 상악동 내부에 치근이 위치한 치아도 비발치 교정치료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총 교정치료 기간은 상악동 함기화 그룹에서는 2.2년, 그렇지 않은 그룹에서는 1.9년으로 다소 차이가 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면을 발전시켜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의 새 도약을 이루겠습니다.” 이난영 교수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신임 병원장에 취임했다. 이 병원장은 외연과 내연을 재정비해, 조선치대병원의 기틀을 더욱더 굳건히 다지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 병원장은 지난 1993년 조선치대를 졸업하고 1997년 동 대학에서 소아치과학 석사, 2001년 원광치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조선치대 부임 후 학생부장, 교육부장, 임상치의학과장, 소아치과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이 밖에도 현재 대한소아치과학회 부회장, 대한치과병원협회 부회장직을 겸임하며 내·외부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중이다. 이번 취임에 따라 이 병원장은 향후 2년간 조선치대병원의 대소사를 관장하게 됐다. 특히 이 병원장은 조선치대병원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한층 더 선진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오는 2024년 시설 증축 공사를 확정 지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노후화한 EMR(전자의무기록), OCS(처방전달시스템),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등을 재개발해, 실무 효율을 제고하겠다는 복안이다. 더불어 조선치대병원이 참여해 온 부품산업, 의료관광사업 등 여러 국책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온정의 손길이 코로나19를 뚫고 다시금 이어지고 있다. 건강사회운동본부(이하 건사운동본부)는 지난 2일 인천 외국인 노동자 지원센터에서 의료혜택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소득 소외 계층 및 다문화 가정, 이주근로자를 위한 이동 진료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동 진료는 3년 만에 재기한 방문 진료 사업으로 그 의미가 더욱더 크다. 본래 2011년부터 9년간 지속한 해당 사업은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불가피하게 ‘방역물품 지원 사업’으로 대체해 운영돼왔다. 특히 이번 이동 진료에는 치협, 대한간호조무사협회를 통한 의료봉사팀이 참여했으며 치과 45건, 한방과 47건, 기본 검사(혈압·혈당 체크) 133건 등 총 85명을 대상으로 225건의 진료를 펼치는 등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또 건강관리법 및 개별 맞춤 건강 상담이 진행돼 수혜자들의 만족도를 끌어냈으며 ‘2022년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지원 사업’의 하나로 수혜자 전원에게 지속적인 구강 건강관리를 위한 ‘구강 위생용품’을 지급하기도 했다. 건강사회운동본부는 “2023년에는 일상생활로 점차 복귀해 정기적인 의료봉사와 더불어 문화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한 꾸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11개 치과대학장의 의견을 한데 모아, 팬데믹 이후 급변하는 치의학 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최근 한국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한치협) 제16대 이사장으로 선임된 정종혁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학장이 밝힌 포부다. 한치협은 치의학교육 개선과 국제교류 등을 진척시키기 위해 11개 치과대학 및 치전원이 모인 법인단체다. 지난 1988년 학장협의회로 시작, 2005년 한치협으로 명칭이 변경됐고, 2016년 12월에는 지금의 (사)한국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협회로 법인화됐다. 정종혁 신임 이사장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이나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치평원) 사업들이 치과대학 교육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치협에서 11개 치과대학의 의견을 한데 모아 이들 기관에 전달해, 더 나은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 이사장은 “지난해부터 실시된 국가고시 실기시험에 따른 교육과정의 문제, 교육 개선을 위한 교수개발 프로그램 등의 학술 활동 강화, 기초치의학자 양성을 위한 제도 마련, 치과대학 임상실습 여건 등에 관심을 갖고, 제반 환경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덧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이하 경북치대) 재경동창회가 푸른 잔디 위에서 화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경북치대 재경동창회는 지난 6일 충주 킹스데일GC에서 ‘2022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재경동창회 골프대회’를 개최하고 동문 간 화합 및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경북치대 재경동창회 동문 외에도 박태근 협회장, 전성원 경기지부 부회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경북치대 재경동창회 골프대회는 코로나19가 절정이었던 2020년을 제외하고 그간 꾸준히 열린 화합의 장이다. 재경동창회 측은 특히 2021년 대회부터 36홀 팀을 새로 추가하는 등 골프를 즐기는 이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대회 신페리오 우승은 류항아 동문(성남)이, 최저타 우승은 허남훈(부천) 동문이 차지했다. 이 밖에 이번 행사에서는 경품 제공 및 선물 증정과 함께 회원 간 친목을 다지는 뜻깊은 시간도 제공됐다. 김민희 재경동창회장은 “재경동창회에서 진행하는 골프대회는 코로나 시기에도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후배 간의 친목을 돈독히 할 수 있어 동창회의 구심점이 되고 있는 뜻깊은 행사”라며 “준비과정부터 행사 종일 서로 배려하면서 크게 웃을 수 있
3차원 CBCT를 인공지능을 활용해 분석하는 기술의 우수성이 검증돼 향후 활용도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안장훈 교수(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치과교정과)가 3차원 CBCT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검증한 논문이 유수 저널에 실렸다. ‘Automate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BCT image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that combines facial profile processing and multiple deep-learning models’란 제목의 해당 논문이 2022년도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Cite score: 9.7, IF: 7.027)에 등재됐다. 안장훈 교수의 3차원 CBCT 영상을 분석하는 임상적 개념을 바탕으로 윤종헌 한양대학교 교수팀이 Mask-RCNN과 Deep learning algorithms을 이용해 일명 ‘AICiTi program’이라는 AI 분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2명의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1명의 통합치의학과 전문의가 In Vivo den
서울대치과병원 노사 양측이 공정하고 투명한 병원 문화 조성을 위해 힘쓰기로 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감사실 주관으로 ‘노사공동 이해충돌방지 실천서약식’을 지난 6일 개최했다. 노사 대표가 참여한 이번 서약식은 지난 5월 ‘이해충돌방지법 시행’에 따른 고위직의 윤리경영 및 반부패·청렴 실천 의지를 대내·외로 표명하고, 공정하고 청렴한 병원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서약은 직무수행과 관련해 ▲사적 이해관계 없이 공정한 직무 수행 ▲직무관련자 우대 또는 차별금지 ▲이해관계 충돌 시 직무수행 회피 ▲직무수행 관련 사적이익 추구 금지 등 네 가지 실천 사항을 담았다. 병원 직원이 사적 이해관계로 공정하고 청렴한 직무수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업무상 이해충돌 사안을 효과적이고 사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다. 구 영 병원장은 “최근 윤리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청렴문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이번 서약식은 서울대치과병원이 공공의료기관 최초로 선포한 ESG 경영의 핵심가치를 실현하는 데 의미있는 행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대치과병원은 이번 서약식을 시작으로 지난 10월 14일까지 ‘2022년 SNUDH 청렴주간’으로 지정해 전 직원 대상으로 청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이하 경희치대)이 기초치의학자 양성을 위해 신임 교수진을 임명했다. 경희치대는 송우철 교수와 곽규환 교수를 지난 9월부로 신임교원으로 임용했다고 최근 밝혔다. 송우철 교수는 구강해부학교실 교수로 활동하게 된다. 송 교수는 건국대학교 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해부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지난 2007년 3월부터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 조교수·부교수·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곽규환 교수는 구강미생물학교실 조교수로 임용됐다. 곽 교수는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DMD/PhD 과정을 이수해 박사학위를 받았고, 지난 2019년부터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해왔다. 아울러 노관태 경희치대 치과보철학교실 교수도 지난 9월부로 부교수에서 교수로 승진·재임용 됐다.
박규태 원장(Dr.Park 고은치과의원)은 ‘음악하는’ 치과의사다. 그가 직접 작사‧작곡한 뒤 앨범으로 제작해 음원으로 내놓은 곡만 무려 24곡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자신을 ‘아마추어’라고 칭한다. 자신은 그저 “음악을 좋아하는 ‘치과의사’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만큼 음악을 대하는 그의 태도는 진지하다. 박 원장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에 갓 입학한 새내기 시절, 학내 밴드 동아리 ‘Molars’에 가입하며 난생처음 음악을 접했다. 이를 계기로 그는 순식간에 음악의 세계에 매료됐고 황금 같은 대학교 1학년 첫 방학을 피아노 레슨을 받는 데 투자하기까지 했다. 그렇게 시작된 박 원장의 음악 인생. 오늘날 그에게 음악은 떼놓을 수 없는 삶의 일부가 되었지만, 한때는 그 음악을 손에서 내려놓기도 했다. 한 사람의 어엿한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서였다. 그랬던 그가 음악의 세계로 되돌아온 것은 대학을 졸업하고 10여 년이 훌쩍 지난 뒤인 지난 2006년 치과의사 밴드 ‘Xylitol’에서 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다. 이때 그는 세계적 기타리스트이자 정신적 지주인 하타 슈지(Shuji Hata)와 인연을 맺었다. 이것이 계기가 돼, 현재는 그의 활동명이 된 ‘카디작(C
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팀의 논문 ‘An Overlay Arch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Transverse Discrepancies’이 미국치과임상교정학회지(Journal of Clinical Orthodontics·이하 JCO) 2022년 8월호 표지로 선정됐다. 이번 논문에서는 최병택 박사와 최호재 원장(애리조나치대 교정과 졸업) 등이 저자로 참여했다. JCO는 교정학회지 중 인기가 높은 임상치과 교정학술지로, 박재현 교수팀의 논문은 5번째로 JCO 표지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박재현 교수는 “다양한 연구 활동이 좋은 저널들을 통해 인정받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해 연구에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박 교수는 Citation Index가 가장 높은 AJO-DO의 Deputy Editor와 전 미주 EHASO의 Central Body Director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24년도에 전 미주 미국교정전문의협회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회장으로 취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