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부 심미보철을 위한 임상사진 촬영 시 꼭 필요한 최신 정보들을 정리한 신서가 나왔다. 김경헌 원장이 저술한 ‘Tooth Color Communication’을 대한나래출판사가 펴냈다. 이 책은 저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들을 바탕으로 전치부 심미보철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지식을 정리했다. 전치부의 특징, 보철에 사용하는 재료, 디지털카메라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촬영법과 촬영에 필요한 지식, 도구 그리고 치과기공소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요령까지 꼭 필요한 최신 지식들을 이 책 한 권에 담았다. 책의 주요목차는 ▲Tooth color and shape ▲임상 가치가 높은 사진 촬영 방법 ▲Shade guide ▲치아색을 결정하는 4요소 ▲스마트폰을 활용한 치과 임상 사진 촬영 ▲디지털카메라를 활용한 치과 임상 사진 촬영 ▲Tooth color(One restoration) ▲Width/Length ratio(Two restorations) ▲Golden proportions(Four restorations) 등이다. 저자는 “스스로의 직업을 즐길 수 있는 취미가 되게 하려면 합당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치과 보철 진료는 ‘the art of work
틀니치료와 관련 진단부터 완성까지 직접 해 보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틀니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는 신서가 나왔다. 김경헌 원장이 저술한 ‘틀니 임상, 감에서 과학으로! Active Functional Impression’을 대한나래출판사가 펴냈다. 저자는 틀니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는 해법을 Treatment denture와 Duplicating denture에서 찾았다. Treatment denture는 Temporary denture 범주를 넘어 완성 틀니로 가는 중간단계이다. 완성도가 높은 Treatment denture는 교합조정과 Relining 과정을 거쳐 완성 틀니로 마무리되거나, Wax denture를 제작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환자가 그동안 사용하던 Treatment denture를 치과기공소에 보냈을 때는 그 공백 기간에 정상적인 식사와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Duplicating denture가 필요하다. 저자는 인상 채득에서부터 각 진료단계별 틀니 제작과정을 환자의 다양한 상태별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책의 주요목차는 ▲Facebow Transfer가 필요한 증례 ▲악기능장애가 있는 증례 ▲완성 틀니 장착 후 하악 틀니에서만 통증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어규식·이하 측두하악장애학회)가 최근 한의계의 턱관절 장애 진료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책을 모색키로 했다. 측두하악장애학회는 지난 19일 집행부 초도이사회를 온라인 방식으로 열고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초도이사회에는 우선 학회지 KCI 등재를 위한 전략을 구상했으며, 이어 최근 한방에서 턱관절 장애 관련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을 발표한 것과 관련 학회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한의계에서 턱관절 장애 진료에 대해 최근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측두하악장애학회 차원에서도 근거 중심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측두하악장애학회는 지난 5월 31일 열린 온라인 정기총회에서 어규식 교수(경희치대 구강내과)가 제18대 회장으로 취임한 바 있다.
초보자도 즉시 임상적용을 할 수 있도록 턱관절장애의 진단 및 치료를 마스터 하는 것을 지향하는 온라인 연수회가 많은 임상가들의 참여 속에서 성료됐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주최하고 아시아턱관절학회, 국제치과문화교류협회, (사)대한턱관절협회, 정 훈 턱관절연구소가 후원한 ‘아시아턱관절포럼 제20기 연수회 및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턱관절포럼 제20기 연수회’(이하 연수회)가 지난 10일 비대면 줌 강연 방식으로 진행됐다. ‘턱관절치료, 우리병원에서도 할 수 있다’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연수회에는 총 151명이 등록했으며, 정 훈 턱관절 Clinic 임상참관이 모집 초기부터 선착순 등록 마감되는 등 참여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킨 가운데 진행됐다. 아시아턱관절포럼은 아시아턱관절학회(www.asiantmj.org 이사장 정 훈)에서 2년에 한 번씩 대한민국, 일본, 중국, 필리핀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와 함께 연수회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며, 국내에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주최로 턱관절포럼을 1년에 1∼2회 열고 있다. 10일 진행된 이번 온라인 강연회에서는 김영균 교수가 ‘턱관절 장애의 각종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한 최신진단법’, 이상화 교수가 ‘턱관절장애 치료의 약물치료
덴티움(대표 강희택) ‘월요 세미나’에서 Bright Implant 등 자사 제품을 활용한 임상 노하우가 공개돼 개원의 사이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덴티움은 코로나19 시대에 맞춰 다양한 온라인 세미나를 운영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매주 월요일 온라인 세미나 ‘먼데, 이 세미나?!’를 제공한다. 이는 장기 유지 임상 데이터를 보유한 덴티움의 제품들을 많은 임상의들이 선호해 다양한 연자들이 수준 높은 세미나를 시청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온라인 세미나는 매주 월요일 오후 7시부터 약 1시간 동안 진행되고 있다. 지난 7월 12일에는 현영근 원장의 ‘bright implant Tissue level 이용한 Flapless 수술 쉽고 안전하게 하기 Part.1’이, 19일에는 Part2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이날 현영근 원장은 “Guide Pin을 통해 식립 부위의 치조골을 Pin으로 형상화해 얻어지는 정보를 기반으로 Flapless 수술을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진행했다”고 전한데 이어 ‘bright Implant’의 장점에 대해 설명했다. bright Implant는 덴티움의 Smart Technique이 집약된 임플란트로, 우수한 초기 안정성과 보
디지털 수술 가이드 제작부터 임상적용까지 알기 쉽게 설명한 케이스북이 나왔다. 김용서 원장(즐거운치과)이 이 같은 내용의 저서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을 최근 출간했다. 김 원장은 이 책에서 수술 가이드 제작을 위해 필요한 CBCT와 구강스캐너, 마커의 활용, 데이터 정합 등에 관해 많은 지면을 할애했고, 임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술 가이드를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특히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과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 무치악 및 다수 치아 결손 케이스, 원바디 임플란트 및 tissue level, external type implant 식립, narrow와 wide implant 식립에 관한 내용도 담겼다.
대한심미치과학회(회장 이동환‧이하 심미학회)가 지난 6월 23일~29일간 열린 온라인 춘계학술대회(학술대회장 김종화)를 성황리에 마쳤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450여 명이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2시간 이상 수강 인원이 96%에 달할 만큼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심미수혈’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White Esthetics’를 주로 다루는 기존의 심미치과 영역을 벗어나, 자연스러운 치아 심미의 바탕이 되는 치주적 지지구조(Periodontal Support)의 평가 및 유지, 회복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연자는 창동욱 원장(원치과), 조인우 교수(단국대 치주과), 김현종 원장(가야치과병원), 이정삼 원장(웃는하루치과)이 나섰다. 각 연자는 술기 외에도 결과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을 펼쳐, 눈길을 사로잡았다. 창동욱 원장은 ‘심미수복을 위한 첫걸음, 치조제 보존술’을 주제로 발치 상황별 적절한 치조제 보존술을 상세히 다뤘다. 이어 조인우 교수는 ‘Vertical Paradox’를 통해 수직 절개(Vertical incision)를 피하면서 수평적, 수직적 골 증대술을 펼치는 술기를 고찰했다
‘행복한 인재 만들기’를 슬로건으로 하는 치과 경영연구 모임 ‘위더스’가 지난 6월 30일 줌을 통해 미니세미나를 진행하며 회원 치과 간 의미 있는 시간을 나눴다. 위더스 그룹은 ‘행복한 인재 만들기’라는 슬로건 아래 원장과 스텝이 함께 발전하는 모델을 만들고 수입 향상 뿐 아니라 바람직한 치과 문화를 만들어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모임으로 현재 인천의 박선희치과, 알프스치과. 용치과, 정원치과 4곳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올해 2회 미니세미나에서는 먼저 정원치과에서 조민지 부팀장이 ‘구강스캔을 통한 디지털 스캔’을 주제로 트리오스 스캐너의 업데이트로 향상된 스캔의 다양한 팁을 공유했다. 또 박선희치과의 전지은 팀장이 ‘Park's Turning Point’를 주제로 덴트웹 강의를 통해 데스크, 진료실, 기공물, 예약, 상담 등 많은 부분이 향상된 점을 보여줬으며, 블로그와 인스타 관리팁도 공유했다. 용치과에서는 박령지 스텝이 ‘여보세요 용치과야’라는 주제로 리콜 업무를 맡게 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 하루 40명의 전화와 5명의 리콜예약을 진행하며 리콜의 소중함과 환자배려의 중심에 리콜이 있다는 것을 발표했다. 끝으로 알프스치과의 김하은 스텝이 ‘저년차
Serafin The First 세미나가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는 티에네스의 디지털 투명교정 시스템 세라핀의 오프라인 세미나 ‘Serafin The First’ 전국투어 세미나가 개최된다. 8월 21일 부산을 시작으로 9월 4일 제주, 10월 2일 대구, 10월 23일 광주, 10월 24일 대전에서 열린다. 장원건 원장(치과마일스톤즈)과 박철완 원장(보스턴완치과)이 연자로 나서고 주제는 ‘Serafin System 소개 및 특장점’, ‘Serafin 사용법 및 임상가이드’다. Serafin The First 세미나는 세라핀 교정의 임상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세라핀을 소개하고 사용법을 안내하는 등 가이드를 제시한다. 세라핀을 처음 접하는 치과, 개원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의료기기 2등급인 세라핀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명교정 치료를 위한 치료계획 수립부터 장치 제작 및 배송까지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세라핀 전문 임상의를 통한 치료계획자문이 가능하다. Serafin The First 세미나는 티에네스 홈페이지 www.tnsmile.kr을 통해 사전등록 할 수 있다. 세라핀은 www.serafinvip.com 가입 후
오스템임플란트(대표이사 엄태관)가 7월 말 서울 PROSTHETICS MASTER COURSE를 개강한다. 오는 7월 24일부터 10월 3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오스템 마곡 연수센터에서 진행되는 이번 코스에서는 박종현 원장(서산두리치과의원)이 디렉터로 나서 임플란트 보철 과정에 대해 심도 있는 강의를 공유한다. 이번 강의는 ▲Top down Prosthetic plan ▲구치부 임플란트 보철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보철물의 제작 및 접착 ▲Full mouth rehabilitation ▲소수 Implant를 활용한 가철성 보철 등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 보철계획부터 디자인, 식립, 보철까지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준비했다. 다양한 KIT를 활용한 실습 기회를 마련한 것도 장점이다. Prosthetics KIT를 활용해 다양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체결해 볼 수 있으며, OneGuide KIT를 활용해 임플란트 진단부터 식립 계획, 식립 실습까지 해볼 수 있다. 또 OverDenture KIT를 활용해 소수 임플란트 활용 가철성 보철까지 경험해 볼 수 있어 임상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디렉터인 박
덴탈빈(대표 박성원)이 총 10회에 걸쳐 진행한 덴탈빈 레드코스가 최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 3월 13일부터 7월 4일까지 덴탈빈 디지털교육원에서 진행한 이번 코스에서는 다년간의 임상경험과 다수의 임상 증례를 보유한 조용석·김세웅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이 연자로 나섰다. 열정적인 강연으로 잘 알려진 두 연자는 임플란트 수술과 보철에 있어 정석적인 기준과 임상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는 ‘임플란트 임상 멘토’로서의 내공을 빈틈없이 전수하며 호평을 받았다. 조용석 원장의 수술파트에서는 기본적인 ▲Bone evaluation을 시작으로 ▲Drilling hands-on with bone density ▲Surgical Guideline of implant ▲Suture Technique 내용을 전했으며, 김세웅 원장의 보철 파트에서는 ▲임플란트 보철을 위한 인상채득 과정의 이해부터 ▲Customized abutment 선택 기준 ▲보철물 제작을 위한 임상적인 Guideline까지 세부적인 내용을 공유했다. 한 세미나 연수생은 “현재 치과에서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고, 향후 개원 시 임플란트 보철 프로세스 설정에 이번 강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