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면허번호 38 나와 치의병과<3>육군군의학교

한국치의학발전(韓國齒醫學發展)과 육군치무병과(陸軍齒務兵科)

1927 경기도 용인 출생
1949 서울치대 3회 졸업
1969 예비역 치의 대령
        대한치과의사협회 감사
1974 대한치과의사협회 총무
1980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1967 대한구강보건협회 부회장 감사 고문
1967 대한치과기재학회 3-5대 회장 고문
1978 인공치아이식임플란트학회 초대 2대회장
1979 국제치의학사회 I.C.D. 평생회원
1982 서울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 부회장
                                                                               1982 전주류씨 전양부원군 종중 회장

                                                                               현) 종로구치과의사회 지도위원장
                                                                                    유 양 석 치과의원장 

                                                                               상훈 : 보국훈장 협회대상 서울치대동문상 수상 

 

 

6.25후반기인 1952년 1월 부산 동래에 있던 육군군의학교에 입교하여 초등군사반 교육을 받음으로써 나의 군대생활은 시작되었다. 1개 중대가 한 반인데, 중대원은 일반군의관과 치과군의관 그리고 약대 출신 약제관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병과구별 없이 중위로 임관된 상태에서 후보생 생활로 같은 교육 훈련을 8주 동안 받았다.


군의학교에는 의무병과 육군 준장(准將)이 교장이었으며 그는 키가 작지만 다부진 체격으로 강단이 있어 보이며 계급의 위엄을 지키고 있었다. 그는 만군 출신으로 국방부 병무국장을 끝으로 퇴역한 박(朴) 장군이었다. 그 밑에 키가 크고 체격이 오히려 그가 장군감인데도 육군 대령(大領)인 치과군의관이 부교장(副校長)으로 있었다. 그는 한국군 최초의 치과군의관 김영희(金永熙) 대령이었지만, 차 순위 계급이고 병력을 생각할 때, 병과에 대한 차별이나 불평등은 느끼지 못하였고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보병8사단
군의학교 졸업 후 전방 보병 8사단에 배치되어 사단 의무참모에게 부임신고를 하니 그는 최(崔) 중령인데 나이가 좀 들어 보이는 사람이 엄격하게 신고를 받으려 하면서 군기를 잡으려 하였다. 뭔가 벼르고 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하였으며, 당시 새로 부임한 신출내기 군의관은 병과 구별 없이 일반 군의관은 물론 치과 군의관까지도 무조건 최전방 대대 지대 구호소로 배치하는 판에 잘 되었다 싶어, 나를 지대로 배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 의무참모는 나를 사단 인사참모에게 신고 시키려는 순간 그의 뜻이 좌절되었다. 그의 안내로 신고하려던 순간 그 인사참모는 바로 생각지도 않은 나의 중학교 동기동창인 최(崔) 중령(후일 육사교장 최우근(崔宇根) 중장)이었으며, 그는 나를 반겨 맞이하면서 근처에 인사 배치토록 명하니, 그 의무참모는 무색해지고 나는 최전방 지대배치를 면하였고 인사 원칙에 따라 사단 의무중대 치과에 배치되었다. 그래서 나는 나의 직책과 능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었으며 나는 역량 껏 일할 수 있었다.


그런데 당시 사단 의무참모는 대학을 나오지 않은 검정 출신 의사가 의무참모인 데 반해 같은 계급의 또 한 사람의 중령은 일본 치과대학을 나왔으며 선임자임에도 불구하고 치과 군의관이라 그 밑에 보좌관으로 있는 것이었다. 그는 내가 잘 알던 분으로 재학시절 치과대학 병원에 근무하던 분이었으니,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는 일찍이 군에 입대하여 대령으로 진급하고도 남는 분이었는데도 치과군의관은 진급할 자리가 없고 보직 처가 없어서 여기에 와서 그야말로 썩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니 의무참모와의 갈등과 알력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영향은 나에게 미칠 판이었다.


나는 그분을 설득하여 타 병과로 전과해서라도 진급할 길을 찾으라고 권하니, 그는 결국 화생방(化生放) 교육을 받고 화학병과로 전과하여 진급도 되고 차감까지 승진도 하였다.


여기서 군의병과와 치의병과의 차별과 갈등을 절실히 느꼈다. 군의병과는 수가 많고 범위가 넓어서 여유를 부리는데 치의병과는 수가 적고 좁아서, 계급이 선임이고 자격을 갖추었어도 괄시를 받고 있으니 이해가 안 되었다.


군의병과와 치의병과는 상호 협력하고 협조하여 공존함으로써 상호발전을 해야 하는데, 대립이나 대항하는 관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였다.


나는 입대 전에 미국 CAC 의료반에 근무하여, 전시(戰時)이기 때문에 치과 진료보다는 오히려 피난민 응급환자들의 외과 진료뿐만 아니라 내과 진료까지도 도와가며, 부족한 일반의들의 하는 일을 도왔다.


치과의사는 일반의사의 일을 대신할 수 있어도 일반의사는 치과의사의 일을 대신할 수 없다. 나는 미군 야전 의무시설과 치과 시설도 견학할 기회가 있었기에, 입대 전의 경험을 살려 그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하면 되므로 일에 자신감을 가지고 열심히 일할 수 있었다.


최전방 야전에서 근무할 당시, 후방은 암흑시대로 전기도 안 들어오고 약품 재료가 없어서 제대로 진료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비록 야전 천막 시설이었지만 가능한 최대한의 환경을 갖추고, 미 10군단 의무참모에게 말하여 발전기를 신청하였다.


그래서 발로 밟는 소위 ‘foot engine’으로 진료하던 시절에 나는 전기조명과 전동력을 이용하여 진료하였으며, 미군 야전 장비 세트 내에는 금(金)을 위시하여 도치(陶齒)며 각종 치과 재료가 있었고, 학교에서는 물론 생전 처음 보는 원심주조기와 아세틸렌 화염까지 갖춘 최신장비가 있었으니, 영문 설명서를 사전을 뒤져가며 사용법을 익혀 사용하느라 힘들었지만, 신기하기도 하였다.


환자를 색출하여 열심히 일하니, 소문은 군단사령부까지 알려져 군단장(軍團長)이 치과 치료를 받으러 오게까지 되었다.


군단장이 치료를 받으러 오니, 사단은 비상이 걸리고 헬기를 타고 사단사령부에 내린 군단장은 헌병백차의 호위를 받으며 나의 치과 진료 천막을 찾으니, 의무참모는 몸 둘 곳을 몰라 쩔쩔 매며 안내하기에 바쁘고 나는 점잖게 내 자리를 지키니, 상상에 맡기겠다. 그 뒤로의 의무참모가 나에게 대하는 태도는 180도로 달라져 나의 동정만 살피는 듯하였고, 나는 그의 생각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었다.


전시에 최전방 야전에서 금(金)을 사용하여 치과 보철을 해주니 내가 생각해도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 군단장은 바로 정일권 대장(大將)이었으며, 후일의 참모총장과 국무총리다. 그에게 야전에서 금 인레이(inlay)와 크라운을 해 주었으며, 14년 후인 1967년에는 수도육군병원에서 다시 한국최초(韓國最初)로 내가 직접 일본에 가서 연수과정을 거쳐서 도입된 포세레인 금관으로 바꾸어 보철해 주었다.


그 당시 나는 정일권 국무총리에게 수도육군병원 앞 중학천(中學川)을 복개해 줄 것을 건의하여 지금의 국립중앙미술관 앞과 삼청터널 길을 깨끗이 포장하게 된 것을, 치과 치료의 대가로 시민에게 바친 것을 지금도 자랑스럽고 보람 있고 흐뭇하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