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국제 구강건강 현황 보고서(Global oral health status report)

정회인 칼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2년 5월 구강건강에 대한 국제 전략(global strategy on oral health)을 발표하며 구강건강에 대해 “입, 치아, 구강안면부의 상태로서 식사, 호흡, 말하기 등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감과 안녕을 가지고 통증, 불편, 당혹감 없이 사회생활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1)

 

이 정의는 2016년 세계치과의사연맹(World Dental Federation, FDI)이 구강건강을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말하고, 미소 짓고, 냄새 맡고, 맛을 보고, 접촉하고, 씹고, 삼키고, 자신감을 가지고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으면서 악안면영역에 통증, 불편함, 질병이 없는 상태”로 새롭게 정의하여 구강건강이 전통적으로 질병이 없는 상태(absence of disease)로 규정되었던 것에 비해 질병 상태 뿐 아니라 생리적 기능 및 심리사회적 기능을 포함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강건강이 다면성을 지니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세계치과의사연맹은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이유로서 구강건강이 오랫동안 전신 건강과 웰빙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구강건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치과계 내부는 물론 환자, 다른 의료전문가, 정책결정자와 같은 치과계의 이해관계자들이 합의하고 있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건강한 구강을 갖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에 해당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구강 건강이 전반적인 정책에 고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2) 세계보건기구는 이러한 구강건강에 대한 국제 전략과 현황 보고서를 2022년에 연이어 발간하였다.3) 본 칼럼에서는 국제 구강건강 현황 보고서의 내용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보고서는 네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구강질환의 예방 가능성과 구강질환이 미치는 영향, 구강질환의 위험요인과 구강건강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구강보건문제가 전체 국제보건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유치 및 영구치 우식, 심한 치주 질환, 무치악, 구강암과 그 외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구강질환 및 상태에 대해 가용할 수 있는 최신의 자료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보건의료시스템과 관련된 중요한 과제와 기회에 대해서 분석한다. 구강보건의료인력, 구강건강에 대한 정보통신기술(ICT)의 적용, 오래되었지만 다시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일차구강의료가 주요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 섹션에서는 본 보고서가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제적인 과정(process)의 일환이라는 것과, 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 것이 단지 개인적으로 성취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진 보다 보편적인 목표를 향한 개발 및 진보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설명한다.

 

이 보고서는 주요 구강질환에 대해서 최신 자료를 이용해서 전 세계적인 현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전 세계 구강건강 현황을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구강질환 및 건강에 대한 데이터와 정보 모니터링 및 조사 시스템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점이 반복해서 강조된다. 보고서의 결론은 현재 가용한 자료만으로도 구강건강이 전 세계적으로 좋지 않은 수준이라는 것은 명백하게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새롭지 않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한계와 의의에 대해서 본 보고서의 목적이 현재 간과되고 있는 구강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활발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작성된 것이며, 명쾌한 정책 권고안(recommendations)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고 기술하였다.

 

2021년 세계보건총회 결의문(WHA74.5), 세계보건기구 구강건강 글로벌 전략(WHA75/10 Add.1) 등과 함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여러 도구 및 과정의 하나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구강건강 현황과 구강질환의 부담(burden of oral disease)을 구강질환에 특화된 지표인 우식경험영구치지수(Decayed-missing-filled-teeth, DMFT), 지역사회치주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등이 아닌 장애보정생존연수(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와 같이 국제보건에서 사용하는 지표(global health metric)를 사용했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이에 대해서 보고서는 통일성 있는 국제보건의 언어(unified global public health language)를 사용하여 질병부담과 과제를 표현하는 것이 통합을 촉진하는 데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다양한 측면을 가진 구강건강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국제보건에서 널리 통용되는 언어를 통하여 우리나라 치과계가 세계 구강보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1) A75/10 Add.1. Draft global strategy on oral health. In: Seventy-fifth World Health Assembly, Geneva, 22-28 May 2022. Provisional agenda item 14.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2) Glick M, Williams DM, Kleinman DV, Vujicic M, Watt RG, Weyant RJ. A new definition for oral health developed by the FDI World Dental Federation opens the door to a universal definition of oral health. J Am Dent Assoc. 2016 Dec;147(12):915-917.

3) Global oral health status report: towards universal health coverage for oral health by 203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