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7℃
  • 구름조금강릉 17.2℃
  • 맑음서울 20.0℃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3.8℃
  • 맑음광주 20.7℃
  • 맑음부산 21.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8.1℃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24.3℃
  • 맑음거제 19.3℃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찌개를 데우며

Editor's Pic

이제 막 끓여 낸 찌개는 맛있다.

다른 반찬도 필요 없고,

끓여내는 솜씨도 상관이 없다.

재료가 각기 따로 씹혀도 맛이 좋다.

타고난 절대 똥손만 아니라면 실패할 확률이 거의 없다.

 

한나절의 시간이 흐른 후 다시 데워진 찌개,

숨이 죽어 맛이 섞인 그릇에는

처음처럼 숟가락을 가져가기 망설여진다.

 

맛없다고 쉽게 버릴 수 없는 것이 음식이다.

물과 다른 식재료를 조금 더 넣고 끓여본다.

처음의 향긋함으로 가득 채워지진 않았지만,

걸쭉함 속에 작은 변화가 맛을 살려낸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재미는 처음 시작할 때 평균 이상이 대부분이다.

기대와 호기심이라는 양념이 두근거림을 일으키고,

열정은 풍미를 더한다.

 

시간이 흘러,

익숙함과 일상적임이 눌어붙어 맛을 잃어가는 냄비에는

원숙함과 전문적임을 조금 담아보자.

처음 시작보다야 못하겠지만,

받아들임에 주저함이 덜어질 것이고

이해함에 좀 더 쉽게 도달할 것이다.

추가로 그리움 한 수저와 추억 반 그램 투여는

서로간의 거리를 좁힐 달달함을 더해주는 팁이다.

 

 

 

 

 

 

 

 

한진규

치협 공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