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이 지난 10월 5일 경기도 광교 사옥에서 열린 ‘The Next in Implant: bright Implant’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 시스템의 혁신적인 설계와 임상적 장점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며 차세대 임플란트 시장을 선도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덴티움의 bright Implant는 Tissue Level과 Bone Level을 기반으로 설계돼, 높은 초기 고정력과 최소한의 골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등 임상 전문가들이 연자로 나서 각 제품 라인의 특징을 중심으로 최신 임상 증례를 공유하며, bright Implant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성민 원장이 연자로 나서 bright Implant의 Tissue Level과 Bone Level의 구조적 차이를 설명하며, Tissue Level이 높은 초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논의했다. 또 직경 3.0의 임플란트를 활용한 Minimalism Surgery를 통해 GBR 없이도 안정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함을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해 증명했다. 정 원장은 “bright Implant의 혁신적인 설계는 수술의 복잡도를 줄이고, 환자의 치유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며 “향후 다양한 임상 적용 가능성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민경만 원장이 bright Bone Level 임플란트를 활용한 임상 사례를 발표하며, 기존 Long Implant와 비교해 Short Implant의 장점을 설명했다. 민 원장은 과거 Long Implant 사용 시 복잡했던 Drilling Sequence로 인해 수술이 까다로웠던 반면, bright Bone Level을 통해 수술이 보다 간편해지고,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치료 결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마지막 세션에서 변수환 교수는 소구치부에서의 직경 3.0 임플란트 식립의 효과를 설명하며,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골 손실보다 적은 수준의 골 손실을 보이는 bright Implant의 임상적 우수성을 발표했다. 또 좁은 전치부 ridge에서도 직경 2.5와 3.0의 Tissue Level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식립한 사례를 소개하며, bright Implant의 높은 활용성과 안정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치과 전문의는 “bright Implant의 차별화된 설계와 임상적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특히, Tissue Level의 상세한 설명과 임상적 활용 사례가 매우 인상 깊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의 혁신성과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국내 의료진들에게 소개할 수 있었던 중요한 자리였다”며 “덴티움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글로벌 세미나를 통해 bright Implant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시장 내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