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의 ‘2025 PDRN 핸즈온 코스’가 오는 5월 18일과 25일 신원빌딩 세미나실과 디오 R&D연구소 세미나실에서 각각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업데이트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트(PDRN) 기전과 치과 분야에서의 골면역학 최신 지견 및 치과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치과 재생 프로그램(Dental Regeneration Program, DRP) 적용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강의할 예정이다. 최근 PDRN은 치과 분야에서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아 턱관절 프롤로치료 및 임플란트 주위염과 치주염, 골재생에 적용이 가능해 제론셀베인의 ‘셀베인주’가 치과 치료에 있어 독보적인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연자로는 김재홍 서울탑치과 회장, 설원석 애플치과 원장, 윤종일 연치과 원장, 임종원 베스트치과 원장 등이 나선다. 각 연자는 ▲PDRN의 치과 임상 활용 증례 ▲당신도 할 수 있는 CASE, 최소 장비로 최대의 효과 ▲PDRN의 이해와 치과 임상 및 골면역학 Part 1, 2 ▲PDRN 핸즈온 등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윤종일 PDRN 면역 재생 치의학연구회 부회장은 “이번 세미나는 PDRN에
㈜아침해의료기(ACH Medical)가 지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열린 ‘IDS 2025’에 참가해 자사 대표 임플란트 브랜드 ‘G·DIFF’를 중심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 트렌드에 부합하는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유럽·중동·동남아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ACH Medical은 한국관 대표 기업으로 참여해 실제 임상 환경을 반영한 제품 시연과 체험형 부스 운영을 통해 글로벌 바이어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했다. Tapered 디자인과 11° Hex Connection을 적용한 G·DIFF 임플란트는 13년간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뛰어난 골피질 고정력과 지대주 결합력을 자랑하며, 현지 전문가들로부터 “시술 편의성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제품”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특히 S.L.A 표면처리 기술을 통해 거친 표면 구조를 형성해 조골세포 부착을 촉진하고 빠른 골융합을 이끌어냈다. 다양한 임상 환경에 대응하는 제품 라인업은 직경·길이·보철 옵션을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식립 위치별 골밀도 차이를 극복하고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3블레이드 커팅 엣지를 통해 뼈 손상을 최소화하며 정확한 식립이 가능하도록 했다. ACH Me
덴티움이 KDX 2025에서 자사의 bright CT, bright Implant 등 전 라인업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덴티움은 ‘디지털 통합 진료 솔루션’이란 콘셉트를 바탕으로, 디지털 장비부터 임플란트, 보철, 생체 재료까지 아우르는 ‘All-in-One Experience Zone’을 구성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Implant Zone에서는 임플란트 전 라인업 ▲SuperLine ▲Implantium II ▲bright implant가 모두 공개됐다. 대표 제품인 bright Implant Tissue Level은 좁은 구치부에도 적합한 설계와 강한 고정력을 갖춘 제품으로, 덴티움이 추구하는 ‘Minimal Surgery, Maximum Efficiency’ 콘셉트를 구현해 주목받았다. 디지털 장비 Zone에서는 ▲bright CT ▲bright Chair 2 ▲bright X-ray 등 첨단 진료 장비가 전시됐으며, Regeneration Zone에서는 ▲OSTEON™ 3 Collagen ▲OSTEON™ Xeno Collagen 등 다양한 생체 재료가 전시됐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KDX 2025는 치협 100주년이라는 뜻 깊은 해에 덴티움의 임
유한양행이 KDX 2025에서 플라즈마 살균수 자동세척기 ‘W50’을 집중 홍보해 높은 판매고를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유한양행 측은 지난 11~13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전시기간 500여 명의 참가자가 부스를 방문했으며, 현장에서 W50 40대 판매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W50은 플라즈마 살균수, 초음파 세척, 세제 침전 기능을 통합한 올인원 모델로, 플라즈마 기반 초미세 기포와 고강도 초음파 기술을 적용해 효율적인 세척 및 멸균을 제공한다. 친환경 세척제를 사용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며 의료진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해 설계했다. 최대 적재 용량은 25L, 적재 중량은 28kg로, 소독기구 20세트를 한 번에 살균 처리한다. 또 유한양행은 이번 전시에서 세멘리스 어버트먼트 ‘유한 트윈제로’도 적극 홍보했다. 트윈제로는 링크 없이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을 체결하는 원피스형 세멘리스 보철로, 기공용 스크류를 통해 교합 조정과 파이널 스크류로 최종 보철물을 세팅해 더 정밀하면서도 편리한 시술을 돕는다. 특히, 보철물의 착탈이 용이해 리페어가 간편한 부분이 장점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W50에 보여준 성원에 감사드린다. 개원가에 성능 좋은 자동세척기를 소개하
휴덴스바이오가 KDX 2025에서 OCP(Octacalcium Phosphate) 골이식재 ‘Bontree+(본트리)’를 집중 홍보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휴덴스바이오는 이번 전시에서 본트리의 특장점과 우수한 임상증례를 전시 참가자들에게 적극 홍보했다. OCP 골이식재는 동종골, 이종골이 가지는 교차감염의 위험을 극복하면서도 빠른 신생골 형성과 동종골 수준의 골재생능을 보여준다. 휴덴스바이오는 OCP 기반 골이식재 본트리를 세계 최초로 대량생산에 성공했다. 특히, 최근에는 본트리가 기존 합성골이식재 대비 빠른 골재생을 유도하는 효과를 입증한 논문을 SCI 저널 ‘Materials & Design(IF 7.6)’에 게재했다. 임상시험 결과 OCP가 이식된 부위의 신생골 형성률이 49.5%로 나타나 기존 골이식재 대비 월등한 골재생 효과를 입증했으며, 골 형성을 유도하는 유전자 CHI3L1, RGCC, GREM1 등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휴덴스바이오는 “본트리에 대한 개원가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적극적인 홍보와 관련 교육을 통해 OCP 골이식재를 개원가에 더 알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IBS임플란트의 최소 침습 임플란트 ‘MagiCore’가 KDX 2025에서 전시 참가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다. 특히, IBS임플란트는 참가자들에게 충분한 핸즈온 실습 기회를 제공해 호평을 받았다. IBS임플란트의 장점은 절개를 줄이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며, 술 후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다. MagiCore, 2S 임플란트, Short 임플란트, 2S Narrow 임플란트, Immediate loading system 등을 선보였다. 이 외에도 더블가이드 시스템 ‘AMII GPS’도 큰 관심을 받았다. AMII GPS는 MagiCore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으로, 최소화 한 드릴링 횟수로 편안하게 수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Magic Guide Pin을 이용해 수술 중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와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 IBS임플란트 측은 “개원가에 최소 침습 임플란트의 개념과 장점을 더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전시회 참가 및 관련 세미나를 계속해 제공하고 있다. 특히, Academy of Minimally Invasive Implantology(AMII) 임상교육원의 교육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밝혔다.
덴토리가 KDX 2025에 참가해 ‘PLAZEN 3D RCT(이하 플라젠RCT)’를 적극 홍보했다. 플라젠RCT는 근관 내 마이크로 플라즈마를 방전시켜 근관 내 발수, 멸균, 지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비다. 기존 근관 내 유기조직을 NaOCL로 제거했다면, 플라젠RCT는 방전열에 의해 근관 내 유기조직을 수축시켜 발수한다. 근관 내 수분이 활성 Radical로 변하며 강력한 산화력으로 근관 튜브, 마이크로 캐널 등을 멸균한다. 플라젠RCT는 1회 내원 근관치료 컨셉으로 개원가에 어필하며 날로 유저층을 더해가고 있는 장비이다. 플라젠RCT를 활용할 경우 당일 발수, 근관충전이 가능하며, 단근치의 경우 10분 이내 근관충전까지 할 수 있다. 또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에도 탁월하다는 평가다. 덴토리 측은 “플라젠RCT는 석회화 근관이나 C형 캐널 등 복잡한 근관에도 활용할 수 있다. 개원가에도 제품이 많이 알려져 문의를 해오는 경우가 많다”며 “보다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원가에 플라젠RCT의 장점을 홍보하는데 더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움이 오는 27일(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차세대 임플란트 치료 방향성과 디지털 기반 치료의 미래를 조망하는 ‘The NEXT in Implant Consensus’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덴티움이 제안하는 차세대 임플란트 치료 전략과 실제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자사의 주력 임플란트 시스템인 bright implant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수술은 Minimal하게, 보철은 Simple하게’를 슬로건으로 보다 정밀하고 간결한 치료 접근법과 함께 최신 임상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bright implant는 협소한 치조골과같이 시술이 어려운 부위에도 적용 가능한 Short & Narrow 컨셉의 제품으로, 최소 침습 기반 수술을 통해 환자 부담을 줄이고 로딩 속도를 앞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구조로, 구강스캐너와 디지털 가이드, CAD/CAM 시스템과의 완성도 높은 연동을 통해 수술부터 보철까지 전체 치료 과정을 간소화한다. 컨센서스는 총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각 세션은 bright implant의 다양한 임상 활용과 디지털 기술 접목 사례를 중심으로 전
대한노년치의학회(이하 대노치)가 아주대학교와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협력을 진행한다. 대노치는 지난 1일 아주대학교와 MOU를 체결했다. 이는 AAIP(Ajou Aging in Place)의 에이징 테크 연구에 대노치가 전문가 집단으로 참여하고, 고령친화 커뮤니티 구축을 위해서도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AIP는 고령자가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돕는 AIP(Aging in Place)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지자체, 산업, 학계, 연구기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주체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통합 기관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대노치는 AIP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선도적인 연구를 지원하며, 이를 국가 지원 사업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AIP 선도연구 및 시범사업 준비는 오는 7월 시작될 예정이며, 2년간의 공동연구와 기초적인 시범사업을 통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에 AIP 분야의 정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재호 센터장(아주대학교 AAIP 연구센터)은 “공신력 있는 대노치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연구 협의체에 참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
대한노년치의학회(이하 대노치)가 구강노쇠에 대해 임상 현장에서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제를 제시했다. 2025년 대노치 춘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지난 6일,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강당에서 열렸다. ‘구강노쇠 대응과 극복, 건강한 노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대주제로 노인 치과 환자 관리법 및 보철진료에 대한 주제들이 다뤄진 이날 학술대회에는 600여 명의 참가자가 몰려 성황을 이뤘다. 첫 강의는 고홍섭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가 ‘노인에서 빈번한 약물에 의한 구강건조증의 이해’를 주제로 노화가 타액선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구강건조증 증상과 대처법에 대해 강의했다. 이어 박진우 교수(동국대 일산병원 재활의학과)가 연하 장애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을 강의했다. 특히, 이날 오전 강의에서는 히라노 히로히코 일본노년치과학회 회장이 ‘구강노쇠에 대한 일본의 대응 현황’을 주제로 특강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고령화사회 노인 환자 케어에 앞서 있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가 협력해 효과적으로 노인 구강 케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오후에는 가 혁 원장(인천 은혜요양병원)이 ‘노인 환자와의 소통’, 허경회 교
덴티움이 지난 3월 29일, 광교 본사 16층에서 ‘복잡한 Sinus, Simple하게 끝내자!’를 주제로 실전 중심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Sinus 수술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기획된 ‘Sinus Simple’ 컨셉에 따라 실질적인 임상 기준과 다양한 수술 상황에 대한 대응법을 제시하며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연자로 나선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는 덴티움의 DASK Simple 제품을 기반으로 ‘Minimalism in Sinus Surgery’ 철학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실제 임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 사례와 그 극복 방안을 공유하며, 복잡한 수술을 단순화하면서도 핵심을 놓치지 않는 덴티움 만의 접근 방식을 설명했다. 또 참가자들은 DASK Simple과 OSTEON™ 3 Collagen 제품을 활용해 Sinus 수술의 주요 술식을 직접 체험하며, 수술 동선과 조작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DASK Simple에 포함된 Compaction Drill을 사용해 상악동 막을 안전하게 거상하고, 자가골 칩이 상악동 내부로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임상 적용에 대한 자
덴티움이 지난 6일, ‘The NEXT in Implant for Digital Minimalism’ 사전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오는 27일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개최 예정돼 있는 ‘The NEXT in Implant 컨센서스’ 회의를 앞두고 참가자들의 이해도와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중요한 행사였다.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치과의 최신 동향과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로, 참가자들에게 bright implant 시스템의 차별화된 특장점과 다양한 임상 적용 사례를 심도 깊게 전달했다. 연자로 참석한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은 bright implant 시스템을 통해 수술부터 보철까지의 모든 과정을 간소화하며, 최소 침습 수술(Minimal Surgery) 개념을 도입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소개했다. 또 박정현 원장(보아치과)은 하악 전치부의 좁은 Ridge에 bright Tissue Level Implant를 적용한 실제 임상 사례를 발표하며, ‘얇지만 강한’ Tissue Level 임플란트의 특성을 강조했다.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은 bright Bone Level Implant의 임상 적용 사례를 통해, 수술의 간편함은 물론 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