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국내외 최적 턱관절 치료 방안 나눴다

턱관절협회 춘계연수회서 각국 임상가 해법 공유
오후엔 핸즈온 워크숍 구성, 실전 치료 전략 제시

 

국내외 학자들의 턱관절 장애 치료법을 한 자리에서 공유한 학술 행사가 관련 임상가 및 학자들의 관심 속에서 진행됐다.

(사)대한턱관절협회(이하 턱관절협회)가 ‘2025년 춘계 연수회’를 지난 18일 오전 9시부터 서울대치과병원 8층 한화홀에서 개최했다.

‘턱관절장애에 대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치료 전략(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regions and specialists: Management of TMJ patients in your clinic)’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연수회에서는 대한민국은 물론 미국, 대만, 일본, 호주 등 각국 주요 임상가 및 학자들이 연자로 나서 각국의 턱관절장애 진료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오전 강연의 첫 문을 연 Dr. Daniel D. Choi(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미국)를 비롯해 Dr. Arthur Yen-Hung Lin(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대만), Prof. Kazuhiro Ooi(Kanazawa University, 일본), Dr. Hui-Hsien Ko(National Taiwan University Hospital Hsinchu Branch, 대만), Dr. Samuel SR Kim(TMJ & Jaw Surgery Clinic, 호주), 이정윤 원장(청춘치과) 등이 연달아 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턱관절 진료의 핵심 프로세스와 현황을 살폈다.

특히 모든 강의 종료 후에는 연자들과 청중들의 질의응답 순서를 통해 턱관절 진료 적용 환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갔다.
 

 

오후에는 핸즈온 워크숍이 진행된 가운데 남 윤 원장(서울센텀구강내과치과)과 박주영 교수(서울대치과병원)가 연자로 나서 각각 핸즈온 코스를 이끌었다.

황진혁 턱관절협회 회장은 “춘계연수회로는 이번이 첫 번째 시도였는데 각국 턱관절 진료 전문가들이 다수 내한한 가운데 펼쳐진 만큼 의미가 깊다”며 “참여한 회원 및 전공의들이 턱관절 진료에 대한 좋은 강연들을 만끽했으며 반응도 좋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황 회장은 “봄에는 춘계연수회를 진행하고, 가을에는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형태로 협회의 학술행사를 구성해 나갈 것”이라며 “또 올해 7월에는 일본턱관절학회와의 MOU가 예정돼 있는 등 향후 국제 교류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