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바이오가 자사 고유의 바이오형광 기반 치과 영상진단 AI 기술인 다중색채분석법(MCA)에 대한 특허 등록을 지난 7월 30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특허는 '바이오형광 이미지 기반의 색분석을 활용한 오브젝트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I 기반으로 자동 분석을 통해 구강 건강 상태를 정량적으로 진단검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정량화된 영상 분석으로 치과 진단에 AI 혁신 도입AI기반 다중색채분석법(MCA) 기술은 기존의 RGB 기반 형광 분석 방식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색공간(Lab Color Space) 분석을 AI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는 치아와 잇몸 영역을 자동 분리하고, 4억개 이상의 픽셀 데이터를 클러스터링 해, 각 부위를 저위험(Green), 중위험(Yellow), 고위험(Red)으로 시각화하고 정량적 지표로 제공해 임상 진단 과정에서 신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치과 영상진단 AI가 치아 영역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제공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의사가 환자의 병변을 조기에 인지하고 치료 전략을 빠르고 정확하게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이오바이오는 생체형광 기반 지능형 구강검사 체계인 BLISS™에 AI기반 다중색채분석법(MCA)을 통합해, 정밀한 검사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 계획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비방사선 방식으로 구강질환 상태를 지표별 수치와 시각화한 색채지도로 제시한다. 국내 기술 기반으로 상용화한 의료기기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국내 치과병의원은 물론, 해외 시장에도 활발히 공급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AI 치과 진단 수요 폭발적 증가치과 영상 진단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시장은 2025년 12억 8천만 달러에서 2030년 3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성장률(CAGR) 18.6%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AI 기반 영상 해석 및 3D 융합 기술의 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아이오바이오는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기술력을 제도적으로 인정받았으며, 디지털 덴탈 헬스케어 분야에서 국내외 사업 확장에 강력한 추진력을 더하게 됐다. AI 기반 진단 소프트웨어를 임상에 활용하여 양질 데이터가 축적되어, 앞으로 임상결정 지원시스템(CDSS)을 통해 예후를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2021년부터 치아우식증 검사에서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시작되어 관련 의료기기 도입과 임상활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윤홍철 대표는 “이번 특허는 치과 영상진단 AI 분야에서 ‘정량화된 임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계기”라며, “AI기반 자동분석법 기술과 생체형광 구강검사법 BLISS™ 의료기기를 기반으로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백 분석 등 폭넓은 영역에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조기진단이 가능한 검사결과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