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골대사 고위험군도 정밀 관리 시 임플란트 성공 입증

조정민 소령, 국제 임플란트 저널에 논문 게재
골대사 저하 환자 대상 연구 임상적 저변 확대

폐경기 여성 등 골대사 저하를 동반한 고위험군도 정밀한 관리가 병행된다면 안정적인 임플란트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민 소령(국군의무사령부)이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Implant Dentistry’ 최근호에 ‘폐경 후 여성에서 치과 임플란트 식립 후 임상적 결과 및 골대사 표지자 변화: 1년 간의 전향적 연구’ 제하의 논문을 발표했다.


조정민 소령은 골대사가 저하된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치과 임플란트 식립 후 1년 간의 임상 성과와 골대사 표지자 변화를 김준영 연세치대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골다공증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나 단기적 지표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들과 달리, 골흡수억제제(ARD) 치료 없이 관찰한 자연 경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전신 골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정략적으로 분석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2022년 4월부터 2024년 5월까지 36명(평균연령 68세)을 골밀도 점수(T-Score)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 A그룹(T-Score≥-2)의 17명에게는 21개의 임플란트를, B그룹(T-Score<-2)의 19명에게는 24개의 임플란트를 이식한 후 총 1년 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률, 변연골 흡수량, 초기고정도 및 전신 골대사 지표 변화를 연구·분석했다. 다만 턱뼈 괴사의 잠재적 위험을 피하기 위해 연구 관찰 기간 동안 ARD 치료는 하지 않았다.

그 결과 A그룹의 T-Score는 –0.16, B그룹의 T-Score는 –0.01의 변화를 보였으며, 두 그룹 모두 높은 임플란트 생존율을 달성해 ARD 치료를 병행하지 않는 경우 골대사 저하 고위험군에서도 정밀한 시술과 관리가 병행된다면 안정적인 임플란트 유지가 가능함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