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원가에서는 치과 진료에 있어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진정법에 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안전하고 효과적인 진정법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연수회가 최근 개최됐다.
대한치과마취과학회(이하 치과마취과학회) ‘제19회 정주진정법 연수회’가 지난 7월 6일부터 총 6회에 걸쳐 진행된 가운데 지난 17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진정법 노하우를 공유하는 강연이 펼쳐졌다.
올해로 19회째를 맞이한 해당 연수회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진정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양질의 치과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어 매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올해 연수회는 16인의 연자가 참여, 26개의 강의와 10개의 실습으로 구성돼 진행됐다. 구체적으로 지난 7월 6일에는 김현정·김승오·유승화·서광석 교수가 연자로 나서 정주진정법의 의미를 시작으로 환자 평가, 진정 관련 해부 및 생리, 진정법 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7월 20일에는 강구현·전소은·서광석·황경균 교수가 산소치료와 수액요법은 물론, 의료분쟁과 법적인 문제, 진정과 관련한 합병증을 두루 다뤘으며 지난 17일에는 이정우·김은정·박원서·안소연 교수와 신환선 시흥치과 원장이 연단에 올라 진정 후 회복과 퇴원, 국소마취, 정주진정법에 사용되는 진정제와 약리학, 응급상황에서 사용하는 약제, 개원가 실전 진정법 등을 강연으로 풀어냈다.
아울러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실습에서는 진정 시 기도관리부터 심전도, 청진, 모니터링 실습, 약물 주입 실습 등이 이뤄졌으며 응급상황을 대비한 시뮬레이션 등 실제적인 실습도 진행됐다.
실제 연수회에 참여한 한 임상가는 “환자 치료 시 진정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하지만 진정 시 생길 수 있는 약물 부작용 등이나 올바른 진정법을 모르는 임상가들이 많다. 이를 임상에 활용하려면 교육이 필요한데 치과마취과학회에서 진행하는 이 같은 연수회가 있어 이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이러한 연수회를 통해 치과의사로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승오 치과마취과학회 회장은 “치과 진정법이 보급되고 고령화에 따른 전신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 이에 전문적인 응급처치 역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치과마취과학회는 미국, 일본보다 앞서 세계 최초 미국심장학회 및 대한심폐소생협회에 승인된 DALS(치과전문소생술)를 개발, 10년 가까이 연수 과정을 활발히 진행 중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