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치주과학’ 교과서 8판, 3년 개정 끝 발간

미국·유럽 학계 치주질환 새 분류 전면 도입
재생치료·디지털·AI·임플란트주위염 관리 등

한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가 3년여의 개정 작업 끝에 ‘치주과학 제8판’(군자출판사)을 펴냈다.

 

이번 개정판은 전통적인 내용의 심화와 함께 최신 학문적·임상적 흐름을 반영해 치주학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한층 강화했다.


특히 가장 큰 변화는 2017년 미국치주학회(AAP)와 유럽치주연합(EFP)이 공동 제시한 새로운 치주질환 분류 체계를 전면 도입한 점이다. 기존의 병소 깊이나 범위 중심의 분류에서 벗어나, 환자의 구강 기능·생활 습관·전신 건강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예후와 치료 복잡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에 따라 8판에서는 전신질환과 여성 건강 등 관련 주제를 별도로 확장해 다뤘다.


또 치주 치료의 근간인 치주낭 이해와 기본 수술 파트는 체계적으로 재정리됐고, 국소 항생제 사용 등 염증 제어 전략 역시 최신 임상 흐름에 맞춰 수정됐다. 더불어 성장 인자, 유전자 치료, 줄기세포 응용 등 차세대 치주 조직 재생 기법을 폭넓게 포함해 전통과 혁신의 균형을 추구했다.


임플란트 분야에서도 변화가 컸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진단·치료, 심미와 기능을 조화시키는 임플란트 디자인,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임플란트주위염 관리 등 임플란트 치료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임상 지침이 새롭게 제시됐다.


이번 교과서 개정에는 김창성 교과서편찬위원장(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을 필두로 이중석(간사)·구기태·김옥수·김용건·신승일·윤정호·이동운·이성조·이원표·이재관·주지영 교수가 참여했다.


김창성 위원장은 “편찬위원회에서 3년 동안 고생하며 기존 틀을 완전히 바꾸는 작업을 한 만큼,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 치주학의 방향을 정립하는 결과물이 될 것”이라며 “올해 2학기부터 학부 수업에 바로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했다. 학부생에게는 균형 잡힌 지식을, 전공의·전문의에게는 근거 기반 임상 가이드를, 개원의·연구자·교육자에게는 최신 지견을 보여 주는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