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T 2004년 8월 실시 예정
자연과학·언어추리·공간지각·수리등 4개 영역으로 구성
치의학전문대학원 추진단은 지난 11일 서울치대병원 8층 강당에서 ‘DEET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학업성취보다 적성검사에 가까워
의사로서 윤리적 측면 강화돼야
美 DAT·CDAT 치협이 주관해
치의학교육입문검사(DEET :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가 2004년 7월 또는 8월경 처음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또 DEET의 영역은 자연과학 영역, 언어추리 영역, 공간지각능력, 수기영역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될 전망이라고 DEET 모형시안에서 밝혔다.
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치전원) 추진단 주최로 지난 11일 서울치대병원 8층 강당에서 개최된 DEET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이같은 의견이 제기됐다.
金寬植(김관식) DEET개발 연구책임자(서울치대 치과약리학 교수)는 ‘DEET 개발의 기본방향’이라는 제목의 주제발표에서 DEET의 시행시기는 2004년부터 매년 1회, 7월 또는 8월경에 시행될 예정이며 응시횟수는 제한하지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金 책임자는 또 DEET 모형시안 발표에서 DEET의 모형으로 자연과학 영역(세부영역 : 생물학, 일반 및 유기화학, 물리학), 언어추리영역, 공간지각능력, 수기영역 등 4개 영역으로 구성하며, 시안에 대한 설문조사 등 의견수렴과정을 거친 후 문항개발지침작성, 예시문항개발 등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金 책임자는 아울러 “치의학교육 기본과정과 연계된 신뢰성과 관련성 있는 타당한 DEET 모형 개발과 이에 적합한 문항개발, 구체적인 검사시행방안 확립 등은 매우 시급한 과제로 체계적이며 집중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진단 관계자는 “대학에서 전문대학원의 전환은 치의학교육의 학제가 변경되는 중차대한 일”이라며 “이번을 계기로 치의학교육의 일대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아야 할 것으로 믿는 바, 공개토론회를 통해 치과계 또는 교육계 각처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토론회 개최 취지를 밝혔다.
한편 11개 치과대학중 서울치대, 경희치대, 경북치대, 전남치대, 전북치대는 내년부터 치전원으로 학제 개편을 하며, 부산치대는 2004년부터 치전원으로 학제를 개편키로 했다.
DEET의 성격
DEET는 일반적인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도보다는 치과의사로서의 적성과 자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미국, 캐나다, 독일 등의 국가에서는 의과대학 학생을 선발할 때 반드시 학생의 봉사적 인성과 품성을 갖추고 있는가를 합격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진곤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치전원 도입후 예비 치과의사 선발시 선발의 공정성, 객관성, 타당성과 함께 훌륭한 자질, 능력, 품성을 갖춘 ‘인격’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DEET는 다른 나라의 사례에 비추어볼 때 지능이나 학력검사라기 보다는 일종의 적성검사이며, 적성검사는 현재 얼마만큼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학습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외국의 DEET 비교
우리나라의 DEET와 성격이 유사한 검사로는 미국의 DAT(Dental Admission Test) 프로그램과 캐나다의 DAT(Dental Aptitude Test) 프로그램이 있다.
또 미국의 DAT와 캐나다의 DAT는 각각 미국치협과 캐나다치협의 주관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崔珣哲(최순철) DEET 개발 연구위원(서울치대 구강악안면방사선과 교수)은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의 DAT는 일반적인 학문적 소질과 과학적 정보에 대한 이해 및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며 자연과학탐구, 공간지각력 검사, 언어추리 검사, 수리추론 검사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돼 있으며 자연과학탐구 분야는 생물학, 일반화학, 유기화학의 세부분으로 돼 있다.
캐나다의 DAT는 일년에 2회, 11월과 2월에 여러 곳의 시험장에서 치러지며 최소한 치과대학 예상 입학 1년 전에 치러야 한다.
또 CDAT를 치르기 위해서는 대학교 1학년 때 생물학과 화학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CDAT는 수기능력, 자연과학탐구, 공간지각력, 언어추리의 네가지 영역으로 구성돼 있으나 불어권 학생은 언어추리 영역을 제외한 세가지 영역만 치른다.
DAT와 CDAT 점수는 모두 30등급으로 돼 있어 최고점이 30이고 최하점이 1이다.
DEET의 영향
DEET가 시행됨으로써 최우수인력이 치대, 의대, 한의대 등으로 진학하는 것을 막아 우수인력을 자연대에서 교육함으로써 자연대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궁극적으로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