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연자가 말하는 Seminar Point /장현호 교수(성루아산병원)/악안면 기형에 있어서 기능적 수술

기능적 수술(functional surgery)이라는 용어는 넓게 보면 기능을 고려한 또는 기능을 위주로 하는 수술이라는 의미로 생각하면 되지만 구체적으로 보면 실제로는 몇몇 외과분야에서 약간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양수술에 있어서의 functional surgery는 Radical surgery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최대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보존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경외과수술에 있어서는 function에 관계되는 질환 즉 간질(epilepsy), 파킨슨씨병 등에 대한 수술을 functional surgery라고 한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수술 내용에 기초한 용어로 쓰이고 있고 후자에서는 질환의 내용에 기초한 용어로 쓰이고 있다.


구강악안면 기형에 있어서 Functional surgery라 함은 경조직(또는 골격) 뿐 아니라 골격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안면골격의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주고 서로 끊임없이 상호 균형관계를 이루려고 하는 연조직 즉 functional matrix를 고려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용하는 수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악안면 기형에 있어서의 functional surgery를 위해서는 두개안면부의 성장 발달에 기초해 기형을 진단 할 수 있는 진단법의 이해가 필요하다. 프랑스 낭뜨 대학의 Delaire교수는 1975년 Architectural & Structural analysis라는 두개골 전체 및 안면부와 경추까지를 포함하는 측모 방사선 사진에 대한 진단법을 제시했다. 여기서 Architecture(구조)는 경조직 즉 골격을 말하며, Structure(구성)는 연조직 즉, functional matrix를 말한다. 이 Delare 분석은 각자의 두개골 및 경추에 대한 안면골의 이상적인 위치 와 크기를 찾아가는 것으로 기존에 교정과나 구강외과 의사들에게 익숙한 북미에서 유래한 진단방법과 비교해 서로를 간단히 특징지워 말한다면 전자를 Individuality, 후자를 정상(Norm)에 대한 Average(평균치)라고 할 수 있겠다.


악안면 기형에 있어서 Functional surgery가 적용되는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POINT1.

 Glossectomy : 악안면부 기형의 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개교증에서 수술로 해결이 필요한 경우에 생각 할 수 있는 술식은 우선 상악의 posterior impaction이며, 이는 하악의 counterclockwise rotation 만으로 개교증을 해소하고자 했을 때 생기는 pterygomasseteric sling의 긴장과 이로 인한 relapse이다. 하지만 상하악 동시 수술을 한 경우에도 relapse가 일어난 경우에는 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겠으며, 이때 Glossectomy를 고려 할 수 있다. 물론 술전에 이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리라 본다.

 


POINT2.

Early corrective surgery : 성장기 아동에서 안모비대칭이 나타나고 그 원인이 과두부의 과성장이라면 아동의 성장단계를 고려해 조기수술 즉 condylectomy를 고려 할 수 있겠다. 물론 이때 반대편의 개교증이 유발될 수 있으나 이는 성장과정중의 정상적인 저작을 통해 치조골의 adaptation이 일어나면서 서서히 정상적인 교합을 찾아가게 된다.


안면 근육은 변화된 골격에서 reorientation되면서 residual facial growth가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하지만 Growth spurt이 이미 지났거나 성인이라면 이 술식만으로 이러한 자연적인 균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과두부를 하악골 전체의 성장 중심점으로 인식해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지만 하악골이 각 부위마다 각기 다른 독립적인 성장 unit로 구성돼 과두부의 절제가 전체적인 하악골 성장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다는 이론이나 실험 결과가 이미 많이 보고 됐다. 또한 이때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 중의 하나가 과성장 여부에 대한 진단 방법인데 이에 대한 기준도 소개 될 것이다.

 


POINT3.

Functional genioplasty : 이부 성형술이 일차적으로 심미성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러한 용어가 역설적일 수 있으나 이부 성형술은 안면부의 기능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Chin(이부)은 모든 척추 동물 중에서도 직립보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