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임상교정에서 miniscrew의 사용은 anchorage control을 용이하게 도와줌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인 교정치료의 길을 제시해주고 있다. 보다 나은 교정력 적용을 위해 많은 종류의 miniscrew가 개발되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에서 비롯되는 교정력은 ‘single force’이므로 edgewise appliance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보다 적은 attachment로 간단하게 치료하기 위하여 passive wire bonding, FRC 등이 심지어는 ‘no attachment’가 시도되고 있지만, 많은 경우 edgewise appliance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가장 흔한 교정치료인 전치부 retraction의 경우 전치부 segment에 single force 적용시 전치부 segment의 center of resistance를 지나게 함으로써, 이론적으로는 구치부 attachment없이 전치부의 bodily movement를 기대할 수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실현이 매우 어려우며 이의 조절을 위해 edgewise appliance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bracket을 부착하게 되는데, 개개 치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bracket을 부착하면 되지만, 개개치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indirect bonding의 일종인 ‘passive bracketing’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nchorage 조절을 위하여 miniscrew를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 passive bracketing을 적용한다면 segment내 치아 이동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개 치아 이동으로 인한 anchorage loss를 막을 수 있고 진료시간 및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임프란트교정, 보철교정, 심미교정, 치주교정 등 adjunctive orthodontic treatment의 수요와 함께 ‘부분교정’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miniscrew 사용시 passive bracketing의 적용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miniscrew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것으로 크게 기대되고 있다.
본 강연은 miniscrew 이용시 passive bracketing 적용 테크닉을 전형적인 증례와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