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임상치과 교정 분쟁 Q&A(113)]황충주 연세치대 교수/치근흡수 추후 발견(3)


30세 여자 환자를 9년 전 교정치료 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 오랜만에 환자가 병원에 왔는데 얼마 전 치아를 치료하고자 가까운 치과를 방문해 x-ray를 촬영한 결과 상악 전치부 4개의 치아 뿌리가 거의 없다는 아주 뜻밖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합니다. 9년 전에 교정을 받은 것이 문제가 된 것 같다고 했답니다. 환자는 나이도 젊은데 앞니가 모두 빠지게 되면 틀니를 해야 한다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세워 달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9년 전 환자라 진료기록부나 자료를 찾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교수님의 고명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그리고 치근 흡수의 원인이 무엇인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⑥ 근관치료된 치아
근관치료된 치아는 교정적 이동이 가능하고 상아질 밀도가 증가해 치근 흡수에 저항력이 크다고 하지만 이와 반대의 의견도 있습니다.

 

⑦ 치조골 밀도
치조골이 치밀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 흡수가 더 잘 일어나며 치조골이 덜 치밀한 경우 골수강이 그만큼 커지고 치아 이동에 대한 저항이 작아져 이동이 쉽게 일어나고 치근 흡수도 적습니다.

 

⑧ 개개 치아의 취약성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보다 치근 흡수에 약하다는 보고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악 전치가 하악 전치에 비해 교정적 이동 거리가 길고 압하 등에 의해 치근첨 부위에 응력 집중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⑨ 구강악습관
생물학적 요소 중 하나로 습관이 있는데, 여기에는 손톱 깨물기, 개교합과 연관된 혀 내밀기, 혀의 압력이 증가된 경우 등이 포함되며 교정치료 전에 손톱 깨물기 버릇을 가진 환자에서 치근흡수가 높음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⑩ 치아에 대한 치근흡수 정도
보상기전에도 불구하고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근을 관찰해보면 치근 길이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치료기간이 긴 환자에서 더 두드러지며 치아의 위치에 따라 그 정도가 다릅니다. 특히 상악 중절치의 치근 길이의 감소량은 다른 치근 길이의 감소량에 비해 더 큽니다.

 

(3) 교정치료와 관련된 요인
① 장치

1. 가철성 장치와 고정성 장치 : 고정성 장치는 장기간 치아를 묶어 고정하는(splinting) 효과 때문에 위험성이 있고 가철성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jiggling force가 치근흡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으나 고정성 장치가 치근에 더 해로운 영향을 준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2. 치료술식 : 특정한 술식에 좌우되기보다는 치근이 피질골과 접촉하거나 함입에 과도한 힘이 사용되거나 장기간 강하고 지속적인 힘을 가하게 되는 술식은 치근 흡수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골격적인 문제를 절충치료를 통해 해결하고자 할 때 절치의 치근에 토오크를 가하거나 비조절성 경사가 일어날 때 치근이 피질골판에 접촉됐을 때나 하악 구치에 협측 치근 토오크가 고정원보강을 위해 사용됐을 때처럼 국소적인 치근흡수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3

. 자석 : 자석의 특성상 공간이 폐쇄될수록 강하게 작용하는 힘은 생리적인 조직 반응을 일으켜 치근흡수의 가능성을 줄인다고 합니다.


4. 악간 고무줄 : 고무줄에 의해 발생하는 jiggling force가 치근에 해롭다는 보고가 있으며 악간 고무줄을 장기간 사용 시 하악 구치 원심 치근에 흡수 양상이 있음이 보고 됐습니다.
5. 발치 : 발치와 비발치 자체로는 치근흡수와의 관련성을 정의하기 힘들지만 발치의 경우 치아의 이동양이 많기 때문에 치근흡수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연속발치술을 시행한 경우 생리적인 치아 이동만을 허용하므로 치근 흡수가 가장 적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6. 기타 장치 : 급속 상악 확대술 시 상악 구치의 치근 흡수가 보고 됐으나 성장기 아동에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고 사춘기 이후에 시도한 경우 치근 흡수와 협측 치조골 소실, 치은 퇴축 및 골성 열개의 위험성이 모두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