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사이 교정환자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환자가 치료에 대한 정보를 너무 많이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환자의 요구사항이 많아지고 치료하기도 까다로워지고 있는데 환자가 갖고 있는 정보가 좋은 정보라기보다는 대부분은 정확한 정보가 아니라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의사와 환자 간에 불신이 생기게 되고 의료사고와 의료분쟁의 빈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오래전에 우리나라에서 교정치료시 자주 일어나는 의료사고와 의료분쟁의 원인에 대해 쓰신 것을 본적이 있는데 우리의 의료 환경이 외국과 비슷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외국에서는 어떤 경우에 의료사고와 의료분쟁이 자주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것도 예방차원에서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미국에서 나온 자료가 있다면 소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다음은 미국에서 교정치료와 연관되어 일어났던 소송들을 분류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시어 이런 문제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일반적인 치료와 관련된 소송들
A. 치료에 대해 문제를 알려주지 않았거나 기록들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B. 환자의 동의서를 받지 않은 경우
C. 필요한 치료에 대해 처치하거나 의뢰하기 위해 필요한 진단을 하지 않은 경우
1. 교정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2. 치료 중에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3. 구강위생 혹은 치주질환이 문제가 된 경우
4. 환자들을 해당 전문의에게 보내 주기적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D. 환자에게 합병증이나 위험을 설명하지 않은 경우
E. 환자에게 절충적 치료에 대한 설명과 이것과 관련된 실패율과 위험이 증가되는 것을 설명하지 않은 경우
F. 수술증례를 비수술로 치료한 경우
G. 악교정 수술로 측두하악장애 통증을 해결할 수 없으며, 위험하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않은 경우
2. 합병증과 관련된 소송들
A. 치근 흡수
B. 탈회, 우식, 치아에 손상
C. 측두하악관절(측두하악장애)
1. 치아이동 전에 진단, 치료, 의뢰하지 않은 경우
2. 치료 중간에 진단, 의뢰하지 않은 경우
3. 환자가 관절잡음이나 통증, 두통에 대해 호소하는 것을 들었으나 처치나 기록하지 않은 경우
4. 측두하악장애 문제가 발생하거나 악화되는데도 교정치료를 계속한 경우
5. 발치하는 과정에서 TMD를 일으킨 경우
D. 악교정수술 증례
1. 수술 혹은 비수술 증례를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한 경우
2. 수술이 아닌 다른 치료방법을 시도해 보지 않은 경우
3. 성공률이 낮거나 위험하다는 설명을 하지 않은 경우
4. 수술이 통증을 해소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지 않은 경우
E. 급속 구개 확장 장치를 부적절하게 사용한 경우
1. 치아가 상실된 경우
2. 환자의 정상적인 턱성장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
3. 치료가 효과가 없는데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치료기간이 지연됨
F. 합병증에 대해 전문가에게 의뢰하는데 실패(치료 전, 중, 후)
1. 치주치료에 대해 전문가에게 의뢰하고, 진단하지 못한 경우
2. 환자의 일반적인 치아건강에 대해 일반 치과의사와 주기적인 검진을 하지 않은 경우
3. 발치나 수술치료에 대해 구강외과의사에게 의견을 물어보기 위해 의뢰하지 않은 경우
4. 수술이 추천되었을 때 다른 선택에 대해 구강외과의사에게 의뢰하지 않은 경우
5. 건강하지 못한 치아를 움직이기 전에 혹은 건강하지 못한 골을 통해 건강한 치아를 움직일 때 근관치료 전문 의사 등에게 의뢰하는데 실패한 경우
G. 치료과정을 잘 파악하지 못하거나 문제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