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임상강좌(10-1)치의신보,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공동기획]대주제:악안면 기형과 악안면골 성형

악안면기형에 대한 수술에서의 합병증의 예방과 처치 下

<지난호에 이어 계속>

 

⑤치근 손상(injury to the root of teeth): 치근 손상은 특히 분절골 수술시 잘못된 골절단선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야기 될 수 있다. 일단 치근이 손상되면 자연 치유되지 않는 한 치아의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술 시 치근의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골절단선의 방향을 잘 선택해야 한다. 분절골의 문합 시 치관 및 치근을 너무 밀착시키는 경우에는 특히 치근이 노출되거나 문합을 시도하는 과정(뼈를 깎는 과정)에서 치근의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분절골 수술시에는 특히 문합 되는 곳의 치근이 최소한 2mm 이상의 치조골로 덮힐 수 있도록 사전에 설계를 해 수술 시 문합부위의 치조골 간에 약간의 틈새(gap)를 허용하고 술 후 교정치료로 이를 수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구-비강누공(oro-nasal fistula): 구-비강누공 이나 수술부위의 괴사는 흔치 않은 합병증으로 대개 상악골의 치열 이상을 수술로 해결하기 위한 분절골 수술시에 비강 점막이 파열된 상태에서 분절골편을 과도하게 확장시키는 경우 구개점막이 파열되거나 허혈 상태로 유지돼 구-비강 누공(oro-nasal fistula)이 초래될 수 있다. 일단 누공이 형성되면 설피판(tongue flap) 등으로 재건해 누공을 폐쇄할 수는 있지만 수술전의 세밀한 고안과 수술시의 정교함으로 예방을 하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분절골 수술 후 연조직의 파열이 심하거나 과도한 이동에 의한 허혈 시 골편 자체가 괴사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술을 통한 분절골 이동이 필요한 경우로 이동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단번에 분절골 상태로 이동시키기 보다는 골신장술(distraction osteogenesis)을 이용해 이동 시키는 것이 보다 유리하며, 분절골 수술시 특히 연조직에 대한 혈액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⑦허혈성 괴사(avascular necrosis): 허혈성 괴사는 특히 분절골수술시나 양측성 구순·구개열 환자(bilateral cleft lip & palate patient)의 악교정수술시 분절 골편 혹은 조직에 혈액공급이 차단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분절골수술후에는 골편의 괴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치수(dental pulp)의 허혈성 괴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허혈성 괴사는 복구가 안되므로 수술 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수술 술기를 구사하는 것이 최선이다.

 

3. 수술 직후의 합병증;

수술 직후에는 2차 출혈(secondary bleeding) 혹은 감염(infection)과 같은 합병증이나 심한 부종 혹은 고열(high fever)과 같은 속발증(sequela)이 올 수 있다.

①수술 후의 2차 출혈(secondary bleeding): 하악골 수술 후 이차 출혈이 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는 상악골 수술 후 2차 출혈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하악골의 수술 후에는 해부학적 특성상 출혈 부위가 조직에 의해 폐쇄돼있고 압박 붕대 적용시 외부로부터의 압박지혈이 가능하지만, 상악골의 경우에는 특히 상악동의 공간과 코점막이 파열된 경우 비강을 통해 출혈이 분출되므로 적당히 지혈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막연하기 때문이다. 2차 출혈은 빠른 시간 내에 조절이 안돼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경우에는 체적(volume)의 감소에 따른 쇼-크 (Hypovolemic shock) 뿐만 아니라 기도 폐쇄에 따른 심각한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의심이 되는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통해 이를 막아야 한다. 이차출혈이 의심되면 즉시 수술부위를 다시 열어 출혈 부위와 소인을 정확히 확인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철저히 지혈 시켜주는 것이 최선이다.

②술 후 감염: 악교정수술 시에는 수술 중 혹은 수술 후에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므로 수술 후 감염이 발생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수술 시 오염이 됐거나 술 후 환자의 전신면역성이 떨어진 경우에는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앞의 이유 보다는 수술용 거즈가 부주의하게 창상에 남아있는 경우 감염으로 발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