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임상강좌(7)치의신보,구순구개열학회 공동기획]대주제:구순개열 환자의 일관치료

●김명진 교수


■학력
서울치대 졸업
서울치대 치의학과 석·박사


■경력
서울치대 전임
서독 함브르크 치대 객원교수 
현) 서울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과장
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구강암연구소장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골신장술
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 치과교정과
교수 김명진, 전임의 팽준영, 조교수 백승학, 교수 이종호

 

 

 

구순구개열 환자는 성장과 함께 중안모의 열성장 및 치조골부위의 결손을 보이게 되며, 그 치료가 조직의 결손 및 구순구개열 일차 수술의 반흔으로 인해, 한계점을 가지고 있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McCarthy에 의해 하악골의 길이 신장을 위한 골신장술(Distraction Osteogenesis)이 사용된 이후 반안면왜소증(hemifacial microsomia) 등 하악골뿐 아니라, 상악골을 포함한 중안면골의 전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 증강술, transport distraction을 이용한 악골의 재건 등 다양한 방면에서 골신장술이 응용 돼 왔다. 이러한 골신장술은 골조직의 증가 뿐 아니라, 연조직의 신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반흔과 연조직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구순구개열 환자에게 적용하려는 시도가 골신장술의 초기부터 있어왔고,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됐다.
본 기고에서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악의 열성장을 치료하기 위한 상악 전진술과 치조파열부 결손부를 재건하기 위한 골신장술에 대해서 논의하겠다.

 

 


1. 상악골 전진술

구순구개열과 동반된 상악골의 열성장은 구순구개열 환자의 22∼27%에서 수술을 통한 상악골의 전방이동이 필요하다고 보고돼 왔다. 악교정 수술을 통한 상악골의 전진술이 주로 사용돼 왔으나, 상악의 반흔으로 인해 수술 시 6∼10mm이상의 상악골 전진은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수술 후 회귀 현상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상하악 간의 전후방 위치이상과 전치부의 반대교합을 해소하기 위해 정상 성장을 보이는 하악골을 수술 시 불가피하게 후퇴시키기 위한 추가수술이 시행되기도 하며, 하악의 후퇴를 보상하기 위한 이부전진술이 필요한 경우도 간혹 발생하게 된다.

최근 골신장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