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이성헌 원장의 임상 핵심 Guide]PRP 술식-끝

[이성헌 원장의 임상  핵심 Guide]

PRP 술식-끝


 ■ PRF의 적용 및 PRP의 치주적 적용

 


이번 호에서는 PRF의 임상 적용과 PRP의 치주적 적용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PRF는 platelet rich fibrin의 준말로 말 그대로 혈액응고 과정에서 형성되어 최종적인 clot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백질인 fibrin이 혈소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 PRF의 형성과정은 매우 재미있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우리가 platelet를 농축시킬 때 일반적으로 혈액응고 방지제인 ACD-A를 첨가해 원심분리 시켜서 PRP라는 platelet 농축물을 얻게 된다.
내부에는 활성화되지 않은 platelet를 포함하고 있고 이 platelet를 조직내부에서 활성화 시켜서 growth factor를 분비케 하거나 calcium chloride와 thrombin을 첨가시켜 활성화 시킨 후에 적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PRF는 채혈된 전혈을 혈액 내 응고인자에 의한 내인계 응고 과정을 진행시키면서 적혈구와 platelet를 분리시키고 동시에 분리된 platelet 주변에 fibrin clot가 형성되게 한다. 물론 응고과정과 동시에 혈소판도 활성화 된다. 이는 반드시 내인계 혈액응고 과정이 진행되면서 분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분리 시에 glass tube나 glass coated plastic tube를 사용하여야 한다.
PRF는 결국 혈액의 분리와 응고과정에서 이뤄지는 fibrin의 분자량 증가에 의해서 발생하는 절묘한 타이밍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PRF는 젤 형태를 띠고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젤이 아니고 혈장과 혈소판을 포함하고 있는 fibrin mass이다. 혈장성분은 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volume을 유지하지는 못한다. bone graft시에 이용할 수 있고 차단막처럼 사용하면 감염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유지하고 bone 형성 및 연조직 치유를 촉진시킨다.


PRP의 치주적 사용은 사실 platelet가 가지고 있는 growth factor와 cytokine에 의한 조직치유에 기반을 두고 사용한 것이고 이것은 건강한 치주조직이 갖는 풍부한 결합조직과 염증성 골조직의 치유 및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은 먼저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 기존의 scrp와 curettage를 하고 PRP를 injection하는 것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curettage가 끝나고 Er Yag 레이저를 이용해서 pocket 내부에 자극을 준 후에 PRP를 적용한다. 임상적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운 것 같다.


이상으로 이번 혈소판과 growth factor 연재를 마친다. 좀 더 많은 것을 전해 주지 못함이 아쉽고 미안하다. 보잘 것 없지만 이를 통해서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는 동료 치과의사가 많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진설명

 

 

임플랜트 식립 후 골이식과 PRF의 적용.

 

봉합직후.

 

PRF 적용 1주후 좋은 연조직 치유를 보이고 있다.

 

잇몸 PRP 시술.

 

시술 5일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