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을 비롯해 대만, 뉴질랜드, 호주, 홍콩 등 아태지역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치과의사 일인당 인구수가 3000명에 도달한 시점부터 치과의사 인력에 대한 감축정책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치과계의 경우 이미 1996년 치과의사 1인당 인구수가 3184명으로 3000명 시대를 마감했고 1997년 2997명을 시작으로 매년 그 수가 줄고 있지만 인력 감축을 위한 치과계 내부합의 조차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철환 학술이사가 지난 9월 27일 대전에서 열린 치과의사 적정수급을 위한 TF 발대식에서 ‘치과의사 인력수급 현재와 향후과제’등에 대한 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학술이사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국민의 의료비 증가와 억제 등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자 의사 및 치과의사 인력의 증가와 의료비 증가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면서 “치과의사의 경우는 1인당 인구수 3000명이 넘기 시작하면서 인력 감축을 진행, 이미 1970년대부터 치대 폐교 및 정원 감축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특히 아태지역의 경우 우리나라 보다 치과의사 1인당 인구수가 많은 대만, 뉴질랜드, 호주, 홍콩 등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 치과대학 입학정원을 감축시켜왔다고 설명했다<표 참조>.
반면 국내의 경우 이미 1997년에 치과의사 1인당 인구수가 2000대를 찍었고(2997명) 이를 시작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지만 치과의사 인력에 대한 감축 문제는 수년째 해결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만을 하고 있다.
2011년 현재 치과의사 1인당 인구수는 237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김 학술이사는 “우리도 이미 1997년부터 감축을 했어야 했다. 많이 늦었다. 10년 후를 생각하면 우리 후배들의 미래가 암울하다”면서 “2020년부터 과잉공급이 문제가 되기 시작해 2025년에는 5000여명의 치과의사 과잉공급이 예측된다. 향후 5년 이내에 치과대학 입학정원을 줄이는 등 특단의 치과의사 공급 조절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