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한국 치과산업의 주역들에게
필자는 후진국에서 태어나 중진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냈고, 지금은 선진 한국에서 살고 있다. 한글, K-의류, K-팝송, K-뷰티, K-식품, K-문화, K-방산, K-메디칼 등 한국의 사회·문화·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세계인들이 한국을 흉내내고 체험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자연스레 스며든 선진 한국에 자부심을 느낀다. 2016년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의료해외진출법’) 제정에 관여하면서 정부의 해외환자유치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다. 같은 해 법령에 따라 ‘의료통역사 능력검정시험’이 시행되었고, 당연히 10년째 의료통역사검정시험위원장으로서도 ’영중일러아몽베‘라는 필요했던 의료통역사를 매년 양성하고 있으며, 최근 태국인 환자의 급격한 증가추세로 2026년부터는 통역사 시험에 태국어를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 2009년에 보건복지부에서는 본격적으로 해외의료진출에 대한 행정과 제도적 준비를 시작하면서 의료계에 처음으로 해외환자유치를 허용했었는데 당해 6만 여명의 해외환자가 다녀갔었다. 이후 국내에 지속된 해외환자의 증가로 의료해외진출법의 태동 이유가 되었던 것인데, 우리 치과계는 이러한 사실을 대부분이 인지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 박용덕 대한구강보건협회 회장/신한대학교 연구부총장
- 2025-11-12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