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치과병원과 네이버클라우드가 ‘차세대 치과전용 플랫폼 개발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10월 29일 체결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치과전용 정보화 시스템 운영환경은 시장의 낮은 관심으로 인해 발전 속도가 더딘 상황으로, 최신 기술이 융합된 차세대 치과 전용 플랫폼 개발은 국내·외적으로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서울대치과병원은 구강악 2D·3D 이미지 AI 데이터 구축, AI 학습 지원을 위한 데이터 자료수집,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 등 다양한 국책사업을 수행하며 AI 기술을 접목한 치의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치과의료정보 콘텐츠 개발 및 적용 ▲B2C 기반의 모바일 치아건강 체크시스템 설계 및 개발 ▲치과병원의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재구축 등의 영역에서 상호 협력하게 된다. 세계적 수준의 초대규모 AI로 인공지능 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AI와 치의학의 융합 연구개발을 통해 국민 구강 건강에 기여하고, 전 세계에 치의학과 첨단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
								서울대치과병원이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를 지난 10월 24일 경기도 양평군노인복지관에서 진행했다. 이날 봉사활동에는 단장인 조정환 구강내과 교수를 필두로 전공의,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교직원 등 19명이 참여했다. 이동진료버스를 비롯한 각종 치과 진료 장비를 준비한 봉사단은 구강검진, 충치 치료, 발치, 스케일링, 틀니 수리 등을 제공했다. 또 구강내과·치과보철과·치과보존과·소아치과 등 여러 진료과로 구성된 의료진이 힘을 보탰다. 총 42명의 어르신들이 치과 진료를 받았고, 서울대치과병원은 틀니·임플란트 수술 등 심화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향후 병원으로 초청해 무료 진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조정환 교수는 “고령화 시대에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해 구강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혼자 사는 어르신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사회 어르신들을 찾아뵙고 치과진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치의료 접근성이 낮은 독거노인분들을 비롯한 사회 취약계층의 구강보건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7년 처음 시작된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는 서울대치과병원·미래에셋생명·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가 주최하고 있으며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가 국민 생명 지킴이인 소방관들의 턱관절 건강 지킴이로 나섰다. 학회는 ‘턱관절의 날’을 기념해 경남소방본부 소속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무료 턱관절 진료를 지난 10월 30일 부산대 치과병원 구강내과에서 시행했다. 이날 안용우·옥수민·주혜민 교수를 비롯한 전공의 등 부산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의료진은 턱관절 장애에 따른 상담, 인상 채득, 구강 장치 제작, 물리치료를 진행했다. 학회는 턱관절의 날이 제정된 2018년도부터 현재까지 전국 각지 소방관에게 진료 봉사를 해오고 있다. 턱관절 장애는 방치할 경우 우울증·수면장애 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치료가 중요한데, 특히 소방공무원은 직업 특성상 턱관절 장애 유병률이 높아 이번 진료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턱관절의 날은 턱관절 질환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대국민 홍보에 앞장서고자 제정됐다. 기념일은 ‘119’에서 영감을 얻어 턱관절 문제의 긴급성을 강조하기 위해 11월 9일로 정해졌다. 구강내과 옥수민 교수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헌신하는 소방관에게 무료로 진료를 제공할 수 있어 감사하다”며 “이번 진료가 턱관절 문제의 긴급성을 강조하고, 치과의사가 119 소
								사과나무의료재단이 국내외 구강 건강관리 혁신을 목표로 한 POC 분자진단기기 개발로 글로벌 시장 진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사과나무의료재단은 중소기업벤처부의 ‘2024 중소기업혁신개발사업 수출지향형(전략형)’의 일환으로 ‘구강유해균 검사를 위한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운 PCR 진단키트와 POC(현장) 분자진단기기 개발’ 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과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 유망 중소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10월부터 2028년 9월까지 총 4년간 수행될 예정이다. 주관연구개발기관은 위즈바이오솔루션, 사과나무의료재단과 숙명여자대학교는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사과나무의료재단은 국내외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 제품 개발을 견인하고, 구강 건강 관리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진단 제품이 개발되도록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치주염 원인균을 포함한 구강 유해균 9종을 검출할 수 있는 qPCR 진단키트와 POC PCR 진단기기를 치과병원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강 내 세균 분포를 정밀하게 분석해 치주염 진단과 구강 건강을 현장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사과나무의료
								병의원 경영 전문 컨설팅 업체인 세마컨설팅이 개원의들에게 치과 경영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요소와 실질적인 노하우를 공유했다. ‘세마컨설팅 경영 컨퍼런스 치과편’이 지난 10일 서울 포스코타워 역삼에서 개최됐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기개원의, 개원예정의 100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치과 경영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주요 요소인 비전·마케팅·CRM·HR·CS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우기윤 세마컨설팅 대표는 ‘원장 나이별 생애주기에 따른 전략과 수익 극대화 방법’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의 포문을 열었다. 우 대표는 치과 매출 규모에 따른 영업이익 분포와 추이, 매출 별 손익계산서 비율 등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병원 성장 단계별로 시행해야 할 최적의 경영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또 마케팅, 봉직의 채용, 인센티브 제도 등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방법과 매뉴얼도 제시했다. 우 대표는 “매출은 영업 잘하는 실장 또는 실력있는 광고 대행사에 맡기고 원장은 진료만 하면 된다고 여기는 경우가 있다”며 “그러나 원장이 경영을 공부하고 올바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가 만족하고 직원이 행복한 병원이 된다면 수익은 따라오게 된다”고
								예방과 혁신을 통해 구강 건강의 미래를 전망해보는 자리가 열린다. 대한구강보건협회 2024년 종합학술대회가 오는 11월 24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1층 남촌강의실에서 열린다. ‘미래를 위한 구강 건강–예방과 혁신’을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구강 위생용품의 올바른 사용은 물론 임상 노하우, 정책 사례 등 구강 건강 증진 해법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연제로는 ▲Toothbrushing using the Toothpick Method - Its Outstanding Clinical Effect on Periodontal Diseases(Mayumi Kurose, PMJ Dental Clinic, Japan) ▲통합돌봄사업기반 방문구강건강관리 사례(장종화 단국대 치위생학과 고수) ▲구강 프로바이오틱스의 최근 경향(이성훈 단국치대 구강미생물학 교수) ▲초기 우식증과 조기 진단(김종수 단국치대 소아치과학 교수) ▲계속치주건강관리의 정석(노인기 서울플란트치과 원장) ▲구강 환경에 따른 가철성 의치적용(이청재 신한대 치기공학과 교수) ▲임상에서 구강청결제 활용법(박용덕 대한구강보건협회 회장) 등이 펼쳐진다. 강연 후에는 포스터 시상도 있
								“내년 매출 20% 성장을 위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 구조적 문제 개선 등 혁신에 힘쓰겠습니다.” 글로벌 치과 용품 제조업체인 이보클라(Ivoclar) 한국지사인 ‘이보클라 코리아’(Ivoclar Korea)의 새 수장으로 최근 부임한 박영록 대표이사가 내년을 이보클라 코리아가 ‘턴어라운드’할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박 대표는 Abbott 한국지사장 및 APAC 지역 마케팅·전략 총괄, 메드트로닉 마케팅 매니저 등을 지내며 다년간 쌓아온 경험을 토대로 성장과 혁신을 이루겠다는 포부다. 이보클라 코리아는 지난 7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박 신임 대표이사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향후 사업 계획을 밝혔다. 이보클라는 100년 이상의 역사, 한화로 1조4000억 원에 달하는 연 매출, 전 세계 130여 개국에 제품을 유통하는 세계적 기업임에도 불구, 한국 시장만큼은 변방으로 남아있었다. 일례로 이보클라는 신제품 출시를 할 때 국가별 우선순위에 따라 ‘웨이브1·2·3’으로 나눠 차례대로 공급하는데, 한국 시장은 ‘웨이브3’에 속해 있었고, 매출 비중도 전체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또 최근 5년간 한국 시장 매출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정도로 어두웠다. 박
								일선 치과 진료 현장에서 시린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 전문가용 지침이 최근 베일을 벗었다. 대한치과보존학회 민감성치아TFT가 최근 ‘민감성 치아의 날’을 맞아 ‘상아질 지각과민증 진단 질문지’를 공개했다. 이는 민감성 치아에 대한 치과의사의 진단 정확도를 높여 일선 개원가에서 자연치아 살리기의 ‘첫걸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질문지는 통증은 물론 환자 과거력, 임상 검사, 치료계획, 감별 진단 등과 관련한 20여 개 문항을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빼곡히 담아, 환자 내원 시 체크하면서 손쉽게 기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체크리스트 문항을 다양하게 제시해 진단의 정확성을 높였다. 가령 통증 정도 파악을 0~3점으로 세분화했고, 상아질 노출 부위도 침식, 굴곡파절·치경부마모, 치은퇴축 등으로 분류했다. 아울러 각 문항들은 유럽치주학회저널 등을 비롯한 해외 유수의 저널에 실린 연구 논문을 근거로 해 신뢰도를 높였다. 이 밖에도 학회는 일반인을 위한 ‘시린이 자가진단 질문지 20’도 내놨다. 질문지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총 7가지로 응답하고, 결과 해석 방법도 담는 등 일반인도 손쉽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구성
								대한치과보존학회가 민감성 치아에 대한 올바른 진단과 관리가 치아 보존의 첫걸음임을 올해도 재차 강조했다. ‘제5회 민감성 치아의 날 기념식’이 지난 1일 반얀트리클럽앤스파서울에서 개최됐다. ‘민감성 치아의 날’은 민감성 치아에 대한 올바른 진단과 관리를 통해 국민들의 구강건강에 도움을 주고자 지난 2020년 제정돼 매년 11월 2일마다 기념하고 있다. 이날 내빈으로는 강충규 치협 부회장, 권긍록 대한치의학회장, 신동우 헤일리온 대표을 비롯한 학회 임원 및 고문 다수가 참석했다. 김진우 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100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이 치아를 건강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 및 홍보 프로젝트를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날 학회는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이한 ‘민감성 치아의 날’의 의미를 되짚었다. 민감성 치아가 국내 성인 10명 중 7명이 경험하는 질환임에도 60%가 발생 원인과 관리법을 알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만큼, 치과의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날 자리에는 대한치과보존학회 민감성치아TFT가 연구·개발한 ‘시린이 자가진단 질문지 20’(일반인용), ‘상아질 지각과민증 진단 질문지’(전문가용)가 공개돼
								식립 각도가 임플란트의 성패를 가를 핵심 요소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경희치대·캘리포니아치대·컬럼비아치대 연구팀이 임플란트 각도와 골손실 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임플란트 식립 각도가 과도하게 기울어져 있을 경우 임플란트 주위 골손실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 논문은 미국치과보철학회 공식학술지인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0월 29일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에서는 2013~2021년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288명의 환자 기록을 토대로, 총 506개의 임플란트를 분석했다. 임플란트는 모두 동일한 제조사의 제품만 분석에 포함해 일관성을 유지했다. 또 CAD/CAM 프로그램을 활용해 근원심부(mesiodistal)와 협설부(buccolingual) 각도를 측정 후 임플란트의 3차원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임플란트가 치아의 교합면과 얼마나 잘 정렬돼 있는지 평가했다. 연구 결과, 임플란트 각도와 골손실 간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됐다. 임플란트가 턱뼈의 축과 평행하게 ‘축방향(Axial)’으로 식립된 경우 골손실은 0.10±0.39mm였지만, 임플란트가 턱뼈의 축과 일치하지 않거나 기울어진 ‘
								대구지부가 올해도 연탄을 통한 이웃 간 온정 나눔에 나섰다. 대구지부가 ‘사랑의 연탄 나눔 행사’를 지난 3일 안심4동에서 진행했다. 대구지부는 저소득층 가정과 독거 어르신 등 난방이 어려운 이웃을 위해 자선 골프대회에서 모금된 금액과 회원들이 납부한 후원금 등으로 연탄을 준비해 나눔 활동을 펼쳤다. 특히 대구지부 회원과 미취학 아동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가족 50여 명이 참여해 의미를 더했다. 회원과 가족들은 역할을 분담해 연탄 나르기와 쌓기 등으로 연탄을 전달했다. 한 봉사자는 “몸은 조금 힘들지만,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작은 도움을 드릴 수 있어 보람을 느낀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탄을 받은 한 어르신은 “매년 이렇게 찾아와 줘 덕분에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다”고 감사를 표했다. 이 밖에 강대식 국민의힘 국회의원과 김은옥 동구의원의 축사도 있었다. 박세호 대구지부장은 “많은 이들이 참가해줘 감사하다. 연탄 한 장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모인 정성과 마음이 크고 따뜻한 불씨가 돼 많은 가정에 전달될 것”이라며 “이웃을 향한 따뜻한 손길이 우리 사회를 더욱 밝고 따뜻하게 만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서울대치과병원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지난 3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 한화홀과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개최됐다. 서울대치과병원이 주관하고 서울치대·치의학대학원총동창회가 후원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동문, 일반 치과의사, 전공의, 학생 등 370여 명이 넘는 인원이 등록하고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특히 턱관절장애, 임플란트, 근관치료와 같이 임상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는 주제에 대한 최신 연구와 임상 경험 등 다양한 과목을 중심으로 총 11개의 연제가 발표됐다. 오전 세션에서는 ‘맹출장애, 매복치 관리’(장기택 소아치과 교수),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Clear Aligner Therapy’(백승학 치과교정과 교수), ‘임플란트 관련 상악동 합병증의 예방과 처치’(한정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임플란트 주위염 개선을 위한 합리적 방안’(구기태 치주과 교수) 등 강연이 있었다. 이어 오후 세션에서는 ‘Will Bioceramic Cements be the Promising Root Canal Filling Materials?’(금기연 치과보존과 교수), ‘골반응 향상을 위한 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