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빈과 사이버메드가 함께 마련하는 ‘월드 심포지엄’이 오는 10월 중순 서울에서 열린다. 양사가 주최하는 ‘월드심포지엄’이 오는 10월 16일(일)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호텔에서 개최된다. 올해 첫 개최되는 이번 월드심포지엄에서는 김용진 센터장(포천우리치과병원),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의원), 나기원 원장(연수서울치과의원), 조용석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 김세웅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 등 총5명의 연자가 강연한다. 김용진 센터장은 ‘Technical tips for successful GBR’, 김재윤·나기원 원장은 ‘Maxillary anterior implant treatment for esthetic outcome’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치며, 오후에는 조용석 원장이 ‘Concepts of the CYBERMED surgical tools -Surgica..
제14회 아시아태평양 치주과학회 학술대회(Asian Pacific Society of Periodontology meeting·이하 APSP)가 지난 8월 29~30일 양일간 태국 방콕 Marriott Marquis Queen’s Park 호텔에서 ‘Periodontal Innovations and Solutions for the 21st Century’라는 대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됐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16개국에서 총 436명이 참가한 이번 APSP는 코로나를 지나 3년 만에 개최된 국제교류의 장으로 눈길을 끌었다. 대한치주과학회(회장 허 익) 대표로는 APSP 직전 회장 겸 한국대표인 구 영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와 초청 연자인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치과병원)가 참석해 대한민국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홈레이 왕 교수(미시간대)가 골증대술의 원칙과 술기의 변..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코호트 프로파일 등 최신 지견을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화여자대학교 난치성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센터장 김선종 교수·이하 연구센터)가 오는 16일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 별관 B동 임상치의학대학원 강의실에서 8주년 기념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김진우 교수(이화여대)의 ‘한국인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코호트 프로파일과 다기관 운영 방안’ 등이 소개된다. 연구센터는 그간 한국인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코호트를 구축하기 위해 준비해왔고, 최근에는 보건산업진흥원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수주, 멀티오믹스 방법론을 통한 약물관련 악골 괴사증 정밀 진단법 개발과 골재생 치료후보물질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나아가 컨퍼런스에서는 김윤학 교수(부산대 의대)의 ‘오믹..
‘제57회 대한치과의사협회·경기국제종합학술대회 및 치과기자재전시회’(이하 GAMEX 2022)가 성공적 개최를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GAMEX 2022’는 ‘새로운 시작, 새로운 물결, 새로운 치과’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오는 9월 16일(금)부터 18일(일)까지 총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무엇보다 올해 GAMEX 2022는 GAMEX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치협과 공동 개최하는 만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치협과 경기지부는 합동회의 등을 통해 GAMEX 2022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공동 협력하고 있다. 현재 GAMEX 2022 조직위원회(위원장 전성원)에 따르면 학술강연 프로그램과 기자재 전시회 준비가 모두 순항 중이다. 우선 학술 프로그램으로는 치주, 임플란트, 보철, 보험, 디지털 등 진료실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임상 상황을 해..
“미신처럼 잘못 고착된 임플란트 임상의 논란을 정리하겠습니다.” 신흥의 대표 임플란트 국제 심포지엄 SID2022(Shinhung Implant Dentistry 2022)가 오는 10월 9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다. 개막 한 달여를 앞둔 지난 8월 25일 인터뷰에서 김현종 조직위원장(가야치과병원)은 심포지엄 성공에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MythBusters : Controversies to Consensus’를 대주제로 삼은 SID2022에서는 임플란트 임상의 최신 지견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김 조직위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임플란트 임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논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조직위원장은 “임상에서 논란이 되는 이슈는 계속 존재했지만, 명확치 않은 부분도 있어 많은 임상가가 갈등을 겪었다”..
성공적인 치과 경영 팁을 공유하는 자리에 개원의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디오(대표이사 김진백)는 지난 8월 21일 부산 센텀 본사 신관에서 진행한 ‘치과 성공 전략 세미나 2022’를 성황리에 끝마쳤다고 밝혔다. 디오는 지난 4월부터 서울, 부산, 대전 등지에서 개최한 ‘디지털 무치악 솔루션을 통한 치과 경영 혁신 세미나’와 함께 이번 ‘치과 성공 전략 세미나 2022’ 등 성공적인 치과 경영을 위한 강연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매출 3배 달성! 점프업의 비결!’이라는 슬로건에 맞게 성공적인 치과 경영 팁은 물론 무치악 환자를 위한 진료 솔루션 ‘디오나비 풀아치(DIOnavi. Full Arch)’ 도입을 통한 매출 상승 및 경영개선 방법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첫 연자로 나선 신인순 대표(IN-POWER 병원교육 컨설팅)는 고객..
치의학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덴탈빈(대표 박성원)이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 관련 핸즈온 세미나를 마련했다.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의원)이 연자로 나서는 이번 세미나는 오는 9월 3일 덴탈빈 디지털교육원에서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는 ▲Problem due to position and path control failure ▲Ideal position and path of dental implant ▲About digital guide surgery ▲Why the master of surgeons do not use guide? ▲Full mouth digital guide surgery 등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됐다. 또 모델 및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해 ▲Digital guide surgery on immediate case ▲Digital guide surgery with step drilling design ▲Im..
투명교정의 최신 지견을 접할 수 있는 학술집담회가 열린다.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이하 지부)는 오는 19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2차 학술집담회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집담회에는 최형주 원장(서울바른치과 안양)이 연자로 나선다. ‘Comprehensive Treatment with Clear Aligner’를 주제로 삼은 최 원장은 투명교정의 최신 지견과 임상 노하우를 심도 있게 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학술집담회 사전 등록은 오는 15일까지다. 참석자는 치협 보수교육점수와 교정학회 인정의 보수교육점수를 각 2점 획득할 수 있다. 사전등록자에게는 경품 행사 등 다양한 혜택이 부여된다.
대한영상치의학 교수협의회(회장 이병도?이하 협의회)가 하반기 활동에 박차를 가할 것을 결의했다. 협의회는 지난 8월 19~20일 용인 신흥양지연수원에서 하계 워크숍 및 정기총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협의회의 단합력을 제고하고 하반기 주요 추진 사업을 논했다. 워크숍에는 김준혁 교수(연세치대 의료인문학교실)가 나섰다. 김 교수는 ‘데이터 치의학의 윤리적 이슈’를 주제로 특강을 펼쳐, 많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어진 정기총회에서는 대한영상치의학회 방사선안전교육 및 교과서 편찬 관련 사항이 상정돼, 심도 있게 논의됐다. 이번 행사가 진행된 신흥 양지연수원은 국내 치과계 학술 교류와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자 신흥이 용인 양지에 조성한 시설이다. 이 밖에도 신흥은 치과기자재 제조, 유통뿐 아니라 학술 및 세미나, 인재 육성 등..
실질적이고 다양한 증례와 섬세한 수술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세미나가 큰 호응 속에서 막을 내렸다. 임상철 원장(하남 미사웰치과의원)이 지난 8월 27일 푸르고바이오로직스 본사 사옥에서 LTE(Lego Technique is Easy) 세미나를 진행했다. 2시간 동안 진행된 이날 강의에서는 상황별 재료 사용과 예지성 높은 결과 도출을 위한 술식이 제시됐다. “LTE 세미나를 통해 정답을 제시하기 보다는 본인에게 맞는 임상의 방향을 함께 찾아가자”는 말로 강의를 시작한 임상철 원장은 성공적인 증례만 공유하는 여타의 강의와는 달리, 실패하거나 예후가 좋지 않은 증례까지 공유, 참석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냈다. 임 원장은 콜라겐이 함유된 LegoGraft의 Block Type 모델을 적용한 증례를 기반으로 수차례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그는 이번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