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나왔다. 나래출판사는 최근 ‘즉시 임플란트의 진수’를 발간했다. 이 책은 다양한 임플란트 치료 증례와 함께 적절한 진단에 기초한 치료 난이도, 보철·기공적 지식과 기술 등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했다. 임플란트 치료는 상실된 치아에 대한 수복 치료의 옵션 중 하나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임플란트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된 나라에 속할 만큼 임플란트가 매우 보편화돼 있다. 책은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심미 수복을 함에 있어 술전의 검사와 진단, 치료 목표 설정, 치료 전략 등을 상세히 기술했다. 특히 저자의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다년간 축적된 지견과 신뢰도 높은 연구 결과가 균형 있게 담겨 있으며, 치료의 한계부터 합병증 예방에 이르기까지 실제 임상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다뤄 임상의들이 참고하기 좋다. 또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발치 즉시 식립 치료의 가이드라인뿐 아니라 기초와 임상 모두를 고려한 외과적·보철적 치료 전략 그리고 치료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까지 정리돼 있다. 목차를 살펴보면 ▲전치부 발치 즉시 식립의 개념과 유효성 ▲구치부 발치
부산대치과병원이 중국 치과의사들과 활발한 학술 교류의 장을 가졌다. 부산대치과병원은 지난 9월 16일 부산대치과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2025 2nd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Symposium’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중국 치과의사 약 40명이 참석했으며, 허중보 교수(치과보철과)가 ‘Optimizing Implant Depth and Abutment Design: A Digital Perspective’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임플란트 보철 설계의 최신 트렌드와 임상 적용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부산대치과병원에 따르면 이번 2차 행사 역시 지난 1차 심포지엄에 이어 중국 치과의사들에게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와 최신 지견을 전달함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강화했다. 김현철 병원장은 "심포지엄을 통해 양국 치의학의 상호 발전을 도모하고, 부산대치과병원의 국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해외 의료진과의 학술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치의학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주최하는 단일 기업 기준 국내 최대 규모 학술행사가 열린다. ‘Osstem Meeting 2025 Seoul’(이하 오스템미팅)이 9월 27일과 28일 양일간 서울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중앙 연구소 본사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치과일상을 즐겁게 하는 디지털 치의학 꿀 팁'을 대주제로 치과의사를 포함해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등 치과인 모두가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 진행된다. 행사 첫째 날인 27일에는 오후 3시부터 스탭 대상 특강이 4층 대강당에서 4회 진행될 예정이며 3층 세미나실에서는 대한치과보철학회와 함께하는 디지털 연수회가 동시에 열린다. 디지털연수회의 경우 사전 선착순 접수에 든 60명에 한해 실습 참여가 가능하며, 참석자들은 주제별 세미나실을 오가며 디지털 장비와 스캐너에 대해 실습해볼 예정이다. 본행사가 열리는 28일에는 보다 전문적이고 풍성한 치의학 임상 지식과 라이브 서저리까지 듣고 볼 수 있는 다양한 학술 행사가 예정돼 있다. 허인식 원장(허인식치과)이 연자로 나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한 스트레스 프리 치과 진료 구현 - 원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시작을 알
전 세계 치과의사들이 한국의 치과 교정학을 배우기 위해 내한해 구슬땀을 흘렸다.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이하 KORI)가 주최한 ‘제76차 KORI Standard Edgewise Typodont Course(이하 KORI S.E.T 코스)’가 지난 14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KORI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서울에서 열리는 KORI S.E.T 코스는 매년 두 차례, 봄과 가을에 각각 열린다. 이번 제76차에는 한국 5명, 러시아 7명, 우크라이나 7명 등 3개국 19명의 연수생이 참여해 1주일 간 교육을 받았다. 정성호 코스 디렉터의 지휘 하에 KORI 인스트럭터 7명이 실제 교육과 강연을 담당했으며, 러시아에서 2명, 우크라이나에서 1명의 인스트럭터가 참여했다. 또 이선국 트위드 국제재단 한국지회장도 이번 일주일간의 코스 전 과정을 함께 하며 교육을 적극 지원했다. 코스 커리큘럼은 에지와이즈 술식 습득을 위한 이론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이번 76차 코스부터는 최근 변화된 미국 Tweed International Foundation의 교과서 내용을 반영, 새로운 변화를 줬다는 점이 특색이다. 또 지난해부터 성재현 KORI 자문위원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이하 KORI)가 세대와 세대를 잇는 치과교정학의 미래를 공유하며 학술 역량을 집중시켰다. KORI가 지난 21일 유한양행 본사 4층 강의실에서 회원 및 관계자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33회 추계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추계 학술대회에서는 KORI 회원 등 7명의 국내외 연자들이 강연을 펼쳤으며, 마지막 순서에서는 특별강연이 진행됐다. 오전 세션의 경우 박희주 원장(바른선치과)의 ‘과학으로 다시 읽는 사파-통합임상의 길을 찾다’, 위성준 원장(동림치과)의 ‘전치부 반대교합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장기 여아의 치료’, 오진형 원장(희망을심는치과)의 ‘Face First? No, Habit Control First!’, 김호영 원장(이레치과)의 ‘안면 비대칭을 동반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절충 치료’, 장세원 원장(남악치과)의 ‘7년 걸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증례: 과연 좋은 치료일까요?’ 등의 강의들이 펼쳐졌다. 이어 오후에는 하해근 원장(서울미치과)이 ‘좋은 보철 치료를 위한 간단한 치아이동’, Utkarsh Mangal 교수(연세대 구강생물학교실)가 ‘Considerations for In-office 3
이제 막 개원가에 발을 디딘 초보 치과의사들에게 다양한 실패사례를 바탕으로 기초 임상 노하우를 전수할 신서가 나왔다. 김지윤 원장(킴스주니어치과)이 저술한 「WELCOME TO LOCAL GROUNDS, 임상의, 임상에 의한, 임상을 위한 ‘마큐레인 엔코크발 소아덴쳐 임플란트’」를 최근 명문출판사가 펴냈다. 이 책의 저자는 대부분 초보 치과의사들이 임상술기를 혼자 관찰하고 연마해 가는 과정에서 실제로 본인의 술기에 대한 피드백과 튜터링을 받을 기회가 충분치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 ‘어쩔 수 없고도 개탄스러운’ 현실을 극복하는 데는 이런 상황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있는 어떤 ‘친절한 선배’가 ‘짠’하고 나타나 줘야 하며, 이 책이 그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다. 이 책은 초심자들의 우여곡절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 그리고 다양한 실패사례 소개를 바탕으로 실전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소화하기 쉬운 노하우들을 선보인다. 그리고 지금 소화시킬 수 없는 내용들은 그 중요도에 맞게 덜 강조, 전체적인 마인드맵을 그릴 수 있도록 돕는다. 책의 주요목차는 검진과 레진, 인레이 임상 노하우로 시작해, 엔도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진단, niti-파일링 전 glide-path
덴티움이 지난 6일 광교 사옥 대강당에서 치과위생사 대상 맞춤 세미나 ‘bright Staff’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약 200명이 참석해 병원 운영과 진료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 가능한 실무 교육을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치과 운영의 핵심 축인 경영·데스크·진료실 세 영역을 아우르는 커리큘럼으로 치과위생사 뿐만 아니라 원장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스탭 채용·육성 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올바른 인재 선발과 체계적 교육의 중요성을 짚으며, 면접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질문법부터 신규·숙련 스탭별 맞춤 교육 커리큘럼까지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달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윤경희·이유리 강사(브레인스펙)가 보험 청구 실무 특강을 진행했다. 임플란트 외 다양한 보험 항목을 총망라한 이번 강연은 실무자가 놓치기 쉬운 청구 포인트와 서류 작성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줬다. 이어 박성희 강사(덴티움치과)가 진료실 세션에서 고가의 디지털 장비 없이도 효율적으로 모델리스 보철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덴티움 B.T.S(Bite Tray impression Scan) 컨셉을 소개했다. 더
덴티움이 지난 18~20일 모나코 그리말디 포럼에서 열린 ‘EAO 2025’에 참가해 제품 전시와 강연, 핸즈온 등을 진행했다. 덴티움은 이번 학회에서 bright Implant와 bright CT를 중심으로 ‘The NEXT in IMPLANT for DIGITAL MINIMALISM’ 컨셉을 선보이며, 한층 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선보였다. bright Implant는 좁은 골폭에서도 복잡한 골이식 없이 단순한 식립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Short & Narrow 컨셉을 통해 최소침습 수술을 지향하고, 임상 케이스 콘텐츠를 통해 술식 단순화와 시술자의 편의성을 더욱 돋보이게 했다. 특히, 부스 내 핸즈온에서는 좁은 골폭에 최적화된 얇고 강한 bright Implant Tissue Level과 Deep Connection 구조로 안정적인 체결력을 구현하는 bright Implant Bone Level을 직접 식립해 보며, 참가자들이 제품의 간편성과 효율성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 선보인 bright CT는 2-Tile Stitching 기능을 통해 FOV 17.5×15cm의 대면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CT촬영 한 번으로 P
글로벌 임플란트 전문기업 덴티움이 태국 치과계와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현지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덴티움은 지난 8월 27일 콘캔대학교, 9월 4일 치앙마이대학교에서 각각 ‘Dentium Implant System Seminar’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태국 내 교육기관 및 임상가들과의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했다. 이번 두 차례 세미나는 태국 북동부와 북부를 대표하는 치과대학에서 열린 것으로, 총 80여 명의 치과대학 교수진, 대학원생, 개원의가 참석했다. 단순한 제품 설명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심화 술식 교육과 핸즈온 실습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콘캔대학교에서 열린 첫 번째 세미나에서는 Pensiri Saenthaveesuk 교수와 Thachakorn Kultiyaratna 박사가 연자로 나서 ▲전략적 임플란트 식립 및 골 재생 ▲심미영역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을 핵심 주제를 다뤘다. Pensiri 교수는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을 위한 정확한 식립 전략과 GBR, 연조직 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강연했다. 실제 임상에서 재현 가능한 단계별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덴티움의 대표 임플란트인 SuperLine
합병증 가능성이 높아 임상가들이 기피하는 술식으로 꼽히는 수직골 이식술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성공 노하우를 다룬 강연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덴티스 플랫폼 OF가 지난 13일과 14일 양일간 서울 문정캠퍼스에서 ‘OF MAXIMUM GBR SEMINAR - 성공적인 수직골 이식술’을 개최했다. 이날 연자로 나선 유상준 교수(조선치대)는 다양한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수직골 이식술 성공의 핵심 ▲합병증 발생 시 적절한 처치법 ▲다양한 술식 방법 등을 강의했으며, 참가자들이 직접 체득할 수 있는 실습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했다. 첫째 날 Basic 코스에서는 골이식술의 기본 원칙부터 수직골 이식술을 위한 판막 디자인 및 수술 접근법, 자가골 채취법, 골이식재·차폐막 선택, 수직골 이식술 decision tree를 다뤘다. 이어 흡수성막·tenting screw, 비흡수성막을 이용한 수직골 이식술 실습이 이어졌다. 둘째 날 Advanced 코스에서는 골결손부 유형에 따른 다양한 술식, 성공적인 수직골 이식술을 위한 연조직 관리법, 전악 골이식술(full arch ridge augmentation), 합병증 대처 및 예방법을 심도 있게 다뤘다. 또한 Ti-
치주·임플란트 최신 지견과 실전 임상 전략을 다수 담아낸 ‘K-style’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이하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이 주최하고 경희 치주임플란트 연구회(K-PERIO)가 후원한 제11회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9월 20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02·403호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10+1, K-style 치주와 임플란트를 논하다’를 대주제로 발전, 근거, 선도, 혁신, 통찰의 테마가 담긴 임상 강연이 펼쳐진 가운데, 400여 명의 참가자들이 등록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학술대회는 메인 강연(402호)과 K-PERIO Style 세션 강연(403호)로 나눠 진행됐다. 메인 강연장에서는 ▲임플란트 주위염 ▲연조직 수술 ▲각화점막 ▲치조제 보존술 ▲상악동 골이식 ▲GBR 전략 ▲디지털 보철 등 진료 현장에서 직면하는 주제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강연이 펼쳐졌다. 이날 특히 연자로 나선 최상훈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복합 병인을 바탕으로 비외과적 관리 전략을 실제 프로토콜과 함께 소개해 일선 참가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어 한호철 원장은 연조직 수술을 5단계 포인트로 정리해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