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RN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실전 테크닉을 전수하는 세미나가 진행된다. PDRN 면역재생치의학 연구회가 주최하는 ‘PDRN TOTAL HANDS ON COURSE’가 오는 30일(일), 신원덴탈 세미나실 1층(강남구 테헤란로51길 22)에서 개최된다. 오전에는 임종원 원장(베스트치과)이 ‘PDRN의 치과 임상 활용 증례’, 설원석 원장(애플치과)이 ‘당신도 할 수 있는 CASE! 최소의 장비로 최대의 효과’, 윤종일 원장(연치과)이 ‘PDRN의 이해와 치과 임상 그리고, 골면역학’에 대해 강의한다. 오후에는 김형준 원장(OFP구강내과치과)이 ‘턱관절 질환의 병태생리 및 PDRN 주사치료법’, 권용대 교수(경희대치과병원)가 ‘PDRN pressure lift for transcrestal approach’, 이선정 원장(연세SK치과)이 ‘치과 미용의 시작: PDRN 활용하기’를 주제로 강의한다. 이어 PDRN·TMD·Skin 핸즈온 과정이 진행된다. 등록문의: 연구소(02-716-7438), 한영진 팀장(010-8949-8475)
실리프팅, 보톡스, 필러, 스킨부스터. 치과가 선도하는 미용시술의 변화 양상과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2025 미용치과협회(KADA) 학술포럼’이 오는 12월 7일(일), 오전 10시부터 강남 파이넨스 플라자(테헤란로424, 22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치과에서 가능한 미용시술들을 실제 임상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앞으로 해당 분야의 발전방향과 새로운 경영툴로써의 가능성을 가늠한다. 세미나에서는 정현수 KADA 회장(해밀턴치과)이 나서 ‘미용치과의 현재와 비래 비전’을 주제로 국내외 미용시술 시장 현황, 실리프팅 중심 최신 트렌드 분석, 치과에서 미용시술을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강의한다. 또 실리프팅, 보톡스, 필러, 스킨부스터 등 각 시술별 특장점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돼 있다. 이 외에 각 시술별로 개원가에서 해당 시술을 하고 있는 치과의사들이 직접 나서 미용시술을 도입한 경험, 환자들의 반응, 재방문율의 변화, 병원 운영 효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들이 진행된다. 미용시술 도입을 통한 경영, 마케팅 효과에 대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기대된다. 이 외에도 임상의 원장들이 미용시술과 관련해 하고 있는 고민과
근관치료에 관한 최신 기술과 치료 전략을 다수 다룬 학술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9일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미래의 개념, 현재의 기술: 최신 기술과 치료 전략들’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460여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날 ‘근관치료영역에서 최신 테크놀로지와 신의료기술 제도의 의미’를 주제로 첫 강연의 포문을 연 김선일 교수(연세치대 보존과학교실)는 신의료기술 제도의 개념과 신청 절차를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했다. 이어 Heather Lam(Carl Zeiss 세일즈 매니저)은 ‘Advancing Precision in Dentistry: The Evolution of Microscope Technology and Future Possibilities’를 주제로 치과 진료에서의 현미경의 미래 가능성에 대해 논했다. 김종철 원장(대구미르치과병원)은 ‘알아두면 쓸만한 신박한 디지털 치의학 이야기’를 주제로 현대 디지털 치의학의 주류로 잡아가고 있는 ‘Digital twin’의 개념과 임상 활용에 관해 다뤘다. 또 ‘인공지능의 치의학 연구와
덴티움이 주최한 ‘Filler & Toxin Seminar 8’이 지난 1일 광교 본사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모나리자 필러의 임상적 우수성과 시술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강연과 라이브 시연이 진행된 강연은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세미나에서는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필러·톡신 시술’을 주제로, 임상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술법과 노하우가 공유됐다. 특히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와 볼륨 감소를 개선하기 위한 Intra-oral Injection 기법과 Needle을 이용한 Bone Contact Technique이 큰 주목을 받았다. 강연에 나선 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는 “치과의사는 구강 내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교한 필러 시술이 가능하다”며 Intra-oral Injection을 통한 깊은 주름 개선과 블랙 트라이앵글 복원 등 치과 고유의 적응증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모나리자 필러의 점탄성과 균질한 주입 특성을 활용한 정밀 볼륨 디자인 기술을 소개하며 “특히 치간유두 퇴축으로 인한 블랙 트라이앵글이나 Gummy Smile 볼륨 소실 부위에 적용할 때, 자연스러운 형태 회복과 심리적 만족도가 높다”고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덴티움이 자사 신제품 ‘bright Implant’의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인허가 획득을 바탕으로, 10월 한 달간 중국 주요 도시인 사천성 성도, 운남성 쿤밍, 상하이에서 연속 개최한 임상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의 공식 인허가를 계기로 중국 시장에 적합한 임상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지 임상의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지난 10월 18일 중국 사천성 성도에서 열린 세미나는 치과 임상 내 필러와 톡신의 정밀한 응용을 주제로 진행됐다.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과 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가 연자로 참여해, 단순한 주름 개선을 넘어 필러를 활용한 임플란트 환자의 안모 조화와 심미적 만족도를 높이는 새로운 임상 접근을 제시했다. 정성민 원장은 턱관절 장애 및 하안면 근육 불균형 환자에서의 톡신 적용과 필러의 구강 내 정밀 주입술에 대해, 실제 임상 영상을 통해 안전한 시술 깊이와 해부학적 주의점을 공유했다. 이어 조영단 교수는 치간유두 퇴축(블랙 트라이앵글) 개선을 위한 필러의 심미적 응용을 다루며, 연조직과 치은 형태를 함께 고려한 술식을 소
실제 임상과 가장 흡사한 환경에서 임플란트 전반적인 내용을 경험해볼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오스템)가 오는 22일부터 이선규 원장(연세위드치과), 박창주 교수(한양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이준석 교수(단국대학교 치과대학)가 연자로 참여하는 'MASTER COURSE'(이하 마스터코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임플란트의 수술과 보철 기본과정 이해’를 대주제로 하는 이번 세미나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 및 난이도 높은 수술, 술 후 보철 과정까지의 내용을 이론 강의 및 실습을 통해 임상에서 자신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장소도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오스템 중앙 연구소 사옥 EAST동 3층에서 열려 다양한 모형과 기자재를 사용해 볼 수 있다. 특히 이론 강의 후 실습을 통해 바로 실전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며 구강 모형을 그대로 재현한 교보재를 수강생 모두에게 개인별 지급한다. 특히 마네킹은 물론 오스템 자체 교보재 등을 활용해 실제 임상 환경과 가장 흡사한 상태에서 연자들과 함께 실습해 보며 즉각적인 질의도 가능하도록 기획했다. 이선규 원장(베이직 과정), 박창주 교수(수술 과정), 이준석 교수(보철 과정)가 참
로덴치과그룹(이하 로덴)이 스탭들의 역량을 배가시키기 위한 세미나를 최근 개최했다. 로덴은 지난 10월 25일에는 서울, 11월 1일에는 부산에서 각각 ‘2025년 후반기 로덴 스탭레벨업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미나는 그룹 내 회원치과에서 근무하는 스탭들의 업무역량 향상과 보험청구 실무능력 제고를 목표로 진행된다. 로덴은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스탭들을 위한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 후반기에는 스탭들의 치과건강보험 청구 역량의 향상과 효율화를 중점을 두고 실시됐다. 특히 ‘치과건강보험 A to Z-임상과 청구가 만나는 실무가이드’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세희 강사(로덴메트로치과)를 초빙, ▲올바른 치과상병명 적용 방법 ▲재료대 신고 절차 ▲치주치료 청구 시 유의사항 ▲최신 심사 경향과 자주 발생하는 청구오류 사례 및 예방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무 강의가 진행됐다. 또 강의 중간에는 스탭들이 청구 업무 중 겪었던 실제 사례를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나누는 등 활발한 참여 분위기를 보였다. 이번 세미나는 서울과 부산 지역으로 나눠 교육을 진행, 접근성을 높였다. 참석하지 못한 직원들을 위해서는 향후 온라인 영상 강의로도
‘2025년 대한턱관절교합학회 제45회 종합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오는 12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서울아산병원 동광6층 대강당, 소강당 및 전시실에서 진행된다. 대한턱관절교합학회는 지난 6일 서울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소식을 전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고전을 기반으로, 혁신하는 미래: 고전적 교합학 이론의 재조명과 Back to the classic and advancing into the future. 고전적 교합학 이론의 재조명과 디지털 시대의 임상적 적용’을 주제로 다룬다. 우선 13일에는 김기서 원장(연세김치과)이 ‘TMD 진단 프로그램’, ‘TMD 디지털치료기기 Click Sound 앱’을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또 김성택 대한턱관절교합학회 회장이 연자로 나서 ‘진료실에서 가능한 미용치료 – 자동 주사기를 이용한 최신 치료’, ‘백세시대를 위한 수면의 질 관리 – 수면 앱 및 코골이 장치’를 주제로 강의한다. 아울러 오후에는 ▲이경제 교수(조선대 보철과)의 ‘시대를 관통하는 교합이론의 핵심’ ▲이현종 교수(연세대 보철과)의 ‘교합 진단의 전통과 디지털의 만남’ ▲노관태 교수(경희대 보철과)의 ‘무치악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임상의 완성도를 높여 더 뛰어난 임상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치과 원장들을 위한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덴티스 플랫폼 OF는 지난 1일과 2일 양일간 서울 문정 캠퍼스에서 ‘IMPLANT LEVEL UP COURSE’ 7·8회차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코스는 임플란트 임상을 경험한 치과의사들이 고급 수준의 역량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참가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지식과 중요 개념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임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과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노하우를 다뤘다. 이번 7·8회차 세미나는 ‘임플란트 장기 안정성을 위한 보철물 디자인’을 주제로, 김세웅 원장(조용석김세웅치과)이 실전 임상 사례를 중심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강의에서는 Biologic width 손상 시 발생하는 연조직 문제 대응, Emergence Profile 실패로 생기는 black triangle, 어버트먼트 위치와 각도에 따른 진지바 반응, Stock과 Custom abutment 선택 기준과 실전 적용 사례 등이 다뤄졌다. 또한 Bone level Implant 식립 깊이와 적절한 보철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이하 KAOMI)가 근거 중심 임상 노하우를 전수하는 자리를 개최했다. KAOMI는 지난 2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추계학술대회를 진행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The Art of Implant Excellence: Unveil the Unseen’을 대주제로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진행됐으며 총 6명의 연자가 강연, 270여 명이 참석해 호황을 이뤘다. 첫 번째 세션은 구정귀 분당서울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가 ‘플랩과 봉합: 실패를 줄이는 기본기의 재발견’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구 교수는 수술에서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절개, 피판과 봉합의 기본 원리를 해부학적 관점에서 다시 살펴봤다. 이어 김재영 연세대 치과대학 보철과학교실 교수가 ‘전악 보철 수복에서의 교합설정’을 주제로 전통적 원칙과 최신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전악 수복 시 교합평면과 수직 고경을 합리적이고 예지성 있게 결정하는 임상 프로토콜을 제시했다. 두 번째 세션은 박창주 한양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가 ‘한 번의 선택이-변화냐 타협이냐 (Between ideal and reality: Implant positioning decisions in comp
글로벌 치과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 스트라우만 코리아(Straumann Korea)가 디지털 치의학의 미래를 집중 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스트라우만 코리아는 오는 29일 오후 3시부터 8시 30분까지 서울 선릉역 빅플레이스(Big Place)에서 ‘스트라우만 디지털 서밋(Straumann Digital Summit)’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로 여는 치의학의 미래(Access the Future of Dentistry)’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미래 디지털 치의학의 방향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스트라우만 디지털 솔루션을 기반으로 최신 워크플로우를 살펴보고 임상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공유할 계획이다. 행사는 오후 3시 등록을 시작으로 안드레아스 마그누센(Andreas Magnussen) 스트라우만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디지털 솔루션 총괄의 개회사로 문을 연다. 이어 제프리 문(Jeffery Moon) 스트라우만 APAC 디지털 솔루션 마케팅 매니저가 ‘스트라우만 통합 디지털 에코시스템의 핵심 가치(The Core of the Straumann Integrated Digital Ecosystem)’를 주제로 발표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