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턱관절교합학회 제44회 종합학술대회가 오는 12월 7~8일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대강당, 소강당 및 전시실에서 진행된다.
대한턱관절교합학회는 지난 4일 서울역 인근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종합학술대회 주제 및 강연에 관해 브리핑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개원의를 위한 교합붕괴 환자 치료 전략’을 대주제로 열린다. 이날 마모 치열의 병인 및 치료 전략, 교합고경 유지와 증가에 관해 다룬다. 또 턱관절치료 최신 동향과 치과 경영과 관련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턱관절 시술은 무엇인지, 치의학 관련 유전질환과 정밀의학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우선 7일 첫날에는 김성택 회장이 ‘TMD진단 로직트리 프로그램(TMD wise)을 이용한 턱관절질환의 진단’을, 박형욱 원장(연세이도치과의원)이 ‘자동 주사기를 이용한 미용치료’를 주제로 강의한다. 또 이재훈 교수(연세치대)가 ‘치과에 적용되는 정밀의학’을, 김형섭 교수(일산보험공단병원)이 ‘연하장애 환자의 재활 치료’를, 이화정 교수(용인세브란스병원)이 ‘연하장애 환자의 보철 치료’를, 홍성진 교수(경희치대)가 ‘베넷각의 임상적 적용’을, 료타 타카오카(오사카대학)가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patients with Acquired open bite’를 주제로 강의한다.
8일 둘째 날에는 ▲교합과 보철적 관점에서의 치료전 ▲재료적 관점에서의 치료 전략 ▲브라켓 부분교정과 레진, 보철 수복치료 ▲임플란트 수복 수직공간 확보를 위한 부분교정치료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한 부분교정과 임플란트 수복치료 강연이 이어진다.
이 밖에도 학술대회에서는 전공의 임상증례 및 대학원생‧연구원 연구 발표가 진행되며,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된 치아 형성 평가 프로세스 개발과 교합장애와 턱관절질환, 그리고 전신질환의 관련성에 대한 포괄적 문헌탐색연구에 관한 연구과제 발표가 이뤄질 예정이다.
또 ‘교합고경 증가! 한다 VS 안한다, 한다면 얼마나 하나?’를 주제로 임상증례별 실전 100분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4시간 이상 강의 참여 시 치협 보수교육 4점이 주어진다.
김성택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회원들에게 공개할 TMD wise 앱은 턱관절 및 저작근질환 진단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웹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했다”며 “지난 2018년부터 앱 개발을 시작해 내년쯤 식약처 허가를 받을 계획이다. 학회 등록비를 완납한 회원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