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턱관절 장애 치료법을 한 자리에서 톺아볼 수 있는 특별한 학술 행사가 이달 중순 열린다.
(사)대한턱관절협회(이하 턱관절협회)가 ‘2025년 춘계 연수회’를 오는 18일(일) 오전 9시부터 서울대치과병원 8층 한화홀에서 진행한다.
‘턱관절장애에 대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치료 전략(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regions and specialists: Management of TMJ patients in your clinic)’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연수회에서는 대한민국을 비롯해 미국, 대만, 일본, 호주 등의 임상가 및 학자들이 연자로 나서 각국의 턱관절장애 진료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Dr. Daniel D. Choi(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는 ‘Minimally Invasive, Maximally Reconstructive: Contemporary U.S. Strategies for TMJ Disc Disorder Surgery’라는 주제의 강연으로 연수회의 첫 문을 열고, 이어 Dr. Arthur Yen-Hung Lin(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은 ‘Arthroscopic Discopexy for TMJ Internal Derangement: Clinical Experience and Outcomes from Chang Gung Memorial Hospital’에 대해 발표한다.
또 Prof. Kazuhiro Ooi(Kanazawa University)는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Japan and our experiences in Kanazawa University Hospital’, Dr. Hui-Hsien Ko(National Taiwan University Hospital Hsinchu Branch)는 ‘Management of TMJ Patients: Experience Sharing from National Taiwan University Hospital’이라는 주제로 각각 강연을 이어간다.
아울러 Dr. Samuel SR Kim(TMJ & Jaw Surgery Clinic)이 ‘Management of disc displacement with osteoarthritis in TMJ in Sydney, Australia’, 이정윤 원장(청춘치과)이 ‘TMD; An intricate symphony between form and function’을 주제로 강의한다. 모든 강의 종료 후에는 토론과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돼 있다.
오후에는 선착순 30명 한정으로 핸즈온 워크숍이 진행된다. 남 윤 원장(서울센텀구강내과치과)이 ‘교합안정장치의 장착과 조정: Why & How Fabrication and adjustmen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Why & How’, 박주영 교수(서울대치과병원)가 ‘턱관절 방사선 영상 판독과 임상증상기반 턱관절 질환 진단하기(증례와 그룹토론) Interpretation of x-ray, CBCT, and MRI with clinical symptoms for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TMD(Case review and small group discussion)’라는 주제로 각각 핸즈온을 지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