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5.2℃
  • 맑음강릉 14.4℃
  • 구름조금서울 17.3℃
  • 구름조금대전 15.3℃
  • 구름조금대구 18.3℃
  • 맑음울산 16.4℃
  • 맑음광주 18.7℃
  • 구름조금부산 18.3℃
  • 맑음고창 16.9℃
  • 맑음제주 19.7℃
  • 맑음강화 13.2℃
  • 구름조금보은 16.2℃
  • 구름조금금산 16.3℃
  • 맑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6.9℃
  • 구름조금거제 16.4℃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노화의 해법, 구강내과에서 찾다

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연수강좌 개최
전공의 증례 발표, 최신 연구 성과·임상 노하우 공유

 

전신과 구강의 노화 대응이 치과계의 새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구강내과적 관점에서 노화를 조명하고 임상적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는 지난 10월 19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구강내과에서 답을 찾는 노화와 그 해법’을 대주제로 202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연수강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노화와 구강건강을 잇는 해법은 구강내과에서 출발한다”는 메시지를 남기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유미 회장은 개회사에서 “노화와 관련된 최신 연구 성과와 임상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의 해법을 함께 찾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이번 연수강좌가 임상현장에서의 치료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오전에는 전공의 증례 발표 경연대회가 열려 이혜지 전공의(서울대)가 최우수상을, 김성민 전공의(서울대)와 김현성 전공의(연세대)가 각각 우수상을 수상했다.


첫 세션에서는 ‘신체와 뇌의 노화’를 주제로 김창오 교수(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가 ‘진화된 노인병의 개념과 대응 전략’을, 노 영 교수(가천대 길병원 신경과)가 ‘뇌의 노화와 치매—이해와 해법’을, 고홍섭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가 ‘구강노쇠’를 강연해 전신·뇌·구강을 아우르며 노화의 포괄적 개념을 정리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안면 및 구강의 노화, 그 해법’을 주제로 ▲강정현 교수(연세대 치의학교육학교실)의 ‘노화에 따른 구강 연조직 질환과 해법’ ▲장 민 교수(연세대 구강내과)의 ‘노화에 따른 턱관절 건강관리 해법’, ▲유지원 교수(조선대 구강내과)의 ‘노화에 따른 두개안면 통증질환과 해법’ ▲장지희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의 ‘노화와 수면장애-치과적 중재의 임상적 역할’ 강연을 통해 구강내과적 노화의 관점이 공유됐다.


별도의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안면부 노화 개선을 위한 보톡스 및 스킨부스터’ 세션이 마련됐다. 김지락 교수(경북대 구강내과)는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구강안면근긴장이상증 치료’를, 남진우 원장(탑치과)은 ‘안면노화의 원인과 치료—보톡스, 필러, 실리프팅 및 스킨부스터 시연’을 진행해 실제 임상 적용에 도움을 줬다.


아울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는 11월 8일 치협회관 대강당에서 제8회 ‘턱관절의 날’ 기념식에서 다시 한번 회원들과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