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치과의사 면허와 학위 및 자격증 취득하기
필자는 지난 2008년에서 2011년까지 3년간 미국 Los Angeles에 위치한 UCLA 치과대학에서 교정과 수련과 석사 학위를 마치고 미국 교정 전문의 자격을 취득 후 귀국했다.
치전원제로의 전환으로 길어진 학제, 치과계의 불경기로 인한 금전적인 부담, California Bench Test와 같이 비교적 수월하게 도전 가능했던 미국 지역면허 시험의 폐지 등으로 인해 최근 10년간 미국 치과대학 유학에 대한 관심이 예전에 비해 많이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미국 유학·연수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으나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기를 주저하시는, 혹은 적극적으로 이민과 치과 면허 취득을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펜을 든다.
미국에서 치과 의사 면허를 취득하려면…
1) 유학 준비: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자격 요건
유학을 꿈꾼다면, 아래와 같은 자격 요건들이 필요하다. 미국치과의사협회( www.ADA.org)를 통해 NBDE(National Board Dental Exam, 미국 치대 국가고시)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NBDE Part 1 Score
기초 치과학 (생리학, 병리학, 생화학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작년까지만 해도 이 점수가 학교 입학의 당락을 좌우하는 제일 중요한 요소였으나, 올해부터 점수제가 폐지되고, 당락제(pass/fail, 75점 이상이면 합격)로 바뀌었으므로 아래 열거한 기타 항목 등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GPA(치과대학 학점)
NBDE와 더불어 당락을 좌우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TOFEL Score
학교별로 요구하는 최소 점수가 다르니, 지원을 원하는 학교의 홈페이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사견이지만, 미국 학교 측에서 TOFEL 점수와 영어 실력이 비례하지 않다는 점을 알고 있고, 추후 인터뷰 등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재평가하므로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본다.
·기타
■ NBDE Part 2 Score
임상 치과학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이 점수를 요구하는 학교들도 있다. 몇 가지 케이스들이 주어지고 (예) 다수의 무치악궁을 가진 당뇨병 환자의 진단, 치료계획, 약물 등) 케이스에 주어지는 여러 가지 질문에 답을 요구하는 시험이다.
■ Practical Exam (학교별 실기 시험)
학교에 따라 간단한 실기 시험 (보존, 보철, 치주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필기 시험을 요구하기도 한다.
■ 전공의 경력, 연구 경력, 논문 출판 등
저명한 학술지에 출판을 한 경력이 있다면, 가산점이 부여된다. 또한, 인지도가 있는 학교 일수록 연구 경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2) 두 갈래의 진로: 치과대학 편입, 전공의(레지던트) 수련
진로를 정할 때는, 먼저 www.ADA.org를 통해 원하는 지역과 학교에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이 후 원하는 지역의 몇 군데 학교를 직접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학교의 분위기도 보고 담당자와 재학중인 학생들, 담당 교수님들과 만나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또 프로그램을 마친 후 면허를 취득할 자격을 받을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미국 치과대학으로의 편입(PPID or Advanced Standing Program)
본과 3학년에 편입해 현지의 치대생들과 같은 자격으로 약 2년 여간 원내생으로서 환자를 보는 과정이다. 미국에 이민을 와서 치과의사 생활을 할 계획이라면, 개인적으로 이 과정을 가장 추천한다. 먼저, 무엇보다 프로그램의 수준이 우수한 편이다. 즉 요구하는 케이스의 양도 많고 단계별 평가도 까다롭게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CLA의 경우 보철 requirement에 RPD 1개, 총의치 2개정도가 포함된다. 또한, 별도의 어학 연수 없이도 직접 학제를 이수하고 환자를 치료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장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미국 문화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미 전역에 다수의 학교가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등록금은 $60000-$90000/년, 기간은 1.5-3년 정도로 학교별 차이가 있다. 편입 시험에는 GPA(치과 대학 학점), TOFEL(학교별 최소 지원가능 점수가 다름), NBDE(National Board Dental Exam)Part 1 점수 등이 요구된다.
송하나
리젠치과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