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치위생학회는 지난 5월 18일 광주여자대학교 국제회의장에서 ‘AI시대, 의료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치위생 학문의 미래Ⅰ’을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우선 ‘Canadian dental hygienists : Roles and duties in clinic’ 주제로 Mi-Ja Yang(Parkview Dental Implant Group)의 해외연자 초청 강연으로 학술의 장을 열었으며, 기조 강연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ntal hygiene’을 주제로 이원진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의 강연이 이어졌다. 지정토론은 류재영 센터장(㈜와이즈에이아이)의 ‘Patient management with AI’를 주제로 한 강연과 박도영 연구소장(㈜닥스메디오랄바이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맞춤형 예방처치’ 강연으로 시작됐다. 이날 좌장 이영은 교수(한국치위생학회 총무부회장)을 주축으로 지정토론자로 장종화 교수(단국대학교 치위생학과)와 최충호 교수(전남대학교 치의학대학원)가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아울러 구연발표는 사전 심사를 통해 최우수상 3팀, 우수상 6팀으로 선정된 팀이 참여했다. 우수 포스터 시상 외에
치과 턱교정수술‧안면윤곽수술에 관한 노하우 공유의 장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대한턱얼굴미용외과연구회 주관 ‘제1회 서울 악교정 안면윤곽 수술 심포지엄’이 지난 5월 11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 현장에는 다수 참가자들이 강의 내용을 메모하는 것은 물론, 임상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할 정도로 높은 학구열을 보였다. 특히 강의 후 쉬는 시간에는 연자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이 질문을 쏟아내는 등 주제별로 많은 관심을 보였다. 세션은 크게 ▲Orthognathic surgery and temporomandibular joint ▲CAD/ CAM Assisted Orthognathic Surgery ▲Aesthetic orthognathic surgery ▲Surgery-first orthognathic surgery 등 4가지로 구성됐으며, 양훈주 교수(서울대), 허종기 교수(연세대) 등 11명이 연자가 참여해 각기 임상 노하우를 공유했다. 특히 ‘Alloplastic total replacement for idiopathic condylar resorption’을 주제로 강의에 나선 허종기 교수는 Idiopathic condyl
덴티스의 치과 의료진 전용 온라인 플랫폼 ‘OF(오브)’가 지난달 말 대대적인 리뉴얼을 진행, 사용자 편의성과 혜택을 대폭 확대했다. OF는 치과 의료진을 위한 종합 교육 및 임상 콘텐츠, 온라인 쇼핑몰, 커뮤니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론칭 1년 만에 7,000명이 넘는 치과 의료진 회원이 활동 중에 있다. 덴티스에 따르면 이번 리뉴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OF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한눈에 체감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UI‧UX 개편과 그에 따른 회원 혜택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우선, 기존 서비스별 메뉴 중심에서 사용자의 주 이용 서비스 영역 중심으로 재편했다. 구체적으로, 교육‧콘텐츠, 쇼핑, 커뮤니티 등 개인의 주요 관심 사항에 따라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메인화면을 제공한다. 로그인과 동시에 가장 자주 방문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웹 서비스도 대폭 강화했다. 특히 모바일에 최적화된 화면과 인터페이스를 추가, 이동 중이나 진료 사이의 짧은 시간에도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아울러 OF 회원만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강화
플라즈맵은 이탈리아 대학 교수진이 지난 5월 8일 자사 표면처리 기술(브랜드: ACTILINK)에 관한 임상연구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플라즈맵은 진공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의료용 임플란트 표면처리기를 개발하고 주요 글로벌 전자기기 인증을 모두 획득하며 사업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이는 특히 세계 플라즈마 표면처리 기술에 대한 임상적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 글로벌 의료기기 인증을 받고 있다. 플라즈맵은 지난해 4월 일본 의료기기 인증을 시작으로 일본의 최대 규모의 유통사 중 하나인 YOSHIDA와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빠르게 일본 시장에서 판매량을 높여가고 있다. 아울러 유럽에서의 임상연구 승인을 받으면서 안전성에 대해 일차적으로 검증했으며, 최근 다수의 논문을 통해서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해 유럽 의료기기 인증에 대한 가시성을 높였다. 임유봉 플라즈맵 대표이사는 “세계 혁신적인 기술들을 개발,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고, 국내의 글로벌 임플란트 제조사들과 이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임상시험 승인으로 유럽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하면 다수의 유럽 제조사들과 협력을 이미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출 성장성을 계획보다 빠르게
덴티스가 오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치과기자재전시회 ‘SIDEX 2024’에 참가한다. 덴티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신제품 대거 공개를 비롯, 럭키드로우 이벤트 등 역대 최대 경품 행사를 준비해 기대감을 한층 끌어올렸다. 덴티스가 이번에 선보이는 신제품 라인업으로는 ‘LUVIS CHAIR(루비스 체어) M클래스’, ‘Luvis(루비스) S300 Camera’, ‘Safe Fit(세이프 핏)’이 있다. 아울러 덴티스는 ‘루비스 체어(LUVIS CHAIR)’의 새로운 클래스, M클래스를 선보인다. 루비스 체어 M클래스는 ‘Master(전문가)‘의 이니셜로, 중대형 수술등 ‘Luvis M400’이 장착돼 진료 및 수술의 전문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수술 환경에 최적화된 차세대 촬영 솔루션 ‘Luvis S300 Camera’도 전시된다. 수술등과 FHD 카메라가 결합된 ‘Luvis S300 Camera’는 LED 41개가 구현하는 무영 효과는 물론, 카메라 옵션을 탑재해 촬영 녹화가 가능한 수술등으로 수술등 모드, 진료등 모드 등 다양한 설정 모드를 통해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디지털 보철 ‘Safe Fit(세이프 핏)’도 처
덴티스가 유라시아 대표 치과 전시회인 ‘International Istanbul Dental Equipment and Materials Exhibition 2024(이하 IDEX 2024)에 참가, 자사의 첨단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덴티스는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IDEX 2024에 참가했다. 이번 행사에는 500여 개의 글로벌 덴탈 기업과 약 9만 명에 이르는 해외 방문객이 함께한 가운데, 덴티스에서는 ▲C-SLA™ 표면 기술이 적용된 ‘SQ 임플란트’ ▲프리미엄 유니트 체어 ‘LUVIS CHAIR(루비스 체어)’ ▲구강 스캐너 ‘Medit i600 & i700 & i700w’ 등을 전시했다. ‘SQ 임플란트’는 식립이 쉽고 깊이 조절 및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고경서도에도 쉽게 적용된다. SQ 임플란트는 또 덴티스스마트클린팩토리(DSCF)의 독보적인 Clean-Tech™ 기술로 완성된 초순수 C-SLA™표면 기술이 적용돼 임상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는 독자적인 클린 공정 세척시스템과 SLA 표면 처리 기술을 통한 품질력을 인정받아 최근 독일 클린임플란트 재단에서
제노레이는 지난 16일 미혼한부모가정 성장기 자녀 지원 프로그램을 위해 1000만 원을 홀트아동복지회에 후원했다. 제노레이가 전달한 후원금은 미혼한부모가정의 자녀들이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청소년 시기에 긍정적인 성공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해외 자원 봉사활동을 지원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제노레이는 이밖에도 매년 김장나눔, 연탄기부, 급식봉사, 사랑의 헌혈 봉사활동에 전직원이 참여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뜻깊은 대외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박병욱 제노레이 대표이사는 “이번 후원으로 미혼한부모가정 자녀들이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고,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갔으면 좋겠다”며 “앞으로도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홀트아동복지회는 “미혼한부모가정 자녀의 무한한 미래와 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후원에 동참해준 제노레이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노레이는 2001년도에 설립된 영상진단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총 5개의 해외법인(미국, 독일, 중국, 일본, 튀르키예)과 글로벌 150개 파트너를 통해 전 세계 80여개국에 제노레이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매출의 76%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글로벌 헬스케
덴트링크(Dentlink) 운영사 이노바이드가 국제 행사 메인 스폰서로 참가해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반 우리나라치과 기공 솔루션을 소개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노바이드는 지난 5월 2일부터 5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개최한 제2회 K-Dental World Conference에 메인 스폰서로 참석해 성공적으로 행사를 마쳤다. 강남국제임플란트아카데미 미국지부인 GIA E&E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 활동하는 치과의사 350여 명이 참석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종합 임상 세미나로, 김영삼 원장을 비롯해 노관태, 허중보 교수, 홍성우, 김평식, 이근용, 이승근 원장 등 20명의 연자들이 나서 엔도부터 치주, 레진, 덴처, 임플란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심도 있게 강의했다. 이는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냈으며, K-Dental의 위상을 미국 치과의사들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이노바이드는 이번 컨프런스의 메인 스폰서로 미국, 캐나다 치과의사들에게 한국 기공소들을 기반으로 한 치과 기공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는 디지털 혁신을 통해서 글로벌 시장에 한국 치과 보철물의
“휴가를 쓴 직원들이 실컷 놀다가 오랜만에 출근해서 그런지 몰라도, 요즘 따라 기운이 없어보이네요. 날씨도 좋은데….” 코로나19 이후 수익감소, 구인난 등으로 치과 경영이 날마다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보어아웃(Bore-out)’인 직원들이 치과 원장들의 근심을 배가시키고 있다. 보어아웃이란 번아웃(Burn-out)의 반대말로, 직장 생활 속 지루함과 단조롭게 반복되는 업무에 지쳐 의욕이 상실된 상태를 말한다. 이와 관련 경영 전문가는 치과 내 저조한 분위기가 오래 지속될 경우, 직원 퇴사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워크숍이나 회식 등을 바탕으로 원장·직원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사내 분위기를 환기시키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최근 연휴 기간에 직원 눈치를 봤다는 A원장은 “요즘 날씨가 좋은데도 직원들이 기운 없어 보일 때가 많다”며 “종종 환자 응대에 관한 의욕이 떨어진다던가, 출근 때 유독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는데,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것 같다”라고 하소연했다. A원장은 이어 “평소 간식도 사주고, 칭찬할 만한 일을 했으면 보상으로 소액 상품권을 주는 등 나름대로 노력해 봤는데, 잘 모르겠다”며 “일상 업무가 반
치과 직원에게 이유 없이 흉기를 휘두른 50대 환자가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징역형을 확정받았다. 대법원은 최근 살인미수, 상해,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된 50대 A씨의 상고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 치료감호와 위치추적전자장치 20년 부착을 명령한 원심을 확정했다. 다수 보도에 따르면 환자 A씨는 지난해 4월 경기 수원의 한 치과에서 직원 B씨에게 흉기를 휘두르다 치과 원장에게 제압돼 미수에 그친 혐의를 받았다. 당시 A씨는 B씨로부터 오전 진료 끝났다는 말을 듣자 “그럼 지금 안 돼요?”라고 물은 후 가방에서 흉기를 꺼내 범행을 저질렀다. 사건 조사과정에서 A씨는 같은 달 11일 수원지방검찰청 남부서호송출장소에서 호송 업무를 담당하던 경찰관의 턱과 입을 때려 치아가 흔들리게 하는 상해를 입힌 혐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A씨는 지난 2009년 정신장애 2급 판정을 받았으며, 조현병 등 정신과 질환을 앓아 판단력이 떨어지고, 사물 변별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이 저하된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0년부터는 폭력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도 있었다. 당시 A씨는 수사 과정에서 “사탄이 역사해서 그런 것”, “10대 하나님이 제 몸속에 들어와 경찰
치과 간호조무사를 성추행한 80대가 법원에서 징역형과 집행 유예 선고를 받았다.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은 최근 강제추행으로 기소된 80대 환자에게 징역 4개월과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치과에서 진료를 받던 A씨는 간호조무사인 B씨에게 고맙다며 갑작스레 2회에 걸쳐 강제로 성추행을 했다. B씨는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해 불안감은 물론, 성적 모멸감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정에 선 A씨는 성추행에 고의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CCTV 영상 조사 등을 포함해 피해자의 연령과 의사, 성추행 후의 피해자의 반응 등을 모두 살핀 결과 성적인 동기가 내포된 행동이라고 판시했다. 이 밖에도 재판부는 경찰 진술조서 등을 바탕으로 A씨에게 최종 징역형 4개월과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피고인이 만 80세가 넘는 고령으로, 현 시대의 성적 도덕관념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이는 점, 아무런 범죄전력이 없는 초범인 점 등을 고려하고, 이 밖에 피고인의 성행, 환경, 범행의 동기, 수단과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을 참작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강릉원주치대 치위생학과는 지난 3일 지역사회 기반의 노인 구강보건분야 복지체계 구축을 위해 대한노인회 강릉시지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강릉원주치대 치위생학과와 대한노인회 강릉시지회는 ▲강릉지역 노인 건강 및 구강건강에 관한 상호교류 및 정보교환 ▲지역기반 노인 구강건강 증진에 관한 네트워크 체제 구축 및 운영 ▲강릉지역 노인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지원과 지역 내 홍보활동 ▲기타 지속적인 회의 등 사업 추진 내용 및 협력에 필요한 사항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윤혜영 치위생학과장은 “이번 협약은 치위생학과를 중심으로 한 노인 구강건강 증진 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발판으로 그 의미를 가진다"며 “노인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은 물론,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및 연구를 통해 지역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릉원주치대 치위생학과는 지난해 9월부터 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맞춤형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