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과 AI 기술을 접목한 미래 교정치료의 방향을 살펴본 학술집담회 자리가 마련돼 관심을 모았다.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회장 이주영)는 지난3월24일 서울 광명데이콤 강당에서70여명의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 1차 학술집담회를 열었다. 분과회의 및 학술강연으로 이뤄진 이날 집담회에서 백승학 교수(서울치대교정과)는 ‘My Experience of 3D Virtual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e Orthodontic Fields During Last Twenty Years’를 주제로 지난20년간 본인의digital transformation에 관한 연구 논문 등을 소개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견해를 제시했다. 이어 조진형 교수(전남치대교정과)는‘On the way to digital Orthodontics…’를 주제로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원리와 함께AI 기술이 향후 교정영역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설명해 많은 관심을 모았다. 한편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는오는 5월26일 ‘Clear aligners for minor anterior crowding’을 주제로 회원들을 대상으로 '
의료법인 명선의료재단 사과나무치과병원(이사장 김혜성)이 주최하고 (주)닥스메디(대표 배광학)가 주관하는 제 2차 구강위생관리 세미나가 오는 5월 12일 사과나무치과병원 7층 대강의 실에서 열린다. ‘구강위생관리를 통한 성공적인 치과경영’을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는 김혜성 이사장이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에 대해, 이정숙 부장(닥스메디 컨설팅사업부)이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구강위생관리’에 대해 강연한다. 이어 한지연·조한나 코칭 디렉터가 ‘지속적인 구강위생관리를 위한 실전 사례’ 공유를 통해 임플란트 환자의 구강위생관리와 교정환자의 구강위생관리시 항균 구강위생용품의 필요성과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세미나 후에는 시뮬레이션 및 피드백시간도진행된다. 세미나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모두 등록이 가능하며 접수는 이메일(docsmc@naver.com)이나, 카카오톡, 문자를 이용하면 된다. 담당자는 정다혜 010-2559-2240번이다.
대한양악수술학회가 창립 10주년 기념 정기학술대회를 열고 우리나라 양악수술이 걸어온 과정과 현주소를 짚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 양악수술학회는 향후 디지털 및 AI 기술 발전에 따른 양악수술 진단 등에 대한 학술활동과 더불어 치협 세부융합학회 인준을 위해 힘쓴다는 계획이다.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3월 31일 서울성모병원 의과학 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린 학술대회는 ‘대한민국 양악수술’을 주제로 그동안 수술-교정치료에 매진해 온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먼저 ‘대한민국 양악수술’을 주제로 한 세션 1에서는 류동목 교수(경희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가 ‘양악수술의 발전사’에 대해, 황종민 원장(올소 구강악안면외과 치과의원)이 ‘국민들이 바라본 양악수술의 현주소’에 대한 강연을 통해 학회차원에서 일반인들이 양악수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세션 2, 3은 각각 구강악안면외과와 치과교정과 의사가 연자로 나서 강연했다. 세션 2에서는 이상휘 교수(연세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가 ‘턱교정 수술을 위한 진단-계획의 최신 경향 - 비대칭을 중심으로’, 유상진 원장(포스유 구강악안면외과 치과의원)이
대한한의사협회가 2019년을 한의사 의료기기 확보 투쟁의 원년으로 삼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투쟁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한의협 대의원총회(의장 박인규)는 지난 3월 31일 오전 10시부터 협회 회관 대강당에서 제 64회 정기대의원총회를 열고 특별기금 등의 예산 전용이 아닌,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예산을 투입해 2019 의료기기 확보투쟁에 나설 것을 의결하고 조직적 투쟁 다짐했다. 아울러 2018 회계연도 세입·세출 가결산안을 승인하고, 2019 회계연도 세입·세출예산 및 주요 추진사업을 확정했다. 최혁용 한의협 회장은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위한 전면적 투쟁에 나서야 하며, 그 시작은 의료기기 사용 운동이 될 것이다. 모든 한의원에서 전면적으로 혈액검사를 실시해 우리 스스로 먼저 사회의 통념을 바꾸고, 국민 여론을 만들고, 이와 더불어 보험 급여화를 요구할 것”며 “한의계의 가능한 모든 역량을 집중해 올 한해를 현대의료기기 사용의 원년으로 만들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의 치사를 대독한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급속한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질병구조 변화에 따른 의료비 부담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한의학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며 “정부는 한의학의
국제치의학회 한국회(회장 김경선·이하 ICD)가 인문학 견문을 넓히기 위한 강연을 마련했다. ICD가 지난 3월 25일 서울클럽에서 학술 집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가 ‘권력과 신화, 그리스로마 신화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그리스로마 시대의 권력자들이 권력유지 수단으로서 신화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설명했다. 또 신화 속에 내포된 스토리텔링적 의미를 살펴보며 전문인으로서 갖춰야 할 인문학적 소양과 시사점에 관한 강의를 펼쳤다. 김 교수는 특히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 나타난 그리스문명과 트로이 전쟁의 실상, 이를 영웅적 행위로 포장한 호메로스의 스토리텔링의 효능과 시사점, 디오니소스 제전의 정치적 의도, 그리스 참주들의 문화정책을 통한 위기극복 등을 설명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현실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CD 회원들은 강연이 끝나고 질답시간을 가지며 문화를 통한 권력 형성과정에 대한 의견들을 교류했다. 한편 ICD 학술집담회는 매월 넷째 주 화요일에 인문학, 학술, 경제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 중이다. 4월 학술집담회는 김헌 교수가 3월 학술집담회에 이어 그리스로마 신화와 의학에 관한 주제로
연세치대 여동문회(회장 차가현)가 여동문 선후배간의 교류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연세치대 여동문회가 지난 3월 21일 연세대 백양누리프라자에서 ‘2019 연세치대 여동문의 밤’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성호 연세치대 학장, 강충규 연세치대 동문회장, 지영림 연세대 총여동문회장, 박인임 치협 부회장 등을 비롯한 80여명이 참석했다. 최성호 학장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연세치대 동문들이 사회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다”며 “많은 여동문들이 가족을 보살피고 국민구강건강을 지키고 있다. 이런 동문들의 힘을 받아 연세치대가 최고의 치의학교육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여동문들의 지속적이고 세심한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강충규 연세치대 동문회장은 “여동문회가 발전해서 연세치대 동문 전체가 발전할 수 있길 바란다”며 “동문들이 단합할 수 있는 활동들을 준비 중이다. 동문회장 골프대회가 4월 28일에 예정됐다. 많은 참여 바란다”고 축사했다. 차가영 회장은 “최근 화두가 재미있게 사는 법이다”며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큰 재미는 교류하는 재미다. 오늘 행사에서 선후배간의 교류를 가지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여동문회는 한국여성재단을 통해 사회 약자를 돕는 활
정민호 원장(아너스치과교정과)이 미국 하와이 카우아이에서 열린 Angle Society Southern California Component(ASSCC) 학술대회에 참가해 ‘Most interesting case award’를 수상했다. ASSCC는 모든 회원들이 매년 치료가 끝난 2증례를 발표하도록 하고 이를 심사해 가장 난이도가 높거나 치료가 잘 된 증례를 선정해 시상을 하고 있다. 정 원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Unusual extraction : what should we consider?’ ‘Treatment of severely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를 주제로 두 차례 강의를 진행했다. Angle Society는 2년에 한번 모든 지부가 참석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이때 각 지부에서 2명을 대표로 뽑아 강의를 하는데, 정민호 원장은 2015년에 이어 두번째로 지부 대표연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얻었다.
하버드대 치대 김민준 부교수가 치주과 Head (Division Head of Periodontology)와 평생교육 디렉터 (Director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에 임명됐다. 김 교수는 그동안 대학원 디렉터 (Director of Advanced Graduate Education in Periodontology)와 평생교육위원회 Chair(Chair the Standing Committer in Continuing Education)를 역임했다.
한국임상교정치과의사회(회장 구본찬·이하 KSO) 4월 학술집담회가 오는 12일 노보텔 엠베서더 호텔 지하 1층 보르도룸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허정민 원장(허정민 치과교정과 치과의원)과 박기호 교수(경희대치과병원 교정과)가 각각 ‘효율적인 설측교정 마무리를 위한 제언’, ‘구순구개열 교정 치료의 단계 분류와 급여 적용’에 대해 강연한다. 먼저 허정민 원장은 이날 강연을 통해 설측교정의 마무리 단계에서 고쳐야 할 에러들의 원인과 쉽고 효율적인 마무리를 위해 에러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허 원장은 “포괄적 교정치료의 세 단계 중 마무리 단계에는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에러들을 모두 수정하고 치료의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설측교정 초창기에는 마무리가 아주 어렵고 심지어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기도 했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설측 교정 술식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초창기 보다 쉽게 치료를 마무리 할 수 있게 됐다”면서 “하지만 여전히 설측교정의 마무리를 어려워하거나 심지어는 설측교정 장치로는 순측교정만큼의 치료결과를 만들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교정의 들이 있는 것 또한 현실”이라고 밝혔다. 박기호 교수는 구순구개열 교정 보험을 위한 그동안의 경
한국악교합교정연구회(회장 최은아·이하 연구회)가 2019년 첫 월례회 및 총회를 지난 3월 20일 노보텔 앰버서더 호텔에서 열고 회원들 간 임상경험을 공유하고 화합과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월례회에는 장연주 원장(리마치과의원)이 ‘인비절라인 치험례’를 주제로, 진영석 원장(서울바른치과교정과치과의원 강동점)이 ‘브라켓 부착을 위한 표면처리’를 주제로 강연했다. 장연주 원장은 난이도에 따른 인비절라인 치료증례를 발표하면서 인비절라인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사항과 고려돼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 발표했다. 특히 인비절라인을 이용한 발치 교정치료 시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 치료할 것을 당부했다. 진영석 원장은 다양한 재료의 보철물 상에서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최신지견을 나누면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지르코니아 보철물 상에서 브라켓 부착에 대한 효과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했다. 강연 이후에는 총회가 열려 지난 회기의 회무 및 재무를 결산하고 이번 회기의 주요 현안과 새로운 집행부 및 신입회원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한국악교합교정연구회는 지난 1989년 창립돼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
세계적인 임플란트 오피니언 리더 Dr. Maurice Salama와 국내 최고의 Sinus Surgery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Sinus Surgery의 흐름을 재조명하고 궁금증을 해소하면서 기본부터 다시금 짚어본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주)신흥이 후원하고 A.T.C 임플란트 연구회가 주최한 ‘A.T.C Implant Annual Meeting 2019’가 지난 3월 24일 서울 COEX 3층 오디토리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Sinus Surgery – Revisited’를 주제로 한 이번 미팅은 Dr. Maurice Salama와 A.T.C 임플란트 연구회 메인 디렉터인 오상윤 원장(아크로치과), 함병도 원장(카이노스치과), 팽준영 교수(삼성서울병원), 김성언 원장(세종치과)등 국내외 임플란트 대가들의 토론과 Live Surgery, 다채로운 체험 이벤트와 선물이 준비된 DV WORLD를 즐기기 위한 참석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 Dr. Salama 특강, 국내외 연자 토론 ‘백미’ 오전 강연에서는 Dr. Salama의 Special Lecture에 이어 국내 연자들과 함께한 토론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The New Age
한국접착치의학회(회장 최경규·이하 학회)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추계학술대회에 이어 연속으로 500여명 이상 참가인원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쳤다. 학회 측은 참가자 중 300여명 이상이 비회원이었고 100% 자율등록 인원이었다며 신진 연자진과 알찬 학술프로그램 구성이 이번 학술대회의 성공요인이었다고 자평했다. 3월 24일 강남성모병원 마리아홀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수복치료, base부터 zirconia까지’를 주제로 접착과 복합레진 수복, 세라믹과 지르코니아의 간접수복 그리고 접착의 다양한 임상 응용 등 레진 수복 치료와 관련해 임상가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부분들을 집약해 강연을 편성했다. 특히 ‘무림의 고수’로 인정받는 새로운 인물들을 연자로 발굴해 연단에 세워 더욱 주목을 받았다. 학술대회에서는 먼저 김도현 교수(연세치대 보존학교실)가 ‘Base: When? What, How?’를 주제로 base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들과 각각의 특성 등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서병인 박사가 ‘지르코니아 접착의 모든 것’, 박종욱 원장(드림치과의원)이 ‘좋은 접착을 위한 최소 삭제 라미네이트의 실체’를 주제로 치아 건강의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최상의 심미적인 결과물을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