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김양근 · 이하 치기공협)가 주최하는 KDTEX2017 국제학술대회가 화려한 막을 올린다. 오는 7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KDTEX 2017 국제학술대회는 ‘ANALOG ∞(인피니티) DIGITAL’이라는 대주제로, 최신 기공기술의 테크닉과 치과기공학 트렌드를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는 게 주최 측의 강조점이다. 치기공협 임원단은 지난 6월 26일 치기공협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물리적인 국경을 넘어서 모든 치과기공인들이 함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축제의 장,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사진>. 학술 강연은 해외연자 6명을 비롯, 국내연자 19명 등 총 25명이 연단에 서서 최신 기공 트렌드를 참가자들에 전달할 예정이다. 업체는 101개 업체, 324 부스 정도의 규모가 참가한다. 강연은 최신 치과기공에 대해 설명하는 James Choi의 ▲기술혁명을 필두로, ▲치아리모델링 개념에 입각한 치료계획에서부터 최종 수복물까지의 인공지능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이성복 교수)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의 심미적 수복을 위한 이론과 실천(정찬권, 김덕중) ▲Occlu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알려진 두타스테리드(제품명 : 아보다트)가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의 위험을 높이고 성 기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 의대 연구팀이 전립선 비대증 환자 460명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한 임상실험 결과 위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전체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230명씩 반반으로 나누어 A그룹(47~68세)엔 두타스테리드를 하루 0.5mg, B그룹(52~72세)엔 또 다른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인 탐술로신(플로맥스)을 0.4mg씩 투여하면서 36~42개월 동안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관련 이상 증상인 하부요로 증상(LUTS: lower urinary tract symptom)이 개선되는지를 지켜봤다. 그 결과 A그룹은 전립선 용적과 전립선 특이항원(PSA)이 줄어들면서 하부요로 증상이 크게 개선됐지만,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ALT, AST 수치가 모두 상승하고,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아져 성 기능 역시 저하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반면, B그룹은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장시간 익스트림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은 위장건강에 신경 써야 하겠다. 장시간의 고강도 운동이 위장 기능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의가 요구된다. 호주 모나쉬대학의 연구팀은 사이클링 같은 고강도 운동을 2시간 이상 계속하면 위장 세포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헬스데이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지난 20년 사이에 발표된 관련 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강도 높은 운동을 오래하게 되면 혈류가 위장에서 운동 근육으로 쏠리면서 혈류부족으로 위장 세포가 사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소장의 벽에 염증과 손상이 생기면서 세균이 혈류로 침투하는 장누출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 나타나면서 전신의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성도 제기됐다. 운동으로 인한 이러한 소화관 기능장애의 시발점은 강도 높은 운동을 2시간 계속해 신체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60%에 이르렀을 때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관 기능장애는 운동의 강도나 높을수록, 운동 시간이 길수록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고강도 운동을 하다 위에 통증을 느끼면 뭔가 잘못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
수면의 질이 잇몸건강도 좌우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치과에서 환자 상담 시 참고사항으로 안내하면 좋을 듯하다. 잠을 충분히 자면 잇몸 건강에 도움이 되고, 반대로 잠이 충분치 못하거나 수면의 질이 나쁜 경우 잇몸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오사카대 치과대학 연구팀이 생산직 근로자 219명을 대상으로 흡연, 수면시간, 음주량, 스트레스, 영양상태, 아침식사 여부, 근무시간 등 생활습관 행태를 조사하고 내린 결론이다. 이 연구결과는 헬스데이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조사 대상자 219명 중 약 41%에서 잇몸질환이 진행 중이었으며 모두 흡연자였다. 연구팀은 잇몸질환을 일으킨 첫 번째 주범을 ‘흡연’으로 지목하고, 수면부족을 그 다음으로 지목했다. 관찰결과 하루에 7~8시간 숙면을 취하는 사람은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보다 뚜렷하게 잇몸질환의 진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음주도 잇몸질환의 진행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됐다”며 “수면부족이 인체의 면역력을 약화시켜 잇몸질환을 유발하고 잇몸병을 빠르게 진행되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팀은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해 치아를 깨끗하게 하고 충분히 수면을 취하는 작은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여환호·이하 카오미)가 광주전남지부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오는 30일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당에서 열리는 이번 집담회는 약물성 악골괴사증에 대한 최신지견이 공유될 예정이다. 이날 연단에 서는 이정근 교수는 Current opinion on MRONJ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더불어 카오미 광주전남지부는 케이스와 임플란트 치료 전후 임상, 방사선 사진을 보내주면 추첨을 통해 푸짐한 선물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27일까지이며, kijh2342@naver.co으로 보내면 된다. 문의 : 062-220-3824(김재훈)
오스템휴비트 교정포럼이 이번에는 대전에서 강연을 열고, 대전충청권 유저들을 찾아간다. 오는 7월 9일 원광치대병원 5층 대강당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지난 포럼의 연장 선에서 미니스크류에 대한 최신지견을 전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강연은 이상민 교수(단국치대)의 ▲Various applications of mini-implant를 시작으로 ▲발치환자의 심미적인 교정치료와 브라켓의 선택(차정열 연세치대 교수) ▲하악 3전치 case에서 미니스크류를 사용하여 견치를 전치로 치환할 때의 고려사항(채화성 원장) ▲Esthetic consideration of upper incisor display(임중기 원장) ▲Various applications of mini screws for molar control(김태관 원장) ▲Effectiveness of bone anchored facemask(정동화 단국치대 교수) ▲디지털 진단과 step by step procedure(이기준 연세치대 교수) 등의 강연이 이어진다. 권병인 조직위원장은 “미니스크류의 개발과 임상적용에 있어 세계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 연자들을 모시고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임상적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영균·이하 이식학회)가 독일임플란트학회를 공식 초청해 강연을 듣고, 상호교류협력을 다지는 협약식도 맺는다. 이식학회는 오는 7월 17일 서울치대병원 제1강의실에서 독일임플란트학회(German Association of Oral Implantology·DGI)와 상호교류협력 협약식 및 독일임플란트학회장 초청 학술강연회를 연다. 이식학회와 협약식을 맺기 위해 방한하는 독일임플란트학회는 약 8000명의 회원이 활동, 유럽의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가장 큰 단체 중 하나이며, 일본, 스위스, 체코, 헝가리, 바레인, 아랍 각국과 파트너십을 맺고 임플란트 임상술기 및 학술지견을 공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식 및 학술강연회에는 DGI의 직전회장이었던 Dr. Gerhard Iglhaut가 참석, 이식학회와 협약을 맺고, Innovative Soft and Hard Tissue Augmentation Techniques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간다. Dr. Gerhard Iglhaut는 치주과전문의(EDA), 치과임플란트전문의(DGI)로서 현재 프라이부르그대학병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초청강연과 더불어 김현철 명예회장의 강연도 이어진다. 김
부산지부(회장 배종현)를 중심으로 부산지역의 의약단체가 치협에서 진행하고 있는 ‘1인1개소법 수호를 위한 100만인 서명운동’에 적극 동참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난 21일 부산지역 의약단체장은 간담회를 갖고, 현재 치협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1인1개소법 수호 캠페인에 힘을 모으기로 하고, 국민을 대상으로 한 100만인 서명운동에도 각 단체들의 역량을 보태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배종현 부산지부 회장을 비롯해 오세형 부산시한의사회장, 김선옥 건강보험공단 부산지사장, 최창욱 부산시약사회장이 참석해 치협이 주도하고 있는 ‘1인1개소법 수호’의 당위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대한약사회(회장 조찬휘)는 20일 “1인1개소법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므로 (중략) 합헌으로 판결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는 치협의 100만인 서명운동의 논리를 전국 지역약사회에 공문으로 발송하고, 서명에 동참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부산시약사회는 발 빠르게 지역 회원을 대상으로 온 ‧ 오프라인 서명운동에 동참하도록 독려하는 등 가장 활발하게 치협의 1인1개소법 수호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배종현 부
나성식 원장(스마일재단 이사장)이 이승종 연세치대 명예교수에 이어 자연치아아끼기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의 상임대표에 취임했다. 지난 12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7 자연치아아끼기운동본부 정기총회에서 임원들은 나성식 원장을 새 상임대표로 선출하고, 사업보고 및 올해 사업계획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 갔다. 이날 이승종 상임대표는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임기를 차질 없이 마칠 수 있었던 데 대해 감사드린다”면서 “자연치아아끼기 운동은 치과의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보루인 만큼 앞으로도 미력이나마 힘을 보태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그동안 운동본부는 칼럼연재, 정기세미나 개최, 대국민 홍보물 배포 등을 통해 자연치아에 대한 치과의사와 국민의 의식을 바꾸고자 노력해 왔다. 이날 운동본부는 사업보고 및 계획 논의와 별도로 이긍호 전 스마일재단 이사장을 초청, 특강을 듣기도 했다. 이긍호 전 이사장은 ‘겸손을 잃지 말자’라는 주제로 자연치아아끼기 운동에 대한 중요성과 치과의사로서 지녀야 할 겸손함에 대해 강조했다. 한편 나성식 신임대표는 “자연치아가 입 안에 있을 때, 빠지기 전에 최대한 아껴서 쓰자는 게 우리 운동의 취지지 임플란트나 보철을 배제하자는 게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여환호·이하 카오미)가 일본 도쿄에서 열린 Osteology Japan에 참여, 내년 서울에서 열리는 Osteology-KAOMI iAO 2018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돌아왔다. 지난 3~4일 양일간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Osteology Japan에 카오미 임원 및 관계자 10명이 참가, 내년 3월 10~11일 양재동 The K-Hotel에서 개최되는 Osteology-KAOMI iAO 2018을 홍보하는 부스를 운영했다. 내년 Osteology-KAOMI는 joint meeting으로, KAOMI 창립 25주년 기념식과 함께 진행되며, Osteology Foundation 회장인 Mariano Sanz 박사의 강연 등 국내외 저명 연자의 강연이 마련될 예정이다. 3일 진행된 심포지엄에서는 Clinical Forum을 주제로, 일본 임플란트 학회 관계자들 및 현지 치과의사들의 발표가 있었고, Osteology Foundation에서 Mario Roccuzzo박사와 Mariano Sanz 회장의 발표가 이어졌다. 저녁에 카오미 측은 Osteology Night에 초청, 세계 각국의 저명 연자들과 교류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카오
“학회 창립의 목적은 단순히 정확한 치과진료를 위한 진단과 검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인류의 건강과 복지에 봉사하는 치과의사의 정명(正名)을 세우기 위한 것입니다.” 메디컬 분야와 비교해 치의학의 상대적인 약점으로 지적돼 온 진단과 검사 분야를 활성화, 치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가칭)대한진단검사치의학회(회장 류인철·이하 진단검사학회)가 닻을 올리고, 항해를 시작했다. 지난 16일 진단검사학회가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학회의 출범을 알렸다. 초대 회장에는 류인철 교수(서울대치의학대학원)가 선출됐으며, 김철수 협회장이 외빈으로 참석해 학회 창립에 축하의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사진>. 진단검사학회는 작년 11월 경 진단검사 분야의 발전을 위한 연구회 형식으로 창립, 약 5회 정도 정기적 학술집담회를 이어오면서 학회 설립을 준비해 왔다. 이날 열린 발기인 대회 및 창립총회에서 류인철 초대회장은 “출범하는데 김철수 협회장님께서 참석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면서 “지난 10년 간 창립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기운이 싹트고 성장해서 오늘 창립의 원동력이 됐다고 생각한다. 치과의사를 비롯해 위생사, 기공사 모든 분들이 함께
선진임플란트연구회(회장 한기덕·이하 AIRA)가 작년에 이어 뉴욕대학교(NYU)를 찾아 공동 심포지엄을 진행하고, NYU 출신 임상가들과 협력의 시간을 다지고 돌아왔다. 지난 5월 3일부터 7일까지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AIRA회원들과 NYU출신 임상가들 모임인 THINK DENTAL 측이 연자로 나서 양 단체의 임플란트 술식과 관련된 최신지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사진>. 심포지엄은 ▲Licensure/Admission Requirements for Foreign Trained Dental Graduates to enter in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Dr.Penugonda)를 시작으로 ▲Current Knowledge in Managing the Single Tooth Implant in the Aesthetic Zone(Dr. Stephen Chu) ▲predictable aesthetic management of alveolar ridge and anterior Maxilla(Dr. David Chong) ▲Current Trends in Maxillary Sinus Augme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