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명이 넘는 초등학생이 너른 시청청사의 로비에 모여서 잇솔질과 치실질을 한다. 심사를 맡은 치과의사들은 눈을 번뜩이며 학생들의 잇솔질, 치실질을 관찰하면서 채점표에 채점을 해나간다. 한 조 당 10명으로 구성된 학생들은 이래봬도 해당 지역의 예선을 거쳐서 올라온 지역대표 ‘잇솔질 선수들’이다.대만치과의사협회가 주최하는 ‘대만 초등학교 이닦기 경진대회’가 화제다. 원어 행사명은 ‘潔牙比賽’. 청결한 치아 경진 잔치라는 의미이다. 이 이야기는 제8회 아시아학생구강보건학술대회(Asian Conference of Oral Health Promotion for School Children · ACOHPSC) 조직위원회에 참석한 박덕영 교수(강릉원주치대 예방치학교실)가 페이스북에 소개하면서 입소문을 탔다. 박 교수는 지난달 FDI 공중보건위원으로 당선된 바 있다.박 교수에 따르면 대만 이닦기 경진대회의 방식은 이렇다. 4월부터 2개의 직할시와 22개의 현(縣)·시(市) 등 총 24개의 지역에서 이닦기 챔피언을 뽑는다. 재밌는 것은 개인전이 아니라 10명의 팀을 구성, 단체전으로 진행해 경쟁과 동시에 협력을 가르친다.이런 과정으로 뽑힌 각 지역의 대표선수들은 타이페이
여성의 생물시계는 나이가 들면서 빨라져 43세가 되면 임신성공률이 37세 비해 10배 정도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연구진이 불임치료를 받는 20세에서 45세 여성 200여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했다고 데일리메일이 최근 보도했다.연구진의 연구결과 여성이 43세가 되면 정상적인 하나의 배아를 만들어 내기 위해 평균 44개의 난자가 필요한 데 비해 37세 여성의 경우 4.4개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3세 여성은 37세 여성에 비해 임신하기가 10배 정도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연구팀의 메레디스 브라우어 박사는 “35~37세 사이는 임신 성공까지 필요한 난자의 수가 평균 4.4개 인데 반해 임신 성공에 필요한 난자의 수는 38세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38~40세는 평균 9.4개, 41~42세는 10.1개”였다며 “42세가 넘으면서 임신 성공률은 급격하게 떨어져 임신 성공에 필요한 난자의 수가 무려 44개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허성주·이하 카오미)가 ‘빛고을’ 광주에서 추계학술대회를 열고 지부 회원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지난 19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임플란트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열린 ‘2014년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허성주·이하 카오미) 추계학술대회’는 김희중 카오미 광주전남지부 회장(조선대 치의학대학원 보철과 교수)이 대회장을 맡아 광주·전남지역 회원들을 대상으로 ‘임플란트의 모든 것’에 대해서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로 꾸며졌다.김희중 대회장은 “지방에 계신 치의들은 서울과 달리 최신지견 등 트렌드를 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과거에 축적된 데이터를 돌아보고, 최신 술식 정보와 보험 등 임플란트의 현재 그리고 디지털 덴티스트리로 대변되는 미래까지 점검해보는 자리로 마련됐다”고 강조했다.카오미 임원진과 저명연자들이 직접 나선 강연은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했다는 호평이 이어졌다. 박기덕 원장의 ‘상악 전치부 임프란트에서의 작은 고민들’로 시작된 강연은 심준성 교수의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Prosthodontic Problems’, 함병도 원장의 ‘Clinical
영남권 최대 학술대회인 ‘2014 영남 국제 치과 학술대회 및 기자재 전시회(YESDEX2014)’의 개막이 25일 앞으로 다가왔다.오는 11월 15, 16일 부산 BEXCO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YESDEX2014는 울산지부(회장 남상범)가 주도하고, 부산지부(회장 배종현), 대구지부(회장 민경호), 경북지부(회장 반용석), 경남지부(회장 박영민)의 회장이 공동대회장을 맡는 방식으로 조직위원회를 구성, 운영해 왔다. YESDEX 조직위원회(위원장 허용수)는 지난 11일 부산 BEXCO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화려하고 보기에 거창한 대회보다, 참여 회원·기자재 업체 모두가 만족하고 즐겁게 참석하는 대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이번 YESDEX2014는 ‘Answer is YESDEX2014 ULSAN’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Advanced, Academic, Achieve, Accompany 등 ‘4A’를 기조로 치러질 전망이다.국내를 포함한 15개국 치과의사 및 관계자 약 4000여 명이 참석하고, 120여 개 업체가 참석해 400여 개 부스 규모로 운영되는 YESDEX2014는 11월 14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보철, 근관치료, 보험, 디지털덴티
소아·청소년의 안면 근기능 개선, 균형 잡힌 안면성장을 위한 치료법을 논하는 강연회가 마련됐다.MRC코리아(Myofunctional Research Company·대표 박동신)가 마련한 강연회는 이 분야의 권위자로 꼽히는 홍기상 원장(청담CDCD어린이치과의원), 안소연 원광치대 교수, 심연수 선문대 교수를 초빙해 오는 25일부터 11월 29일까지 청담동CDC어린이치과에서 강연을 진행한다.▲25일 근기능, 안면성장 및 총생 등 배경이론에 대한 강연을 시작으로 ▲11월 1일 장치 사용 방법 및 증례, ▲15일 실습 위주 - Bent Wire System, Biobloc stage1, Planas Buildups, ▲22일 진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이드 및 실례, 29일 Role-play 시행 및 토론을 진행한다.MRC코리아는 소아·청소년 안면 근기능 개선, 안면성장을 위한 보조장치를 개발하는 업체로, 이번 강연회에 대해서 “요즘 어린 아이들에게서 안면 장애, 근기능 저발달 등의 현상들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번 강연은 그런 현상을 치료하는 선진 치료법에 대한 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 레이저치의학계의 유명 연자들이 한국에 모여 레이저 치료에 대한 식견을 나누는 장이 성대하게 벌어졌다.지난 4일, 5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2014 Asia-Pacific Super Symposium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대만, 홍콩 등의 저명한 연자가 연단에 서 세계 레이저 치의학에 대한 동향을 설명하고 술식에 대한 정보를 나눴다.한국의 은희종 원장(로덴예인치과의원)을 비롯해 샘 로우 전 미국치주학회 회장, 마크 크론쇼 영국 이퀄오브와이드 전문치과의사, 크리스 월런스키 WCLI사무총장 등이 연자로 참석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Laser Energy Safety, 7 Fundamental Procedures 등을 주제로 강연, 수백 명의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이번 강연을 주최한 조이스덴텍(대표 최원규)은 ‘Waterlase iplus’ 등 물방울레이저 기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업체로, 이번 강연에 대해 “세계 레이저치의학계에서 내로라하는 연자들을 초빙해 세계 레이저 치료의 흐름과 국내 치의학계의 과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설명했다.문의 : 02-461-2778(서울사무소), 051-647-9950(부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 · 이하 복지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시작된 13일, 야당 의원들은 일제히 제주 ‘싼얼병원’을 불승인하는 과정에서의 복지부의 안이한 대응을 질타하고 나섰다.복지부는 지난 9월 싼얼재단 회장의 구속 수감, 관련 모기업들의 부도로 인한 투자적격성 문제, 현지 줄기세포 시술의 국내 반입 등을 이유로 최종적으로 싼얼병원에 대한 설립 불허가 결정을 내린 바 있다.이번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이런 문제들을 복지부가 진작에 파악하고 있었으면서도 기재부와 청와대의 눈치를 보느라 판단을 미루다 뒤늦게 불승인 결정을 내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최동익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복지부는 지난 8월 이미 싼얼병원의 설립을 계속 추진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보도자료에도 이를 기재했음에도 불구하고, 9월 입장을 바꿔 최종 불승인 결정을 내렸다”며 “청와대와 기재부가 무서워 추진한다고 하고, 문제가 확인되니까 갑자기 입장을 바꿔 불승인한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같은 당 김용익 의원은 “올해 1월까지 제주도에 1호 투자개방형 외국영리병원 승인하겠다고 못 박으면서, 장관 역시 투자의 여력이 있다면 해야하지 않겠냐고 발언한 바 있다”며 “이후 각종 의
이명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의원이 중장기적 구강건강 예방사업을 통한 국민 구강증진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명수 의원은 14일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 · 이하 복지부)의 국정감사에서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젖니충치경험치 지수는 OECD 국가 중 만년 최하위를 이제 겨우 벗어나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나라 구강보건 예산은 노인틀니, 임플란트 급여화 등 노인관련 정책에 편중되고 있다”고 비판했다.보건복지부의 ‘2014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에 따르면 12세 1인 평균보유 충치경험 영구치수는 한국이 1.8개로, 덴마크(0.6개), 독일(0.7개), 네덜란드(0.8개), 호주(1.0개)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 의원은 “성장이 빠른 어린이의 치아에 무관심한 경우 영구적으로 치아 배열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충치예방사업과 학교구강보건실 설치 확대를 통해 국민의 구강건강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예방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이명수 의원은 “구강질환은 생활습관에 의해 주로 발생하고, 조기발견이 가능하며 조기치료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국가가 관심을 갖고 국민
사과에 비만을 막을 수 있는 성분이 들어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워싱턴주립대학 식품과학대학 연구팀은 사과에 많이 들어있는 식이섬유, 폴리페놀 등 생물활성 성분이 장 내 유익균을 증가시켜 체중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이 성분들은 소화가 어려운데, 입에서 씹히고 위산과 소화효소에 노출된 뒤에도 대장에 이르기까지 고스란히 남아 유익균의 영양소가 된다는 게 연구팀의 견해다.이 성분들은 대장에 있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돼 부티르산(butyric acid)이 생성되면서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이러한 활동이 장내 유익균의 균형이 깨져 있는 비만한 사람의 유익균 균형을 회복시켜 비만을 막아준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사과를 먹인 비만 쥐들과 정상 체중의 쥐들의 분변 속 세균총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익균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연구팀의 줄리아나 노라토 박사는 “장내 박테리아는 우리가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장내 박테리아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비만과 만성 염증이 나타나고 이는 당뇨병 등 대사질환으로 이어진다”며 “사과를 먹는 습관은 이런 불균형을 잡아주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카레에 들어있는 강황이 뇌 손상을 치유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독일의 신경과학 · 의학연구소의 연구팀은 카레의 원료인 강황에 들어있는 방향성 정유(aromatic-turmerone)가 내인성 신경줄기세포(endogenous NSC: neural stem cell)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내인성 신경줄기세포란 뇌 조직 자체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로, 뇌세포가 파괴되거나 손상되었을 때 스스로 증식 · 분화해 새로운 신경세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은 쥐 태아의 뇌에서 신경줄기세포를 채취, 시험관에서 배양하고 방향성 정유에 노출했다. 그 결과 정유 노출량이 많을수록 신경줄기세포 증식 효과가 더욱 컸다.그 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이 신경줄기세포에 방향성 정유를 첨가한 뒤 쥐의 뇌에 주입하고, 7일 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쥐의 뇌를 관찰했더니 쥐의 뇌실하 영역(SVZ: subventricular zone)이 넓어지고 기억중추인 해마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부위는 뇌에서 신경세포가 생성되는 곳이다.연구팀의 아델레 뤼거 박사는 “쥐들을 해부해 봤더니 방향성 정유가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영국에서 충치로 고생하는 3세 이하 영유아가 급증하면서, 전문가들은 그 주범으로 ‘과일주스’를 지목하고 있다.영국 공중보건국(PHE)의 조사결과, 영국 전역의 3세 이하 아동 중 약 12%가 충치를 앓고 있으며 특히 중부 레스터 지역에서는 무려 34%의 아동들이 충치를 앓고 있다고 영국의 텔레그라프가 최근 보도했다. PHE 측에서는 과일 음료에 들어 있는 설탕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30개월∼3세 영유아의 설탕 섭취원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과일 음료로, 그 비율은 14%에 달했다.공중보건국 공공구강보건 담당자인 샌드라 화이트 박사는 “유기농 과일 음료라도 설탕 함유량은 일반 음료와 차이가 없다. 부모들은 건강에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 설탕이 얼마나 들었는지 알지 못한 채 과일음료가 든 병을 아이에게 물리고 있다”며 “설탕을 함유한 음료가 담긴 병을 문 채 잠드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고 지적했다.공중보건국 측은 가정에서 영유아의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이가 3살이 되기 전까지는 물이나 우유만을 주는 것이 좋고, 설탕이 든 음료는 병이나 빨대가 있는 컵에 담아주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화이트 박사는 이어 “부모들이 바쁜
“그동안 직접 세미나를 들으면서 잘 된 술식에 대한 자랑 위주의 커리큘럼에 실망감이 있었다. 이번 연수회는 매일 임상에 직면하면서 잘 안됐던 교정치료에 대한 ‘교정’을 위주로 진행된다.”오는 12일부터 12월 21일까지 이수역 인근 휴비트 세미나실에서 ‘Dr. KBS 임상교정연수회’라는 이름으로 연수회를 진행하는 김범수 원장(연세아미고치과의원)은 ‘교과서보다 실전’에 방점을 찍었다고 강조했다.김 원장은 “부작용 케이스나 치료결과가 나빴던 케이스를 놓고 참석자와 치열하게 토론하면서 원인과 해법을 찾아보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디테일한 테크닉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연수회는 총 10회로 나눠져 진행되는데, 첫 회는 치아교정의 기본원리, SWA소개 등 방향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브라켓 부착전 준비, 보철물의 수정, 과잉치와 매복치 등 처음 교정을 시작하는 술자들에게 도움이 될 기본사항에 대해 강연한다.중후반 코스가 시작되는 11월에 접어들면 LevelingAlignment의 기본전략, 공간확보 방법, 다양한 결찰 방법, 반대교합 해소, Space Closure 등에 대해 강연회가 진행된다.12월에는 RetentionStability, Fixed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