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택 치협 자재·표준이사가 비급여 진료비 공개 및 보고제도의 근거법에 대한 위헌성을 헌재에 호소했다. 송 이사는 29일 오전 헌재 앞에서 ‘비급여진료 관련 개정의료법은 위헌!’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송호택 이사는 “심평원이 공개하고 있는 비급여 진료비 자료를 활용해 가격비교를 하고 있는 플랫폼들이 벌써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책임감 있는 자세로 문제를 파악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비급여 진료비 통제에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용진 전남치과의사회 회장의 빙부상을 알려드립니다. ■빈소: 광주 국빈장례문화원 401호 ■발인: 2022년 3월 29일(화) 계좌 : 농협 최용진 667 02 109067
이재훈 교수(연세치대병원 보철과장)가 법랑질형성부전증의 원인이 미토콘드리아 상 유전적 변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의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은 ‘The implication of holocytochrome C synthase mutation in Korean familial hypoplastic amelogenesis imperfecta’란 논문이 ‘Journal of Clinical Oral Investigation(IF 3.57)’ 2월호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법랑질형성부전증의 원인을 한 한국인 가계의 3대에 걸친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밝혀냈다. 법랑질형성부전증에 이환된 환자 9명과 무증상인 22명 등 총 31명으로 이뤄진 가족을 대상으로, 12명의 타액샘플을 채취해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했다. 이번 연구는 연세치대병원,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와 POSTECH 의료기기혁신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인 홀로사이토크롬 C 합성효소 관련 유전자에서 X-연관 우성, 이형 접합 게놈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밝혀냈다. 미스센스 돌연변이란 유전자 부호의 염기가 다른 것으로 바뀌어서 결국 다른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또 치
광주지부(회장 형민우)가 오는 4월 치협 정기대의원총회에 지부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아동치과주치의 수가 인상 요구안’을 상정키로 했다. 지난 22일 지부회관에서 열린 광주지부 제32차 정기대의원총회(의장 박금석)에서 이 같은 의안들이 의결됐다. 이날 총회는 재적대의원 112명 중 위임 포함 77명이 참석해 성원됐다. 총회에는 치협에서 박태근 협회장과 이민정 부회장, 강정훈 총무이사, 이미연 홍보이사 등이 참석해 축하인사를 건넸다. 지난해 세종시와 함께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돼 사업 2년차에 접어든 광주지부는 예방치과 시법사업에 대한 사명감을 갖고 코로나19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사업 참여기관을 늘리고 자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다만 2022년 기준 3만2400원으로 책정된 해당 수가가 타 지자체 사업수가의 70~80% 정도 수준이고, 등록, 진행절차, 청구방법 등도 복잡해 관계기관에 건의했으나 개선이 이뤄지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광주지부는 아동치과주치의 사업 전국 확대 시 기준이 될 이번 시범사업의 합리적 운영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공론화 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광주지부는 올해 치협 정총에서 최종 결정될 치협 창
충북지부(회장 이만규)가 연 4점 지부보수교육 이수를 의무화 하고, 지부를 통한 면허신고 체계를 수립하는 내용 등을 담은 의료인 면허신고 및 보수교육 관리방안 마련안을 오는 4월 치협 정기대의원총회에 상정한다. 지난 19일 청주 서남신협 대강당에서 열린 충북지부 제71차 정기대의원총회(의장 임상헌)에서 이 같은 안이 의결됐다. 이날 총회에는 총 51명의 대의원 중 위임 포함 31명이 참석해 성원을 이뤘으며, 치협에서 홍수연 부회장, 현종오 대외협력이사 등이 참석해 축하인사를 건넸다. 충북지부는 의료인 면허신고 및 보수교육과 관련 회비 납부 없는 보수교육 이수를 차단, 성실납부회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지부보수교육 4점 이수를 의무화해야 하며, 지부를 통한 면허신고가 이뤄지도록 현재 중앙회 홈페이지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비회원의 경우 면허신고 시 우편을 통해 하게 하는 등 차등을 둬야 회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보수교육 간접비 운용현황을 총회에 보고토록 하고, 의료인 면허신고 사업과 관련한 정부 예산을 획득하는 내용도 치협 정총 상정안에 포함돼 있다. 이 외에 치협 정총 상정안으로 ▲‘의료광고심의위원회 권역별 소위원회 운영의 건’, ‘의료광
전북지부(회장 정 찬)가 오늘 4월 치협 정기대의원총회에 ‘법정 의무교육 간소화 방안 마련을 요청하는 안’을 상정한다. 지난 18일 전북지부회관에서 열린 전북지부 제31차 정기대의원총회(의장 문진균)에서 이 같은 안이 의결됐다. 이날 총회에는 총 84명의 대의원 중 위임 포함 75명이 참석해 성원을 이뤘으며, 치협에서 강충규·이민정 부회장, 강정훈 총무이사가 참석해 축하인사를 건넸다. 전북지부는 의료기관의 행정 부담을 가중시키는 정부의 각종 정책이 갈수록 늘어 회원들의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는 것과 관련 많은 법정 의무교육을 간소화해 줄 것을 치협 정총에 상정키로 했다. 또 현재 보험 임플란트에서 PFM만을 인정하고 있는 것과 관련 지르코니아나 골드 등 보험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다양하게 인정해 달라는 안도 치협 정총에 상정키로 했다. 이 외에 회비 장기미납 회원 및 비회원 규제방안 마련안도 치협 정총에 상정키로 했다. 이에 대한 규제가 없을 시 회비 성실 납부 회원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겪을 수밖에 없어, 자율징계권 확보나 면허신고제 개선 등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밖에 지부의안으로 상정된 지부 회칙 제59조(회비면제) 개정안이 의결돼
임상의가 직면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측두하악장애의 기본 원리에서 치료 원칙까지 다룬 역서가 나왔다. 치과, 의학, 물리치료, 약리학 및 심리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치료자를 위한 책이다. Henry A. Gremillion, Gary D. Klasser 등이 저술하고 최재갑 교수 외 3인이 번역한 ‘측두하악장애–기초과학에서 임상 적용에 이르는 중재적 접근’을 대한나래출판사가 펴냈다. 이 책은 측두하악장애를 기초과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기초과학적 지식을 어떻게 임상에 적용할 것인지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최근에는 측두하악장애와 같은 만성 통증을 동반한 근골격계 질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악구강계의 감각과 운동의 작동원리에 관한 신경생리학적·뇌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 책은 최근에 이뤄진 측두하악장애와 관련된 기초과학적 연구 성과 및 이와 관련한 임상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춰 기술됐다. 책의 주요목차는 ▲저작계의 발생학·해부학·생리학 ▲저작계의 정상 기능 ▲저작계의 기능장애 ▲치료 원칙 ▲근육-기반 질환 ▲측두하악관절 ▲측두하악장애에서의 심리사회적 고려 등이다. 역자는 “이 책은 측두
의료용 루페 전문회사 JTL 메디플러스(대표 이준택)가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7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KIMES 2022’에 참가해 성공적으로 전시회를 마쳤다. 이번 KIMES에서는 JTL에서 오랫동안 준비한 프리미엄 플립업 루페를 출시해 많은 의료인들에게 큰 관심을 모았다. JTL 프리미엄 플립업 루페는 그동안 플립업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무게, 동공거리 미세 조절, 힌지 전방각도 조절 등의 기능을 개선했으며, 6중 멀티레이어 코팅을 통해 매우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도록 제작돼 기존 TTL(맞춤방식)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제품이다. 또 JTL 프리미엄 플립업은 오토포커스 렌즈를 장착해 좌식용, 입십용 두 종류로 나눠, 해당 거리에서 작업이 전혀 문제없도록 설계가 됐으며, 기존 더블힌지 방식에서 3단 체인 힌지방식을 채택해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지난해 말 출시한 초경량 무선 루페라이트 JTW01 모델과도 완벽한 호환을 이루며, 가격 면에서도 기존 100만원 초·중반 형성돼 있던 가격을 90만 원대로 출시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2005년 설립한 메디플러스는 꾸준히 광학진단장비를 개발·공급해 왔으며, J
치협과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 대한한의사협회(회장 홍주의), 대한병원협회(회장 정영호), 대한치과병원협회(회장 구 영) 등 5개 보건의료단체가 정부의 비급여 통제 정책의 근거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의견서를 헌재에 제출했다. 신인철 치협 부회장과 이창주 치무이사는 헌재의 비급여 공개 관련법 위헌소송 공개변론과 관련한 의견서를 지난 16일 헌재 심판지원실 심판민원과에 접수했다. 5개 단체는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및 진료내역 보고와 관련한 법령들 중 특히 의료법 제45조의2항의 ‘비급여 진료비용 및 제증명수수료의 항목, 기준, 금액 및 진료내역 등을 제출’하는 내용이 국민과 의료인들에게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헌재에 호소했다. 이 밖에 비급여가 치과의원, 의원, 한의원에서 차지하는 비중,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한 비급여 진료비 공개의 부작용, 저수가 의료광고로 인한 심각한 폐해 등을 의견서에 함께 담았다. 신인철 부회장은 “치협이 앞장서 비급여 통제 정책으로 인한 폐해와 의료인들의 기본권 침해에 대해 헌재에 더 알리려 한다. 이번 의견서 제출에 동참해 준 단체들에 감사하다”며 “정부의 비급여 통제 정책에 대한 보건의료단체의 문
박기태 교수(삼성서울병원 치과)가 소아청소년 구강질환에 대한 교과서 ‘Pediatric Dentistry(소아치과학)’를 공동집필해 최근 세계적인 의과학 전문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에서 영문으로 출판됐다. 박 교수는 총 23개 챕터 중 챕터1 ‘Pediatric Dentistry: Past, Present and Future’과 챕터11 ‘Orthodontic Knowledge and Practice for the Pediatric Dentist’를 공동집필했다. 이 책은 치과의사와 학생들에게 소아청소년 구강질환의 최적 치료와 치료 이후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담고 있다. 전반부는 소아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성숙 과정에 대한 건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적 보살핌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다음으로는 진정 및 마취의 사용에 대해 논의한 후 치아 맹출 및 탈락, 예방 및 차단 교정, 치아 우식 관리와 같은 주요 주제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외상 및 발달 이상으로 인해 필요한 수복 절차 및 치수 치료와 기술, 재료의 발전과 관련해 자세히 설명돼 있다. 이후 챕터들에서는 소아청소년 연령 그룹에서 빈발
박재현 교수(애리조나 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4~6일 미시간 치대에서 열린 Moyers Symposium의 연자로 초청돼 강의와 패널 디스커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48주년을 맞은 Moyers Symposium의 올해 주제는 ‘Management of Deep Bite and Posterior Open Bite in Clinical Practice’로, 박 교수는 ‘Deep bite correction with TADs’라는 주제로 강의를 성황리에 마쳤다. 또 박 교수는 미시간 치대 Craniofacial Growth Series의 공동 편집장으로 선정돼 Univ. of Washington의 Greg Huang 교수, 미시간 치대의 Hera Kim-Berman 교수와 함께 58번째 Craniofacial Growth Series의 책을 출판하게 된다. 박재현 교수는 “새해에도 다양한 강연활동과 저술, 연구 활동에 더 매진하며 치의학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노력하겠다. 책임감을 갖고 학술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박재현 교수는 현재 치과 교정 학회지 중에 Citation index가 가장 높은 미국 치과 교정학회지(American Jour
홍수연 치협 부회장이 오는 24일 예정된 헌재 공개변론에 회원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홍 부회장은 16일 오전 헌법재판소 앞에서 ‘과잉경쟁 초래하고 동네치과 다 죽이는 악법중의 악법’이라고 적인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이어갔다. 홍수연 부회장은 “다음 주 목요일 오후 2시 헌재에서 공개변론이 있다. 세 소송인 집단이 함께 나서고, 협회는 주요참고인으로 출석한다”며 “회원과 국민여러분이 헌법적 권리와 제대로 진료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충돌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