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 경기도 용인 출생 1949 서울치대 3회 졸업 1969 예비역 치의 대령 대한치과의사협회 감사 1974 대한치과의사협회 총무 1980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1967 대한구강보건협회 부회장 감사 고문 1967 대한치과기재학회 3-5대 회장 고문 1978 인공치아이식임플란트학회 초대 2대회장 1979 국제치의학사회 I.C.D. 평생회원 1982 서울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 부회장 1982 전주류씨 전양부원군 종중 회장 현) 종로구치과의사회 지도위원장 유 양 석 치과의원장 상훈 : 보국훈장 협회대상 서울치대동문상 수상 6.25후반기인 1952년 1월 부산 동래에 있던 육군군의학교에 입교하여 초등군사반 교육을 받음으로써 나의 군대생활은 시작되었다. 1개 중대가 한 반인데, 중대원은 일반군의관과 치과군의관 그리고 약대 출신 약제관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병과구별 없이 중위로 임관된 상태에서 후보생 생활로 같은 교육 훈련을 8주 동안 받았다. 군의학교에는 의무병과 육군 준장(准將)이 교장이었으며 그는 키가 작지만 다부진 체격으로 강단이 있어 보이며 계급의 위엄을 지키고 있었다. 그는 만군 출신으로 국방부 병무국장을 끝으로 퇴역한 박(朴) 장군이었다. 그 밑에 키가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은 인조 때 만들었으며, 흐르는 물에 잔을 띄워 보내 잔이 닿는 곳의 사람이 시를 짓는 ‘유상곡수연’이 있고 작은 폭포가 있다. 이곳에 숙종의 오언 절구가 새겨져 있다. 폭포는 삼백 척인데 멀리 구천에서 내리네 보고 있으면 흰 무지개 일고 골짜기마다 우레 소리가 가득하네 창덕궁을 갈 때면 잠시나마 발길을 멈추는 곳, 폭포라고 말하기는 그렇지만 그곳에서 삼백 척 폭포를 생각하고 우레와 같은 소리 가득한 폭포를 연상한 숙종의 기개를 생각해 보는 명시다. 세차게 쏟아지는 물줄기를 바라보고 있으면 누구든지 마음 한편 시원함과 함께 물줄기에 몸을 던져 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 것이다. 자연이 주는 신비함과 그 힘에 마음속의 모든 욕심을 버리고 잠시나마 자연의 일부가 되는 작은 존재, 나를 발견하게 된다. 숙종의 시구를 이구아수 폭포 앞에서 생각한다. 리마 공항에서 4시간 정도 비행하여 이구아수 공항에 도착. 브라질 전통바베큐 식당에 들러 저녁 식사를 했다. 식단의 대부분이 육식으로 엄청난 양의 고기가 무제한이다. 파라과이의 영토였던 이과수 폭포는 1864년에서 1870년까지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삼국동맹과 파라과이 간에 발생한 삼국동맹전쟁
1927 경기도 용인 출생 1949 서울치대 3회 졸업 1969 예비역 치의 대령 대한치과의사협회 감사 1974 대한치과의사협회 총무 1980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1967 대한구강보건협회 부회장 감사 고문 1967 대한치과기재학회 3-5대 회장 고문 1978 인공치아이식임플란트학회 초대 2대회장 1979 국제치의학사회 I.C.D. 평생회원 1982 서울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 부회장 1982 전주류씨 전양부원군 종중 회장 현) 종로구치과의사회 지도위원장 유 양 석 치과의원장 상훈 : 보국훈장 협회대상 서울치대동문상 수상 의무병과(醫務兵科)라 하면 군의와 치의, 간호, 의정을 총망라한 명칭이다. 간호와 의정병과는 군의병과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병과지만 치의병과는 군의병과의 지원병과(支援兵科)는 아니다. 수는 적지만 군의와 대등한 독립 병과로서 간호와 의정병과의 지원을 받는 병과며, 치의병과라기보다는 치무병과(齒務兵科)라고 해야 한다. 치무병과는 군의병과와 공존하는 병과지, 군의병과에 예속되는 지원병과는 아니다. 군의와 치의는 엄연히 구별되며 출신대학도 다르고 분야가 다르다. 군대생활은 일반의사와 치과의사가 공존함으로써 상부상조와 상호 존중으로 경쟁 내지는 자극과
1. 箱에게 箱의 본관은 강릉(江陵), 본명은 김해경(金海卿)이다. 箱의 의 생가(1912~1933)가 '이상의 집(통인동 154-10)’으로 재개관되었다. 箱은 본인을 천재라고 생각했고,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학과를 수석 졸업했다. 箱은 일제강점기 시인,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였다. 箱의 아버지는 이발사였고, 가난으로 백부(伯父)에게 양자(養子)로 입양(入養)되어 한문 교육을 받았다. 箱의 필명은 4살 위 친구이며 척추장애 화가인 구본웅이 선물로 준 오얏나무(李)로 만들어진 화구상자(箱, 상자 상)를 받고 지었다는 설... 등이 있다. 箱은 일본어 시들이 수록된 ‘이상(異狀)한 가역반응’이 첫 시집(1931)이다. 箱은 백부가 죽자(1931) 친가로 돌아오지만 불과 보름을 견디지 못했다. 箱은 1933년 폐결핵 진단을 받고 건축 기사일을 그만 두었다. 箱이 지은 건물이나 설계도면은 남아 있지 않다. 箱은 하루에 50개비 피는 골초였다. 箱은 황해도 백천 온천(북한 천연기념물)에서 요양 중 17살부터 작부생활을 했고 딸 가진 20살 기생 금홍을 만난다. 箱은 돌아와 백부의 유산으로 종로1가에 다방 ‘제비(燕)'를 개업, 금홍을 마담에 앉힌 후 동거했고, 금홍
마추픽추는 페루 남부 쿠스코(Cusco)시의 북서쪽 우루밤바 계곡에 있는 잉카 유적지로, 198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마추픽추에 가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쿠스코에서 기차를 타고 아구아 칼리엔테까지 간 다음 버스를 타고 산에 올라 마추픽추에 들어가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안데스의 자연과 잉카인의 신비로운 문명을 즐기며 트레킹을 통해 가는 방법이 있다. 호텔에서 19인승 밴을 타고 오얀 따이 땀보 역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의 마을은 깊은 계곡으로 흐르는 물과 채석장 같은 돌더미가 산비탈을 메꾸고 있다. 마치 티베트의 어느 산골 마을과 같은 풍경과 많은 포터들이 분주하게 나귀에게 짐을 실어 나르는 모습을 보고 이곳에서 마추픽추로 들어가는 트래킹이 시작되는 곳임을 짐작하게 하였다. 계곡 옆으로는 이곳의 대표적인 농작물인 옥수수밭이 눈에 들어온다. 마추픽추는 하이램 빙엄(Hiram Bingham)이 1911년에 발견하기 전까지 산세 깊숙한 곳에서 잠자고 있었다. 날씨는 쾌청하였다. 마추픽추 여행에서 맑은 날을 보는 것도 행운이라 했다. 새로운 풍경에 차창 밖에 눈을 뗄 수 없었다. 계곡을 가득 채우며 쉴 새 없
1927 경기도 용인 출생 1949 서울치대 3회 졸업 1969 예비역 치의 대령 대한치과의사협회 감사 1974 대한치과의사협회 총무 1980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1967 대한구강보건협회 부회장 감사 고문 1967 대한치과기재학회 3-5대 회장 고문 1978 인공치아이식임플란트학회 초대 2대회장 1979 국제치의학사회 I.C.D. 평생회원 1982 서울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 부회장 1982 전주류씨 전양부원군 종중 회장 현) 종로구치과의사회 지도위원장 유 양 석 치과의원장 상 훈 : 보국훈장 협회대상 서울치대동문상 수상 군대는 숫자(數字)의 뭉치고 숫자의 덩어리다. 숫자를 빼면 쓰러진다. 숫자에서 시작하여 숫자로 끝난다. 사람도 물건도 모든 것이 숫자로 표시되며 수가 많아야 이길 수 있고 힘을 쓸 수 있으며 세도를 부릴 수 있다. 숫자에 밀리면 불리하다. 돈이건 물자건 사람이건 수가 많아야 하며, 친구도 많고 집안 식구도 많아야 하고 무조건 인구가 많아야 부강한 나라가 된다. 적으면 약하고 불리하다. 적으면 빨라야 하고 기선을 제압하여 앞서가야 하며 선수를 쳐서 선제공격을 해야 승리할 수 있고 뒤떨어지면 낙오되어 패배한다. 수는 크고 작은 것 많고 적은 것
아는가 입 코 눌러 숨 못 쉬게 하는 생각만 해도 질식하게 하는 젖은 그리움의 무게를 정재영 원장 -《조선문학》, 《현대시》 -한국기독시인협회 전 회장 -한국기독시문학학술원 원장 -국제펜 한국본부 자문위원 -한국문인협회 특별위원 -한국시인협회 중앙위원 -<조선시문학상> <기독시문학상> <장로문학상> <총신문학상> <중앙대문학상> <현대시시인상> <미당시맥상> <펜문학상> 수상 -《흔적지우기》 《벽과 꽃》 《짧은 영원》 《소리의 벽》 《마이산》 등 15권 -《문학으로 보는 성경》 《융합시학》 《현대시 창작기법 및 실제》
스치는 바람에 가을이 뒹구는 거리 통풍을 앓고 있는 나무 위 수척한 11월 창백한 낮달이 걸렸습니다. 한두 보름이면 갈 길도 끝나는지 바람이 휘돌아가는 골목길 입구 외국어 간판 구멍가게 앞 키 작은 나무는 어깨를 낮추고 한동안 뜸한 사람들을 오늘은 혹시나 해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길 밖에 내놓은 찐빵 솥 수증기만 저녁나절 혼자 무료를 달래는데 단풍은 시들고 노을은 물들어 귀가를 서둘라 알리는 시간 낮달도 서역 하늘로 고개를 돌리고 있습니다. 정재영 원장 -《조선문학》, 《현대시》 -한국기독시인협회 전 회장 -한국기독시문학학술원 원장 -국제펜 한국본부 자문위원 -한국문인협회 특별위원 -한국시인협회 중앙위원 -<조선시문학상> <기독시문학상> <장로문학상> <총신문학상> <중앙대문학상> <현대시시인상> <미당시맥상> <펜문학상> 수상 -《흔적지우기》 《벽과 꽃》 《짧은 영원》 《소리의 벽》 《마이산》 등 15권 -《문학으로 보는 성경》 《융합시학》 《현대시 창작기법 및 실제》
정필훈 가족들의 그룹전을 뜻할 수도 있고 정필훈이 가족을 그린 전시회일 수도 있다 4대가 그림을 그렸다고 하니 가족들이 틈틈히 그린 그림쪽이 더 맞겠다 정필훈 모친, 본인, 아들, 손녀, 외손녀 4대 5가족이 동양화, 유화, 칼라 매직으로 모두가 취미로 그린 작품을 모아보았다 2세 외손녀 작품부터 91세 모친작품까지 어머니는 54세 때 5아들을 다 대학 보낸 후 취미로 동양화를 배우며 그리기 시작하였다 저는 치대 미술반을 설립하는 애착에서 무채색의 화려함 땜에 유화에서 동양화로 아들은 애비 허물을 덮어쓰고도 내색없이 힘들 땐 드럼과 유화 구상화로 침잔시키며 친손녀는 엄마 배속의 여동생을 탯줄까지 묘사한 D형 곡선을 낙서하듯 그리고 외손녀는 2세 추석 때 내 동양화 붓을 뺏어 머리카락 한 올만 있는 할아버지와 라니를 첫눈 오는 날 3세 때는 “아, 그림 그리고 싶다” 같이 산책하던 난 외손녀 그 말에 행복했다 어머니는 응급실 단골로 마지막 잎새처럼 계획한 90세 전시회를 치루며 건강을 회복 전시회는 손녀들과의 조그만 약속이기도 나에겐 연꽃 그리며 속세에 물들지 않기를 정년 맞아 떠날 때는 말 없이 조용해야 하거늘 그리울 때 그리는 것이 그림임을 생각해본다
지나가는 바람이 슬쩍 쓰고 간 하얀 모래 위 옛사람 이름 석 자 밀물이 서둘러 부질없는 글씨라고 뭉개버렸다 밀물 썰물 없는 가슴 속 온종일 너울만 높은 파도 이름 한 자 제대로 지우지 못한다 정재영 원장 -《조선문학》, 《현대시》 -한국기독시인협회 전 회장 -한국기독시문학학술원 원장 -국제펜 한국본부 자문위원 -한국문인협회 특별위원 -한국시인협회 중앙위원 -<조선시문학상> <기독시문학상> <장로문학상> <총신문학상> <중앙대문학상> <현대시시인상> <미당시맥상> <펜문학상> 수상 -《흔적지우기》 《벽과 꽃》 《짧은 영원》 《소리의 벽》 《마이산》 등 15권 -《문학으로 보는 성경》 《융합시학》 《현대시 창작기법 및 실제》
기대하던 봄이라고 하기엔 찬데 골 깊은 동강 야트막한 바위 위 애기 주먹도 안 되는 흙 사이에 작년의 제 살들을 이불삼아 빼꼼히 내밀었지만 오죽 바람이 쎄면 휘어질 시간도 없는 너 그래도 민들레같은 씨도 남기고 버티며 사는 너는 순수 조선민족이다. 슬픈 기억이란 꽃말처럼 어릴 적엔 허리가 굽으시고 풍으로 고생하신 우리 할머니 양지 바른 무덤가에 많아서 할미꽃인줄 알았지 그땐 무서웠지만 지금은 과거도 자주 휘는. 송선헌 원장 -치과의사, 의학박사, 시인 -대전 미소가있는치과 대표원장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래교수 -UCLA 치과대학 교정과 Preceptor and Research associate -대한치과교정학회 인정의 -대한치과교정학회 대전·충남지부 감사 -2013년 모범 납세자 기획재정부장관상 -2019년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장려상과 입상 수상 -저서 : 임상 치과교정학 Vol. 1(웰 출판사) -전)대전광역시 체조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