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회장 허익‧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11월 24~29일 온라인플랫폼에서 ‘제5회 치주질환과 NCD(Non-Communicable Diseases, 만성비전염성질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구강보건사업 내에서의 치주질환의 현재와 미래’라는 부제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총 215명이 사전 등록해 정부‧지자체의 구강보건사업 내에서 치주질환 관리가 기여할 수 있는 정책에 큰 관심을 보였다. 한지영 교수(한양의대)는 ‘대한치주과학회 잇몸의 날 사업보고’를 통해 학회가 해마다 진행한 대국민 강좌 주제를 되짚어보고, 전국 보건소 및 수련기관 건강 강좌, 거리캠페인, 무료 진료, ‘사랑의 스케일링’ 등 꾸준히 이어온 활동을 소개했다. 특히, 여러 질병이 치주질환과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알리는 데 앞장서 온 잇몸의 날 행사의 역사를 정리했다. 이어 윤정희 사무관(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이 ‘구강보건 사업 정책의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관해 설명했다. 구강보건사업‧학생건강증진‧국민건강증진의 기본계획 등 여러 틀 안에서 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체계적인 구강보건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공 인프라 구축, 사업 발굴 등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가
오스템임플란트(대표이사 엄태관)가 ‘제1회 디지털 덴티스트리 경연대회’와 ‘오스템미팅2021 서울’을 동시 개최해 국내외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지난 11월 27일과 28일 양일간 서울 마곡에 위치한 오스템 본사 대강당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덴올과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송출됐다. 특히 오스템미팅은 전 세계 26개국에 5개 국어로 생중계돼 어느 때보다 해외 시청자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누적 8만 2000뷰 중 해외 시청자 뷰수만 2만 4000뷰가 넘었다. 이번 행사를 시공간 제약 없이 세계 각국에서 많은 치과의사가 시청할 수 있도록 오스템은 대강당에 통역부스를 설치하고 실시간 통역 시스템을 새로 구축,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 5개 국어로 통역해 방송을 성공적으로 송출했다. 행사 첫날 열린 ‘제1회 디지털 덴티스트리 경연대회’에서는 구연 부문 본선에 진출한 8명의 참가자들의 열띤 라이브 강연과 시상이 진행됐다. 특히 구연 부문 대상은 ‘Functional and Esthetic Facial Reconstruction with 3D Printing Implant’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 이의룡 부교수(중앙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수상의
충청권 치과의사들의 자부심으로 여겨져 온 학술대회가 3년 만에 성대한 피날레를 장식했다. 중부권치과의사회 종합학술대회(조직위원장 이봉호·이하 CDC 2021)가 ‘The pride of dentists with CDC’라는 대주제로 지난 11월 27일(토)부터 28일(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대전지부(회장 조영진)가 주관하고,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지부가 주최한 이번 대회에는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 1000여 명의 인파가 몰리면서 새 역사를 이어나갔다. 특히 이번 CDC 2021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방역에 만전을 기했다. 이에 따라 전시장·강연장을 수시로 소독하고 출입 인원을 관리했으며, 강의장 내부에도 좌석마다 거리두기를 준수했다. 또 비접촉 체온측정, 자동 손 소독 분사기 설치, 공기소독기 확충,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오프라인 학술대회의 표준을 제시했다. 학술 프로그램은 1박 2일간 총 28개 세션을 선보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면 오프라인 강연으로 진행된 만큼, 유수의 연자를 각 강연장에 균형 있게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특정 강연장에 참석자가 쏠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 여러 주제 균형 맞춘 학술대회 프로그램 구성을
교정치료 시 중요한 고려 요소인 교합의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세우기 위해 기본 이론을 살피고, 교정치과의사와 일반 치과의사의 관점에서 각각 교합론을 다룬 역서가 나왔다. Sachiko Maeda, Kyosuke Oki 등이 저술하고 한금동, 최진 번역의 ‘교합과 교정치료’를 최근 대한나래출판사가 펴냈다. 이 책은 교정과 교합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실천해 온 여러 임상가의 주장이 교정전문의와 일반 임상의의 입장으로 나눠 소개돼 있다. 교정치료만으로 환자의 교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 때도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다양한 분야(치주, 보존, 근관, 보철, 임플란트 등)의 협진으로 마무리해야 하는 증례들도 있다. 책의 주요목차는 ▲치과 교정치료와 교합에 대한 Q&A ▲턱관절질환과 연관하여 치과 교정치료와 교합에 관해 생각하다 ▲중도 턱관절질환 증례에 교정치료 및 교합치료를 시행한 증례 ▲하악위의 안정을 도모하다-교합치료에서 하악위의 중요성 ▲치과 교정치료와 Interdisciplinary ▲교합 재구성에 포괄적 치료를 융합한 교합론 ▲과두위를 고려한 치과 교정치료에서 교합 재구성을 생각하다 등이다. 책의 서문에서는 “최적 교합에 대한 정적
고령자 구강질환 문제의 해법을 모색한 자리에 많은 치과의사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했다. 지난 11월 11일부터 17일까지 덴올 사이트를 통해 진행한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고홍섭·이하 대노치) 2021년 온라인 추계학술대회가 총 902명이 등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For better life quality in SENIOR’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늘어나고 있는 노인 환자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치과적인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해결법을 제시했다. 강의에서는 김대균 교수(인천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가정의학과)가 ‘고령자의 구강문제(치매 노인 및 생애말기 노인을 중심으로)’, 정회인 교수(연세치대 예방치과학)가 ‘노인 입원 환자의 전문가 구강위생관리’를 주제로 다뤘다. 또 박찬진 교수(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과)가 ‘지속적인 의치 관리-의치 재이장을 중심으로’, 이동환 교수(삼성서울병원 치과보철과)가 ‘지속적 교합 변화에 따른 관리와 대응-Implant Maintenance in Senior’에 대해 강의했다. 이 밖에 이부규 교수(서울아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Covid19 백신과 치과 치료’, 김문
수면치의학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관심이 많은 개원의를 위한 온라인 강연이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김명립·이하 치과수면학회) 온라인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됐다. ‘2021 Trends & Essentials in Dental Sleep Medicine’를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VOD 시청을 통한 온라인 학술대회 형식으로 진행된 가운데 180여명의 인원이 참가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특히 해외학술연자인 Eri Makihara 교수(Kyushu dental university)와 심천학술상 수상자인 김혜경 교수(단국대 구강내과) 강의 외 신혜림 교수(단국대 신경과)의 ‘New findings in sleep physiology’, 이의룡 교수(중앙대 구강악안면외과)의 ‘What is sleep disordered breathing?’ 강의 등 11개의 강연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학문 발전을 위한 심도 있는 주제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치과수면학에 입문하려는 수강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도 진행돼, 참가자들이 수면치의학에 대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도 박지운 교수(서울대 구강내
신개념 디지털 간접접착술식(Indirect bonding) ‘셋업’ 시스템 ‘MyLign(마이라인)’의 사용법을 개발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시간이 진행된다. 이효연 예스올소㈜ 대표가 직접 나서 진행하는 ‘3차 MyLign 라이브 세미나’가 오는 9일(목) 오후 7시부터 유튜브를 통해 진행된다. 앞서 이 대표는 1, 2차 MyLign 세미나를 통해 해당 소프트웨어의 특장점과 사용법을 자세히 소개했다. 이번 강의에서도 구체적인 사용례를 바탕으로 마이라인 활용법을 강의한다. MyLign은 디지털 Idb 셋업을 20분 이내 완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3D CAD 기술을 적용해 정상 치열 배열(Set-Up), 치료 과정 시뮬레이션, 환자 맞춤형 교정 장치 장착용 운반체(Jig)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한 번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스올소 측은 지속적인 온라인 강의 외에도 제품 설명과 시연을 원하는 원장들을 위해 찾아가는 설명·시연을 하고 있으며, 매월 2회 서울 성동구 소재 스타치과기공소 세미나실에서 대면 강연회를 진행하고 있다. 대면강연회는 12월 9일(일) 오후 2시, 내년 1월 6일(목) 오후 7시30분 예정돼 있다.
코로나19 시대 치과 감염관리법과 임플란트 수술 시 감염예방을 위한 노하우를 담아낸 강연이 열렸다. 대한치과감염학회(회장 지영덕·이하 감염학회)가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6일까지 일주일간 ‘코로나19 시대 치과 경영 & 임플란트 감염에서 벗어나기’를 주제로 한 추계학술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학술대회는 1257명(치과의사 993명, 치과위생사 85명, 학생 179명)이 등록, 학술대회에 참여했으며, 등록자 중 90% 이상이 교육을 이수 완료하는 등 교육 프로그램의 질과 내용에 있어 만족도가 높았다는 후문이다. 감염관리 강연들도 눈에 띈다. 학술대회에서 권영선 원장(우리가 함께하는 치과)은 ‘코로나 19시대 치과 감염관리의 핵심’을 강의했으며, 박원종 교수(원광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는 ‘전신 질환자 임플란트 수술시 감염예방을 위한 고려사항’을, 박홍주 교수(전남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는 ‘임플란트 수술과 감염관리’를 자세히 소개했다. 이밖에도 최희수 원장(상동21세기치과)은 ‘코로나 시대에 손쉬운 예약관리 시스템으로 매출상승시키기’를 주제로 치과 경영에 중요한 예약 관리 시스템을 소개했고, 엄상호 원장(헤리 치과)은 ‘임플란트 보철 원리 이해
구강 내 세균검사를 통한 진단방법과 치주질환 및 임플란트주위염 관리 노하우를 집약한 강연이 열린다. 2021년 대한치과위생학회 학술세미나가 오는 18일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 강의로 진행된다. ‘치주치료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대주제로 열릴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박정현 원장(보아치과)과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직접 연자로 나서 강의를 진행한다. 강의 목록으로는 ▲구강 내 세균검사를 통한 진단, 치주질환과 임플란트주위염 관리 ▲계속 구강관리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구강위생센터 운영 제안 등이다. 등록은 16일까지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또는 대한치과위생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 가능하다.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 강의 참여 방법은 대한치과위생학회 홈페이지 공지사항과 팝업창을 참고하면 된다.
턱교정수술치료 등 양악수술에 관심이 많은 개원의를 위한 맞춤형 세미나가 펼쳐졌다. 올소치과(원장 황종민·권민수) 주관 제5회 올소턱교정수술세미나가 지난 11월 27일 서울 메가젠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Modern Practice in Orthognathic Surgery’를 대주제로, 온·오프라인으로 실시간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황종민·권민수 원장이 연자로 직접 나서 강의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첫 번째 강의로 ‘Modern Practice in Orthognathic Surgery의 대담한 대담’이, 두 번째 강의로는 ‘디지털 턱교정수술, 3D 자료채득과 수술계획 수립 방법’, 세 번째 강의로 ‘연조직 관점에서 본 심미적인 양악수술’에 관해 다뤘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턱교정수술치료 수술기법의 완성 ▲최신 기술의 발달과 양악수술에서의 적용 ▲안정적인 턱수술치료법에 의한 임상의 변화에 관해 다뤘다. 이 강의에서는 양악수술, 수술 기법의 완성으로 상악수술과 하악수술을 꼽았으며, 각각의 정확성과 안정성에 관해 이야기했다. 특히 하악수술(SSRO)은 Posterior facial height가 늘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인 수술계획이 가능하단 점을 꼽았으며, 턱
치과 SWOT 분석, 직원 급여관리를 포함한 경영 노하우를 모두 담아낸 강의가 열린다. 덴키컴퍼니(대표 김소언)에서 내년 1월 8일 실장사관학교와 1월 9일 원장사관학교를 개강한다. 먼저 원장사관학교 교육 커리큘럼으로는 ▲동네치과원장의 치과경영 분투기 ▲병원 회계와 세무관리, 세무조사 가이드 및 대응 방안 ▲직원과의 만남과 동행 그리고 이별 ▲원장의 경영스타일에 맞는 병원 내부 시스템에 다룰 예정이다. 특히 '직원과의 만남과 동행 그리고 이별' 강의파트에서는 직원 채용, 채용 상품, 계약 종류부터 근로계약서 작성, 급여관리, 각종 사회보험 지원 및 활용뿐만 아니라 해고 예고와 통보, 퇴직관리에 대해서도 자세히 강의할 예정이다. 또 치과 SWOT 분석과 진료철학 세우기 및 병원경영 슬로건에 대해서도 다룬다. SWOT란 장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 등 리스크(Threats)를 동반한 경영 분석을 말한다. 아울러 실장사관학교 교육 커리큘럼으로는 크게 데스크, 상담, 경영 3가지로 구성됐다. 실장으로서 갖춰야할 상담시스템 및 직원들의 상담, 환자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노하우를 공개할 예정이며, 환자,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