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가 차세대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진 인력 확보를 위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미 상원의회의 벤 칼딘 민주당 의원, 로저 위커 공화당 의원은 ‘치과 대출 상환 지원법(Dental Loan Repayment Assistance Act)’을 최근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연방 정부에서 지원하는 대출 상환금 중 일부를 치과 교수진의 총소득에서 제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교수가 세금 부담 없이 대출 상환 지원을 받는 등 과세 소득으로 간주되는 요인을 제거해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해당 교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 머물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칼딘 의원은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과 복지에 필수적이다. 최근 팬데믹과 더불어 심각한 학자금 대출 부담이 구강 보건 전문가의 부족을 초래했다. 학자금 대출을 갚기 위해 개인 진료에 내몰리기도 한다”며 “이번 법안은 차세대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수진을 채용하고 유지함으로써 모든 환자에게 최적의 치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인력을 확보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법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발표에 따르면 미국 전역의 약 7500곳, 7000만 명가량의 인구가 치과 의료 전문가 부족을
모르핀을 불법 처방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미국의 한 치과의사가 유죄 판결을 받았다. 미국 켄터키 동부지구 연방 배심원단은 최근 모르핀을 불법으로 처방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배심원 판정을 받은 제이 M. 새드리니아 박사(60세)에게 유죄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새드리니아 박사는 켄터키주 켄턴 카운티에 있는 소도시 크레센트 스프링스에서 치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약물 불법 처방의 위험성을 알고 있음에도 일상적인 치과 시술을 위해 환자들에게 강력한 오피오이드를 처방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수집된 증거에 따르면 새드리니아는 환자에게 모르핀을 불법으로 처방한 것 외에도 치과 시술에 3만7000달러(한화 약 4800만 원)를 청구하는 등 불필요한 청구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환자는 모르핀 과다 복용으로 사망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불법 약물 처방으로 인해 환자가 사망한 건에 대해서는 최소 20년의 징역과 최대 무기징역이 내려질 수 있으며, 불법적인 유통에 대해서는 최대 20년의 징역을 받을 수 있다. 해당 사건은 FBI와 DEA가 공동으로 조사했으며 불법 약물 처방으로 인한 환자 사망 및 불법 약물 유통 혐의로 오는 12월 13일에 최종 선고가
“설탕, 탄산음료 등 단 것들도 치아에 나쁘지만, 홀짝홀짝 길게 마시는 습관이 치아에 더 위험합니다.” 컬럼비아 대학교 어빙 메디컬 센터가 최근 음료를 오래 마시는 습관이 구강 건강에 좋지 않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센터에 따르면 탄산수를 포함한 거의 모든 음료는 어느 정도 산성을 띄고 있으며, 산성은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는 주요 요소다. 이는 치아가 산성 액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부식돼 충치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 특히 하루 종일 규칙적으로 같은 컵을 마실 경우, 침이 구강 pH를 올릴 시간이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낮은 pH가 유지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치아가 부식될 위험이 증가하는 환경을 만든다. 센터 관계자는 “반복적이고 장시간 노출될 때, 거의 모든 음식과 음료가 치아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며 “좋은 구강 습관은 양치질과 치실을 하는 것을 넘어, 하루 종일 자주 간식을 먹거나 음료수를 홀짝이는 것과 같은 먹고 마시는 습관도 치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세계치과의사연맹(FDI)이 전 세계 치대생의 진로 탐색 연구에 나선다. FDI는 국제치과학생협회(IADS), 유럽치과학생협회(EDSA)와 함께 ‘치대생의 진로 포부(Dental Student’s Career Aspirations)’라는 제하의 설문 조사 연구를 진행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 치대생의 진로 계획에 대한 요구를 더 잘 이해하고 필요한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다. 설문을 통해 치대생의 진로 계획과 직업적 목표 등에 대한 통찰을 얻는다는 취지다. 연구에서는 온라인상에서 총 40개의 객관식 질문으로 설문지를 구성했다. 설문 문항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7문항, 직업적 기대(Professional Expectations) 8문항, 개인적 기대(Personal Expectations) 4문항, 목표(Goals) 6문항, 경력 계획 교육(Career Planning Training) 5문항, 성격 특성(Personality Traits) 10문항 등이다. 해당 설문에서 각 객관식 문항은 긍정과 부정 응답을 5단계로 나눠서 할 수 있도록 했고, 별도의 주관식 문항도 마련하는 등 치대생 개인이 가지는 직업적 고민을 면밀하
미국에서 가장 작은 주인 로드 아일랜드 주. 그곳의 중심도시인 프로비던스에서 무면허로 치과 치료를 일삼던 여성이 법의 심판을 받게 됐다. 지난 18일 로드 아일랜드 주 법무 장관실은 무면허 치과 진료실 운영 및 무면허 시술 혐의로 프로비던스에 거주하는 알타그라시아 아다메스(57세, 여성)를 지난 10일 카운티 고등법원에 기소했다고 밝혔다. 장관실에 따르면 알타그라시아 아다메스는 36세 여성 환자의 어금니를 발치하고 상처를 꿰맸으며, 이 밖에도 치아에 구멍을 뚫는 등의 시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불법 시술로 인해 피해를 입은 환자는 극심한 통증과 부기를 동반한 감염을 앓고 있으며 현재 입원과 정맥 항생제가 필요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신고를 받은 아일랜드 보건부가 주 경찰에 연락해 정보를 제공하면서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환자가 피고인과 나눈 문자 메시지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가 제공한 문자 메시지에는 피해자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고 장관실은 밝혔다. 경찰과 미국 심품의약국(FDA)은 불법 치과 수술 장소로 알려진 피고인의 집에 대한 수색 영장을 집행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장관실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
영국의 의료 예산이 당초 예상 대비 4억7000만 파운드(한화 약 7860억 원)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북아일랜드 치과계가 선제 경고에 나섰다. 만약 치과 의료비가 삭감될 경우, 지역 치과의료서비스가 순식간에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다. 영국 공영 방송 BBC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영국 내 의료 예산 부족 사태가 전망되자, 영국치과의사협회(BDA)와 북아일랜드 치과계가 보건부를 상대로 즉시 경고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영국은 코로나19 대유행, 만성적 인력 부족 등으로 지난해부터 공공 의료시스템 붕괴 사태를 겪어 왔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잉글랜드의 의료시설 대기 환자 수는 719만 명이며, 이 가운데 40만여 명이 1년 이상 의료서비스를 대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의료 예산이 부족할 것으로 알려지자, 북아일랜드 치과계가 선제적 경고에 나선 것이다. 특히 지난해 BBC 조사 결과, 북아일랜드 치과의 90%는 신규 성인 환자 접수를 받지 않고 있으며, 어린이 환자 또한 88%가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영국 보건부는 약 9500만 파운드(한화 약 1600억
미국 치과도 구인난으로 골머리를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최근 미국 의회에서도 치과 구인난을 주제로 논의가 오갔다. 미국 하원 의회 에너지 상업 위원회(Committee on Energy and Commerce) 산하의 에너지 상업 위원회 건강 소위원회(Energy and Commerce Subcommittee on Health)는 ‘강력한 보건 인력 구축 및 1차 진료 개선을 위한 기존 연방 보건 프로그램 검토’라는 주제로 지난 4월 19일 청문회를 개최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미 보건복지부 보건 자원 및 서비스 행정국(HRSA) 국장인 캐롤 존슨의 증언이 포함됐다. 특히 HRSA가 치과 인력 관리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의가 있었고, 존슨은 치과의사 3명 중 1명이 인력 문제로 진료 예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미국치과의사협회(ADA) 건강 정책 연구소 데이터를 인용했다. 의회 측은 “치과 분야의 인력 부족은 전국적으로 구강 건강 관리에 대한 환자의 접근에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HRSA는 치과위생사와 관련해 치과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으며 구강 건강 인력 교육 프로그램을 재개할 계획이 있는가?”라고 질의했다. 이에
대부분의 구강 관리 제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식품 알레르겐이 첨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알렉산드라 피케이레도 박사(포르투갈 Instituto Universitário Egas Moniz)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 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라벨 조사를 통해 치과에서 사용되는 구강 관리 제품(이하 OCP)의 식품 알레르겐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총 387개의 OCP 라벨을 조사·평가했다. 조사 대상 OCP에는 치과에서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제품, 의료 처방이 필요하지 않은 제품 등도 포함됐다. 조사 결과 387개의 제품 중 179개의 제품에서 식품 알레르겐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유병률 46.3%)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샘플 중 81%의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알레르겐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5가지의 알레르겐이 포함된 치약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외래 제품 중에는 치약, 츄잉껌 및 교정 왁스가, 치과에서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제품 중에는 국소 크림, 불소 바니시, 알지네이트 등에서 두드러지게 발견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가장 많이 발견된 식품 알레르겐 유형은 과일과 향신료였다. 연구팀
영국 치과 구인난이 벼랑 끝으로 치닫고 있다. 고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치과간호사(Dental Nurse)를 구하지 못한 사례가 빈발하며, 구조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영국 치과 전문지 덴티스트리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치과 구인난의 심각성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영국 런던 일대 치과에서는 최대 2만7000파운드(한화 약 4400만 원)의 고액 연봉을 제시하고 치과 간호사를 구인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접조차 면접조차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빈발하다고 지적됐다. 이 같은 원인으로 현지 치과계는 영국치과협의회(GDC, General Dental Council)의 등록 제도를 지적하고 나섰다. 현재 영국 내에서 취업하려는 치과간호사는 GDC 자격을 취득해야 하는데, 이 같은 규제로 인해 인력 유입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비판이다. 특히 GDC 자격의 경우, 제출 서류와 절차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제도 자체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GDC 자격 취득 치과간호사와 미취득 치과간호사 간 전문성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제도 자체를 폐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치과용 석션 기기의 비말·에어로졸 감소 효과가 고화질 영상으로 확인됐다. 와타나베 준 일본 도호쿠대 치과대학 연구팀은 고속 카메라와 고휘도 LED를 이용해 치과 시술 과정에서 비말·에어로졸의 확산과 석션 기기를 통한 흡입 과정을 실시간으로 구현해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일본보철학회 공식학회지인 ‘Journal of Prosthodontic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치과용 공기 터빈과 마네킹을 통해 비말·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치과 진료 환경을 재현했다. 이어 구강 외 흡입(EOS), 구강 내 흡입(IOS) 기기를 작동시킨 후, 고감도 카메라와 고휘도 LED를 이용해 비말·에어로졸 입자의 움직임을 추적했다. 그 결과, IOS만 사용했을 때 92.1%의 비말·에어로졸 감소 효과가 있었고, EOS와 IOS를 모두 사용했을 때는 97.8%의 효과가 있었다. 또 EOS를 수직 방향으로 구강에 10cm가량 가까이 놓았을 때 비말·에어로졸 감소 효과가 가장 높아 석션 기기의 올바른 배치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비말·에어로졸 확산은 전치부의 충치를 치료할 경우에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비말과 에어로졸 확산을 확인
코로나19 기간 치과 치료를 위해 응급실을 내원한 아동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술람미트 황 교수(뉴욕대 치과대학)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최근 오리건 주 포틀랜드에서 열린 미국 치과, 구강 및 두개안면 연구 협회와 캐나다 치과 연구 협회가 주관한 연례 회의에서 발표했다. 연구팀은 ‘Medicaid/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대상 아동 중 320만 명의 치과 의료 서비스 이용도 관련 뉴욕 메디케이드 청구 데이터를 검토·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대확산 기간인 2020년 당시 미국의 치과 진료실 폐쇄로 인해 치과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 응급실(ED)에 내원한 아동들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20년 11주에서 52주 사이 EU에 내원한 아동들의 청구 데이터를 살펴보면 치과 질환으로 인해 방문한 비율이 이전보다 3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비율 증가는 11주에서 22주(약 41.9% 증가)에 가장 집중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EU에 방문하는 이들의 비율 증가는 치과 진료실 재개가 이뤄진 이후에도 약 25.6%가량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