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학회나 연구회들의 추계학술대회나 컨퍼런스들이 10월, 11월에 집중되어 있는데 참여 치과의사들의 표정은 밝아 보이지 않는다. 현재 치과계는 내부적으로 저수가 경쟁 심화와 공급 과잉의 이중고에 직면해 있고 국가적으로는 저성장 패턴이 지속되고 있는 환경에서 단순한 전략으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는 치과의료의 본질적인 가치를 재정립하고, 능동적인 진료 영역 확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 그 방법으로 치과의사가 구강을 넘어 전신건강관리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미래, 이것이 우리가 만들어갈 새로운 지평이다. 학문적 근거로 우리의 몸은 전신이 근막, 혈관, 신경, 체액으로 연결되어 있고 순환, 호흡되므로 계통이나 부분에 집중한 진료와 더불어 통합적(전신) 진료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2025년을 지나 2026년에는 통합돌봄지원법이 시행됨에 따라, 전신건강관리의 한 축 역할을 치과계가 할 수 있다. 이미 일본에서는 방문진료가 정착되어 있어 우리 현실에 맞게 적용해 나가는데 치과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리드해야 한다. 고령 환자는 필연적으로 다수의 전신 만성질환을 동반하며, 이들 질환과 구강건강 사
부에노스아이레스 도심을 관통하는 독립기념일 대로(大路)는, 오뉴월에 연수정 빛 꽃이 피는 가로수 하카란다(Jacaranda)가 화려하다. 핑크궁전으로 꺾이는 어귀에 한 남자가 열 마리쯤 개를 몰고 간다. 몇 년 전 파리에서 처음 본 반려견 도우미(Pet-sitter)다. 늑대가 조상인 개에게서 질주와 추격 즉 사냥본능을 빼앗으면 살아도 사는 게 아니다. 도심에 사는 반려견은 달릴 기회를 얻기가 힘드니까, 건강유지와 정서적인 안정을 위하여, 산책을 시켜주는 배려다. 지도자를 잘못 선택한 죄로 경제적인 고통을 겪지만, 유럽 보다 더 유럽답다는 아르헨티나의 문화유산은 이어진다. 작년 가을 벼르고 벼르던 아프리카 여행 중에, 케이프타운에서 개 산책 도우미를 다시 만났다. 가이드의 설명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반려견 교육이 의무적(Compulsory)이라 한다. 일정기간 훈련을 시켜서 불합격이면 재교육을 하고, 그래도 합격하지 못하면 안락사(Euthanasia)를 권한다는 것이다. 넬슨 만델라의 진실과 화해위원회라는 선견지명이 답보(踏步)하면서, 인재의 탈출(예; 일론 머스크)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세계최초로 심장이식을 한 나라요 표준영어(King’s En
치과의사의 합리적인 소비를 돕는 방송 오스템 라이브쇼가 1년에 단 한번뿐인 블랙 프라이데이 특집 주간으로 고객들과 만난다. 오스템 라이브쇼는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 ivoclar(이보클라)의 프리미엄 수복 레진인 ‘플로어블 레진 Tetric N-Flow’와 ‘패커블 레진 Tetric N-Ceram’ 파격 할인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ivoclar 103년 노하우가 집약된 프리미엄 수복 레진을 합리적인 가격과 구성으로 기획해 혜택을 최대한 높였다는 설명이다. 이날 방송에서는 ▲플로어블 레진 Tetric N-Flow(2g) x 7개 ▲패커블 레진 Tetric N-Ceram(3.5g) x5개를 패키지로 묶어 구성했다. 제품 구입 시 ▲유니버셜 본딩제 Tetric N-Bond Univ.Vivapen(1개) ▲개구기 Optragate(40개입, 1박스) ▲불소바니쉬 Fluor Protector S(7g, 1개) ▲연마재 Proxyt(Medium, 1개) ▲실란트 Helioseal F Plus(1g, 1개) ▲임시수복재 Telio Inlay(2.5g, 3개) ▲지르코니아 전용 교합지 Bausch ARTI CERAM(1개)를 블랙 프라이데이 특별 구성으로 모두 제
치주질환 환자가 지속 상승하며, 국민 2명 중 1명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은 지난 10월 31일 ‘2024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를 발간했다. 특히 이 가운데 주요 질환 진료 현황에서 ‘치주질환’이 다른 주요 질환을 크게 상회하는 환자 수를 기록하며, 국민 구강 건강을 제고하기 위한 지원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해당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치주질환 환자는 10만 명당 4만4713명 수준으로 전체 주요 질환 중 1위를 기록했다. 더욱이 이는 다른 주요 질환 환자보다 적게는 2.1배 이상, 크게는 5배 이상 차이 나는 수치다. 각 주요 질환별 10만 명당 환자 수는 ▲감염병 2만806명 ▲고혈압 1만5064명 ▲관절염 1만4508명 ▲정신질환 8824명 ▲당뇨병 8020명 ▲간질환 2996명 등의 순이었다. 뿐만 아니라 직전년도인 2023년과 비교해 추이를 살펴보면, 치주질환 문제는 더욱 깊어진다. 지난 2023년 기준 10만 명당 치주질환 환자는 4만3738명이었다. 즉, 한 해 사이 치주질환 환자가 10만 명당 975명(2.2%) 늘어난 셈인데, 이는 다른 주요 질환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같은
전 세계적으로 불법 치과진료가 횡행하고 있지만, 이를 막을 제도적 장치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치과의사연맹(FDI)의 조사에 따르면, 회원국 49개국 중 56%가 “불법 치과진료에 대한 법 집행에 중대한 장애가 있다”고 답했다. 법은 존재하지만 제도와 집행 역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결과는 FDI가 최근 발간한 ‘Illegal Dental Practice Survey Report 2025’라는 제하의 보고서에 실렸다. 조사는 지난해 1월부터 4월까지 FDI 회원국 135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49개국이 유효한 응답을 내놨다. FDI는 불법 치과진료를 “면허·등록·자격 없이 치과 시술을 제공하는 행위”로 정의하며, 비면허자가 미용실·가정 등 공간에서 교정장치를 부착하거나 발치·임플란트를 시행하는 행위를 예로 들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국 중 95%가 불법 치과진료를 금지하는 법률을 보유했지만, 제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한 국가는 49%, 비효과적이라는 국가는 47%였다. 또 56%의 국가가 법 집행 과정에서 ‘중대한 장애’를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68.4%의 국가가 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