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를 모두 잃은 노인들이 인지 능력 저하가 가속화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뉴욕 대학 연구팀은 65세 이상 노인 9948명을 대상으로 12년 간 건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치아 상실 여부와 함께 2년마다 측정된 인지 기능에 관한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치아가 모두 손실된 65세 이상 노인들은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 능력 저하 속도가 빨라졌다. 이는 74세 이전까지 인지력 저하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85세 이상인 경우엔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구강 건강이 나쁜 이들은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당뇨병을 가진 노인들은 혈당 수치를 조절하기 위한 당뇨병 치료와 함께 구강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노인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치과 치료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며 “의료 기관도 환자들에게 구강 건강과 인지 능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치과의사연맹(FDI)이 3월 20일 ‘세계 구강 건강의 날(World Oral Health Day)’을 맞아 국제 사회에 구강 질환에 대한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을 촉구했다. 또 올 9월에 뉴욕에서 열리는 국제연합(UN) 보편적 의료 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 UHC) 고위급 회담(High Level Meeting, HLM)에 구강 건강을 통합시키는 안건도 포함토록 요구했다. HLM은 2019년에 열린 첫 회담에 이어 UHC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건강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 영역을 파악할 기회를 국가와 이해 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전망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구강 질환은 세계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만연한 질환이며, 약 35억 명이 충치, 중증 잇몸 질환, 치아 손실, 구강암으로 고통받고 있다. 구강 질환 환자의 수는 5대 주요 비전염성 질환(심혈관 질환, 당뇨병, 만성 호흡기 질환, 암, 정신 질환)의 환자 수를 합한 것보다 약 10억 명이나 더 많다. 이에 최근 수년간 세계적인 차원에서 구강 질환에 대한 대처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1년에 세계 각국은 WHO의 획기적인 구강 건강 결의안을 지지했고, 올해
갈수록 어려워지는 개원 환경 속에서 치과의사들의 정신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매튜 홉크래프트 박사(멜버른대)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Australian dental practitioners’를 최근 ‘치과 의술과 구강 역학(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호주에 등록된 1474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지난 2021년, 자가 보고 형식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스트레스로 인한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 있는지, 시도한 적 있는지 물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설문조사를 실시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난 1년간 약 18%가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 있다고 답변했으며, 그 이전 시기에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 있다고 답한 이들 역시 약 31%로 나타났다. 또 전체 조사 대상자 중 극단적 선택을 실행에 옮긴 적 있다고 답변한 이들이 약 6%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치과의사의 개원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치아와 뇌 건강 사이의 상관관계가 일부 규명됐다. 치아 건강이 나빠지면 뇌 건강도 함께 악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팀은 최근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성인 약 4만 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헬스데이뉴스가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충치나 치아 결손 위험 유전인자를 가진 사람은 뇌 건강 저하 징후가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해 빠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치가 쉽게 발생하거나, 치아가 잘 빠져 틀니를 사용할 확률이 높은 유전적 소지를 지닌 사람은 뇌백질변성이 나타날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 대비 2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백질변성은 뇌의 정보 전달 역할을 하는 백질이라는 기관이 혈액순환장애 등의 원인으로 변화하는 질병으로 뇌출혈, 뇌졸중, 뇌경색과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연구팀은 구강 건강이 악화할 수 있는 변이유전자를 지닌 환자들에게서 뇌의 미세구조 손상 사례를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구강 건강 악화가 신체에 저강도 염증을 유발하며, 이러한 염증이 혈관 내막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뇌 손상을 일으키는 것
미국 내에서 틱톡 등 유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DIY(Do-It-Yourself, 소비자가 직접 제품 등을 제작·수리하는 행위의 총칭) 치과 치료가 확산해 논란이다. 치과 DIY의 경우, 지난해부터 꾸준히 사회적 문제로 지적돼 왔으나, 확산세가 줄지 않아 적극적인 차단 노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미국 메사추세스·보스턴 지역 방송 WCVB는 지난 2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고 지역 주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미국 내에서는 틱톡 등 SNS를 통해 DIY 치과 치료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일부 시민은 손톱 손질 도구로 깨진 치아를 다듬거나, 치과용 시멘트나 사무용 고무 제품, 심지어는 귀고리를 사용해 벌어진 치간을 직접 메우는 영상을 SNS에 게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치아에 부착된 교정기를 숟가락을 이용해 제거하는 등 과격한 행위까지 공유되고 있어, 문제가 상당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미국 내 DIY 치과 치료가 확산하는 첫 번째 이유는 치과 치료비 절감이다. 아울러 해당 영상들 중 일부는 수백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사회적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잇몸 감염과 심장 질환 발생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히로시마대 연구팀은 심장 질환 환자 76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미국심장학회 공식 저널인 ‘JACC’의 자매지 ‘Clinical Electrophysiology’ 1월호에 실렸다. 연구에서는 좌심방이(left atrial appendages) 절제술을 받기로 예정된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환자 중 55명은 비발작성 심방세동, 25명은 승모판 역류, 18명은 좌심방이 혈전 증상이 있었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치아 수, 탐침 시 출혈, 치주 탐침 깊이, 치주염 표면적(PISA) 등을 통해 구강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좌심방이의 섬유화 정도도 확인했다. 연구 결과 탐침 시 출혈, 치주 탐침 깊이, PISA 등은 심방 섬유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치주염이 악화될 수록 심방 섬유증도 악화돼 잇몸 염증이 심장 염증과 질환을 심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해당 논문의 제1저자인 미야우치 슌스케 교수는 “치주염은 장기간 지속되는 염증과 관련이 있고, 염증은 심방 섬유증 진행, 심방세동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는 치주염이 심방 섬유증을
대다수 미국인이 현행 노인의료보험제도(이하 메디케어)에 치과 분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dicarePlanTips(이하 MPT)는 최근 미국인 1471명을 대상으로 메디케어 보장 관련 인식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설문 결과를 지난 10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 ‘시력 관리, 치과 치료 및 보청기와 관련한 보장을 포함하도록 메디케어를 확장하는 데 찬성하는가?’라는 물음에 ‘그렇다’고 대답한 사람이 73%,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이 10%, ‘의견 없음’이 17%로 찬성하는 이들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현행 메디케어는 사회보장세를 20년 이상 납부한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에게 연방 정부가 의료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치과 치료가 지원 대상에서 빠져 있어 사보험에 의존하거나 높은 치료비를 부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과거부터 치과를 비롯한 일부 지원 항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으며 이번 설문도 이 같은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됐다. 이 밖에 현행 제도와 관련해 자격 연령을 낮춰야 한다는 데도 과반이 공감했다. ‘메디케어 수혜 자격 연령을 65세에서
“비단 위로 올라가면 다른 생각을 멈춰요. 오로지 내 손과 팔, 다리는 각기 비단을 사이로 움직이겠다는 생각뿐이죠. 그리고 나선 흐르는 음악에 따라 몸을 맡깁니다.” HuffPost UK가 최근 영국에서 낮에는 치과의사로, 밤에는 서커스 공연자로 활동 중인 Elsie Liontou(여·36세)의 이야기를 다뤄 눈길을 끈다. Elsie Liontou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는 치과의사로서 여러 환자들을 돌본다. 아울러 퇴근 이후에는 서커스 공연자로 탈바꿈해 비단을 활용한 공중 공연을 펼친다. 그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매우 자랑스러워했다. Elsie Liontou는 “환자를 포함해 누군가 제 팔을 보고 굉장히 강해보인다고 말한다”며 “때때로 운동을 한다며 공연에 대해 말하면, 사람들이 굉장히 매력적이라고 이야기한다”고 밝혔다. 이어 “예전에 취미로 폴댄스를 해봤는데, 손에 땀이 많이 나고 폴이 미끄러질까봐 걱정이 됐었다. 이후 그리스에서 영국으로 이사하면서 폴댄스와 비슷한 운동을 찾고 있었다. 이사 후 스트레스 해소 겸 건강 유지를 위해 약 8년 전에 처음으로 비단 공중 공연 수업에 참석했었고, 이내 푹 빠졌다. 당시 공연뿐만 아니라 두 자녀를
국내 치과계에서도 과다 출혈, 골 괴사 등 환자의 병력을 미처 파악하지 못해 발생하는 응급 상황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가운데 세계 치과계에서도 주의가 잇따르고 있다. 호주치과의사회(Australian Dental Association·이하 ADA)는 최근 발치 과정에서 과다 출혈 등의 응급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치료 전 환자가 복용 중인 약물을 재차 확인하고 병력 기록 등을 꼼꼼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호주인의 경우 3분의 2가 정기적으로 보조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각종 약초 요법 등도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ADA는 밝혔다. 이와 관련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강황, 생강, 마늘, 은행나무, 인삼, 글루코사민, 달맞이꽃 기름, 생선 기름 등을 포함한 특정 보충제와 약초 요법 등이 치과 치료 시 출혈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항우울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혈액 희석제와 같은 일부 약물 역시 출혈을 일으키는 위험 요소인 만큼 시술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A는 치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가 병원에 처음 내원할 시, 이 같은 보충제나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치과계는 구인난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아이다호주치과의사회(ISDA)가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3%가 치과위생사 부족 등 구인난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Idahoed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와 관련 Kim keller ISDA 회장은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 Nampa 치과 프로그램 책임자인 Lucretia Bollinger와 손잡고 Skyview 고등학교에 ICAT Dental Clinic을 여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Keller 회장은 학생들에게 치과 업무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치과 취업 연결 라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Keller ISDA 회장은 “우리는 이 작업을 수행하기 전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려고 노력했다“며 ”이 같은 노력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이 치과계에 참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Lucretia Bollinger “치과 직원 구인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 직후 바로 직업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구촌 사람들은 지금 구강건강 주의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WHO)는 지난 11월 18일 세계 구강건강 상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약 35억 명이 구강건강과 관련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약 45%에 달해, 지구촌 사람들 2명 중 약 1명이 구강건강을 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울러 보고서는 현재 전 세계에서 지출하는 한 해 구강건강 관리 비용이 약 3870억 달러(한화 약 517조8060억 원)라고 보고했다. 다만, 이 가운데 약 80%는 선진국에서 지출되고 있어, 국가 간 구강보건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됐다. 이를 방증하듯, WHO는 지난 30년 간 구강 질환 사례가 약 10억 건 증가했으며, 보고된 환자 4명 중 3명이 저소득 또는 중간 소득 국가의 국민들이라고 분석했다. WHO는 이 같은 실태를 개선하고자 세계 구강건강 실행 계획(Global Oral Health Action Plan)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실현 방안을 오는 2023년 회원국과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