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치과 표준(81) 법의학 치과 용어

치아 수복상태를 포함한 개인식별 가치가 있는
구강 특징에 대한 표준화
대형 재난에도 정확하고 신속한 개인식별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근간 마련
모호한 표현을 줄이고 정확한 기록을 통한 소통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제표준화기구/치과전문위원회(ISO/TC 106)에서 치과 용어 (Dentistry - Terminology)에 대한 국제 표준을 제ㆍ개정하는 소위원회 (Sub-Committee, SC)는 SC 3이며 해당 분과 중 법의학 데이터 구축을 위한 치과 용어 (Vocabulary and designation system for forensic orodental data)를 담당하는 작업반(Working Group, WG)은 WG 5이다.  


본 연재에서는 개인식별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치과 진료 기록을 온라인 전송이 가능한 전자 데이터형식으로 구축하기 위한 표준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법치의학 데이터 구축을 위한 용어 관련 국제표준은 2020년 제1판으로 발행된 ‘ISO 20888 Dentistry -Vocabulary designation system for forensic orodental data’이다.

 

<적용범위>
법의학 분야에서 개인식별을 위해 치과 진료 기록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개인의 사후(死後, postmortem) 치아 상태와 사전(死前, antemortem) 치과 진료 기록을 비교하여 식별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치료와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기록이 활용된다. 차트를 포함한 방사선사진, 구강 내 임상사진, 혹은 석고모형 등이 이러한 기록물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기록들은 주로 종이나 사진의 형태로 전송되고 있다.


이 표준은 이러한 사전 정보로서 치과 진료 기록을 전송하거나 상호 소통하는 경우, 전달 과정에 있어 모호함을 줄이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치료기록과 관련한 구강 내 특징을 표준화 코드로 표현하여, 사전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함으로써 개인식별에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재해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현행 보다는 쉽게 개인식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 진료와 관련한 모든 기록물을 표준화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개인 식별과정은 정확한 감정 결과뿐 아니라 시간의 단축에도 크게 이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용어>
 3.1 oro-dental identification, 구강 - 치아의 식별: 사전 치과 기록과 사후의 기록을 비교를 통한 개인 신원의 식별
3.2 forensic oro-dental data, 구강 - 치아의 법의학 데이터: 구강 및 주변 조직 정보에 대한 법적 목적을 위한기록
3.2.2.1 date of receiving record, 기록 수신일
3.2.2.2 date of information, 정보 생성일
3.2.1.1 antemortem dental data, 사전 치과 데이터
3.2.1.2 postmortem dental data, 사후 치과 데이터
3.3 oro-dental location, 구강 - 치아 위치: 법의학 정보 기록을 위한 치아 번호, 구강 내 위치
각각의 치아 및 구강 내 위치에서 아래와 같은 세부 항목을 기록할 수 있다.
3.3.1 tooth present, 관찰 치아: 차트 기록에 의거하거나, 임상적 혹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이 되는 치아에 해당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기록된다.
3.3.1.1 unerupted tooth, 미맹출 치아
3.3.1.2 erupted tooth, 맹출 치아 (맹출과다, 맹출저하, 이소맹출 등)
3.3.1.3 unrestored tooth, 미수복 치아
3.3.1.4 coronally restored tooth, 치관부 수복 치아 (수복 개수를 포함한 수복재 종류, 수복된 치면, 수복재 색조, 근관치료)
3.3.1.5 root restoration, 치근부 수복 (포스트, 치근부의 수복)
3.3.1.6 altered root, 변형 치근
3.3.1.7 abutment tooth for a dental prosthesis, 치과보철용 지대치
3.3.1.8 other unique restorative characteristic, 기타 특기할 만한 치아 수복 양상
3.3.1.9 non-acquired anomaly, 후천성 치아이상
3.3.1.10  non-restorative acquired anomaly, 미수복 상태의 발육성 치아이상
3.3.2  tooth not present, 관찰되지 않는 치아; 임상 및 방사선 검사에서 모두 보이지 않거나 치과 기록에 없는 것으로 기록된 치아에 해당함. 아래와 같은 사항이 기록된다.
3.3.2.1 tooth extracted 발거된 치아
3.3.2.2 tooth missing (averlsed) 상실치아(탈구)
3.3.2.3 tooth missing (congenital) 상실치아(선천적)
3.3.2.4 indeterminant cause of loss, 원인 불명의 치아 상실
3.3.2.5 tooth not replaced, 미수복 치아
3.3.2.6 tooth replaced, 인공 치아; 식립된 임플란트 재료, 색조 등을 기록할 수 있음.
3.3.3 unknown status of tooth, 기록이 없는 치아
3.3.4 other tooth status, 기타 상태의 치아
3.3.5 periodontal disease, 치주 질환
3.3.6 hard tissue entity, 경조직 상태; 치아의 개별 상태 이 외의 악골과 관련된 개인식별을 위한 정보로 아래와 같은 사항이 기록됨.

 

 

 

3.3.6.1 dental positional discrepancy, 치아 위치 부조화
3.3.6.1.1 malocclusion, 부정교합
3.3.6.1.2 crowding, 치아 총생
3.3.6.1.3 diastema, 정중 이개
3.3.6.2 jaw fracture, 악골 파절
3.3.6.2.1. maxillary jaw fracture 상악골 파절(르포트 I, II, III 파절)
3.3.6.2.2 mandibular fracture, 하악골 파절
3.3.6.3 internal fixation device, 골간 고정 장치; 악골 파절 부위의 고정을 위해 사용된 나사, 고정판, 와이어 등과 고정판의 제조사 혹은 시리얼 번호 등
3.3.6.4 other hard tissue entity, 기타 경조직 상태
3.3.6.5 hard tissue anomaly, 경조직 이상; 골융기, 상악골융기, 구개열, 과잉치 등

 

 

 

3.3.7 soft tissue entity, 연조직 상태; 치아나 악골 이 외의 개인 식별과 관련한 구강 내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기록됨.
3.3.7.1 intraoral soft tissue anomaly, 구내 연조직 이상
3.3.7.1.1 intraoral soft tissue lesion, 구내 연조직 병소 위치
3.3.7.1.2 primary colour of soft tissue lesion, 연조직 병소의 초기 색조
3.3.7.1.3 surface character of a mucosal anomaly, 점막 이상의 표면 특징
3.3.7.2 non-mucosal tongue anomaly, 점막을 제외한 혀의 이상
 - ankyloglossia, 설소대 단축증
 - macroglossia, 거대설
 - macroglossia, 소설
3.3.7.3 non-mucosal lip anomaly, 점막을 제외한 입술의 이상(구순열, 감염에 의한 병소)
3.3.7.4 tatto, 문신(위치, 특징 등)
3.3.7.5 dominant colour of tattoo, 문신의 전반적인 색상
3.3.7.6 description of tattoo, 문신의 형태
3.3.7.7 intraoral piercing, 구내 피어싱(위치, 재료, 반흔 등)
3.3.7.8 location of intraoral piercing, 구내 피어싱의 위치
3.3.7.9  intraoral piercing jewelry, 구내 피어싱 보석
3.3.7.10 material used in an intraoral piercing jewelry, 구내 피어싱용 재료
3.3.7.11 colour of intraoral piercing jewelry, 구내 피어싱 보석의 색상
3.3.7.12 intraoral scarring, 구강 내 반흔

 

 


3.3.7.13 altered, excised or absent tissue, 변형, 절제 및 결손 조직
3.3.7.14 other soft tissue entity, 기타 연조직 상태
3.3.8 dental prosthesis, 치아 보철물;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상실치아 및 관련 조직을 대체하는 구장치를 의미하며 아래와 같은 사항에 대해 기록됨.
3.3.8.1 removable dental prosthesis, 가철성 보철물; 총의치, 국소의치 및 지대치 번호, 의치의 부위, 의치의 재료, 색상, 디자인 등
3.3.8.2 fixed dental prosthesis, 고정성 보철물; 보철물 부위, 지대치 번호, 지대치 종류 등
3.3.8.3 other oral appliance, 기타 구강 내 장치
3.3.8.4 dental orthosis, 악교정장치(가철성, 고정성)
3.3.8.4.1 orthodontic appliance, 교정장치
3.3.8.4.1.1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가철성 교정장치
3.3.8.4.1.2 fixed orthodontic appliance, 고정성 교정장치
3.3.8.4.2 orthodontic retainer, 유지장치
3.3.8.4.3 space maintainer, 공간유지장치(가철성, 고정성)
3.3.8.4.4 expansion appliance, 공간확대장치(가철성, 고정성)
3.3.8.4.5 TMJ appliance, 턱관절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