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심미치과학회 부울경 지부가 공식 출범한다. 심미치과학회 부울경지부는 오는 10월 22일 오후 1시 창립총회 및 추계학술집담회를 디오 임플란트 대강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학술집담회에는 심미치과 분야 저명 연자 3인이 나선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전치부 등 임플란트 수복과 심미보철을 다룰 예정이다. 백영재 원장(부산 봄치과의원)은 ‘건강한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부착치은의 회복’, 이정삼 원장(웃는하루치과)은 ‘전치부에서 임플란트 수복은 왜 어려울까?’, 우중혁 원장(위드치과)은 ‘건강한 전치부 심미보철’을 주제로 심도 있는 강연을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집담회 후에는 창립총회가 예정돼 있다. 심미치과학회 부울경 지부는 ▲심미치과 수복 향상을 위한 세미나 및 연수회 개최 ▲부울경 치과의사 중 뛰어난 임상 및 연구 활동가 발굴 ▲임상 및 연구 발표 기회 제공 등을 목표로 향후 활동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 참가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된다. 등록은 회원과 비회원 구분 없이 가능하다.
지역민의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해 지난 16년간 참된 봉사 정신을 실천한 치과의사들이 있다. 이들은 지역의 치과의료소외계층 4600여 명을 물심양면으로 돌봤다. 지금까지 이들이 무료로 제작해 환자들에게 제공한 무료 틀니만 430개. 이러한 참된 헌신은 지역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 영등포치아사랑센터의 사연이다. 영등포치아사랑센터(이하 센터)는 영등포구 분회 주도로 지난 2007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북부지사와 협약을 통해 출범 준비를 시작했으며, 이듬해인 2008년 7월 정식 개소했다. 이 과정에서 당시 분회 회장을 역임한 최인호 서울지부 부의장을 비롯한 영등포구 분회 임원 및 회원은 자발적으로 시설 운영에 필요한 기금을 조성했다. 또 유니트체어 등 고가의 필수 장비를 기증키도 했다. 이 같은 분회의 노력에 발맞춰 건보공단 영등포북부지사 또한 치과에 필요한 공간을 내어주고 인테리어 등을 지원했다. 최인호 부의장은 당시를 회고하며 “센터를 개소하기 위해 당시 공단 지사장을 설득해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며 “또 영등포구 분회 임원과 회원이 십시일반으로 기금을 조성하고 기기를 기증하는 등 자발적으로 참여해 줬기에 지금의 센터가
사이버메드와 덴탈빈이 함께하는 상악동 핸즈온 전국 세미나가 해외 치과의사까지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관심과 열기를 더하고 있다. 조용석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의 ‘Essence of Crestal Sinus Bone Augmentation surgery’ 세미나는 지난 9월 19일 분당 한국HRD교육센터에서 진행됐다. 이날 조 원장은 상악동 수술의 핵심과 임상 노하우를 전달했다. 또 20세기부터 지금까지 상악동 수술 도구의 변천사와 좋은 수술 도구 선택의 기준 등을 설명해 시선을 끌었다. 특히 이날 세미나 현장에는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 중인 치과의사도 참석했다. 현재 미국 오리건주에서 활동 중인 치과의사 최미진 원장은 고국 땅을 밟기 무섭게 세미나 현장을 찾았다. 온라인으로만 접하던 강연을 현장에서 꼭 체험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최 원장은 “미국에서 온라인 강연을 들을 때도 많은 배움을 얻었는데, 현장에 직접 참석하니 더욱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어 기쁘다”며 “미국에서 활동 중인 한인 치과의사 사이에서 덴탈빈 온라인 강의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유명하다. 사랑니 발치 등 여러 수술을 덴탈빈을 통해 배웠다. 10월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강연이 열린다고
많은 개원가가 자연 치아 삭제나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환자들로 인해 고충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소한의 삭제로 우수한 수복이 가능한 보철법이 눈길을 끈다. 라인치과기공의 M‧I 브릿지가 최근 개원가의 관심을 받고 있다. M‧I 브릿지는 최소 삭제 보철법이다. 특히 전치부와 구치부 치아 결손 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해 인접면에서도 강력한 접착으로 견고한 합착을 유지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아울러 M‧I 브릿지는 ▲최소 삭제로 수복 가능 ▲자연 치아 삭제에 부정적이거나 치과 공포증이 심한 환자에게 유리 ▲임플란트에 거부감을 가진 환자 또는 식립이 불가능하거나 실패 경험이 있는 환자에게 유리 ▲기존 최소 삭제 시술법을 개선해 탈락 위험 제거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메릴랜드 브릿지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도 주요 요소 중 하나다. 라인치과기공 측은 “M‧I 브릿지는 치아를 깎기 싫어하는 환자,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곤란한 환자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이하 KSDO)가 심포지엄을 열고 디지털 교정 임상 최신 트랜드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70대 이상의 교정과 전문의도 참가하는 등 세대를 초월한 뜨거운 학구열을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됐다. KSDO는 지난 10일 서울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2023년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자리에서는 이계형 회장을 비롯한 KSDO 임원 및 회원 20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권긍록 대한치의학회장, 백승학 대한치과교정학회장과 전 교정학회장인 성재현‧박영국‧경희문‧국윤아 KSDO 고문이 자리를 빛냈다.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3D data’를 대주제로 삼은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내 디지털 교정 학술 및 임상을 선도하는 최정상급 연자가 대거 참가했다. 아울러 일본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도 동참해, 해외 디지털 교정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됐다. 이날 심포지엄의 각 강연은 성재현‧박영국‧국윤아 KSDO 고문이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첫 강연에는 에이고 미츠바야시 일본디지털교정학회장이 나섰다. 미츠바야시 회장은 다양한 디지털 장비를 사용한 출력물을 비교하고 여러 임상 상황별 최적의 장비 선
최근 치과뿐 아니라 의료계 각지에서 연구‧개발이 가속화 하는 디지털치료기기와 인공지능(AI)의 건강보험 등재 가이드라인이 공개됐다. 이로써 임시등재 예측 가능성 등이 제고돼, 혁신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디지털치료기기와 인공지능의 건강보험 등재 가이드라인’을 제‧개정 및 배포했다. 디지털치료기기란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관리, 치료하고자 환자에게 근거 기반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말한다. 또 인공지능(AI)은 의료용 빅데이터를 AI 기술로 분석해 질병을 진단, 관리, 예측해 의료인의 업무를 보조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일컫는다. 특히 디지털 및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술의 경우, 기존 혁신의료기술 대비 건강보험 등재절차가 간소화됐다. 기존 혁신의료기술은 초기 진입 시 ‘허가 → 기존기술 확인 → 기술평가’ 등의 3단계를 거쳐야 임상연구 및 사용 승인 단계로 접어들게 된다. 하지만 디지털 및 AI 기술의 경우 ‘통합심사평가’를 통해 초기 3단계를 일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가 기간도 통상 390일에서 80일로 단축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만큼 정
치아 이동 생물학을 통한 역발상 치아 이동을 배울 수 있는 특별한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치과교정학회 부산‧경남‧울산지부는 9월 20일 아미동 부산대학교병원 E동 9층 대강당에서 2023년 제3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날 강연에는 이기준 교수(연세대 치과병원)가 나선다. 이 교수는 ‘치아 이동 생물학을 통한 역발상 치아 이동 : 치근연장술에서 치주교정까지’를 연제로 심도 있는 강연을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 사전 등록 마감은 9월 18일까지며, 현장 등록도 가능하다. 회원뿐 아니라 비회원도 수강할 수 있다. 단, 보수교육점수를 원활히 인정받기 위해선 사전등록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참가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와 교정학회 인정의 보수교육점수가 각 2점 부여된다.
“완전 무치악 환자 임플란트에 도전하고 싶은 임상의에게 올바른 길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치과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이버메드가 창립 25주년을 맞이해 ‘제2회 사이버메드 월드 심포지엄(CWS 2023)’을 오는 10월 8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 5F 파크볼룸에서 개최한다. 올해 2회차를 맞이하는 CWS 2023은 환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지털 토탈 솔루션을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올해는 ‘완전 무치악 환자를 위한 치료 전략’을 대주제로 내세운 만큼, 전악 임플란트 수술을 희망하는 임상의에게 적합한 노하우가 공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자로 나선 조용석‧김세웅 원장(22세기 서울치과), 김찬동 소장(덴탈빈기공소)은 전악 임플란트 임상 비법을 아낌없이 전달하겠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먼저 조용석 원장은 ‘Treatment planning for fully edentulous patients’를 연제로 김세웅 원장과 함께 완전 무치악 환자를 상대로 가능한 치료 선택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자의 경제적 상태, 잔존 치조제의 형태, 수술‧보철적 능력, 유지 관리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을 총망라해, 가능한 치
전 세계 치과대학의 대표적인 근관치료 교과서 중 하나로 알려진 Pathways of the pulp 최신판에 금기연 교수(서울치대)와 바이오MTA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의 공저 논문이 등재됐다. 바이오MTA는 최근 금기연 교수와 유준상 원장이 공저한 논문이 Pathways of the pulp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Cohen's Pathways of the pulp는 국제적 권위를 인정 받은 근관 치료 서적이다. 이번에 등재된 연구는 근관 내 상아세관 내부까지 침투한 감염 세균을 OrthoMTA 근관 내 이식을 통해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균 조절법을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바이오MTA는 MTA에 의한 Entombment & fossilization 균 조절이 세계 최초로 전자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입증됐으며, 네이쳐(Nature)지의 자매지인 IJOS 표지를 장식할 만큼 높게 평가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이번 등재는 근관 내 감염 세균을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균 조절법으로 인정받은 것과 같다는 부연이다. 유준상 원장은 “가타파챠 사용 시 한계를 포틀랜드 시멘트 유래 MTA가 아닌 수경성 바이오세라믹 OrthoMTA로
IVRO를 활용한 양악수술의 비법을 전수 받을 수 있는 특별한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는 오는 9월 18일 오후 7~9시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5층 평강홀에서 2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특히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양악수술의 최신 지견을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연에는 김기정 원장(위즈치과의원)이 나서 ‘Orthognathic surgery with IVRO’를 연제로 IVRO 방법을 활용한 양악수술의 비법을 전수할 것으로 관심을 모은다. 이번 행사 사전등록은 오는 9월 14일까지 받는다. 교정학회 회원뿐 아니라 비회원도 수강 신청할 수 있다. 참가자에게는 치협과 교정학회 인정의 보수교육점수가 각 2점 부여된다.
신흥의 대표 임플란트 학술대회 SID 2023(Shinhung Implant Dentistry 2023)이 국내‧외 치과의사 500여 명을 동원하며 성황리에 행사를 마쳤다. 신흥은 지난 3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제14회 SID 2023을 개최했다. 더불어 국제 교정학술대회인 ASIA DAMON FORUM 2023도 함께 열렸다. 올해 SID 2023은 ‘Guided Decision Making’을 대주제로 많은 임상가가 보철과 수술 시 겪는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했다. 특히 각 섹션 테마를 ‘결정장애’로 정하고 임상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 긍정적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섹션 1은 ‘보철 시 결정장애 : 디테일은 어렵다’를 주제로 국내 저명 연자 7인의 강연이 펼쳐졌다. 각 연자는 ▲무치악 고정 결정 오류 ▲상부 보철 계획 및 디자인 기준 ▲완전 무치악 수복 ▲신흥 임플란트 ‘Luna S’를 이용한 아날로그와 디지털 임상 등을 심도 있게 다뤘다. 섹션 2는 ‘수술 시 결정장애 : 디테일 이렇게 잡는다.’를 주제로 8명의 연자가 나서 다채로운 강연을 선사했다. 각 연자는 ▲SIS(Shinhung Implant Sy
치과기공소의 기공소 개설 권한이 직군 간 양극화를 초래하고 의료인의 1인1개소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이는 치과의사의 직업 수행 자유를 침해할 뿐 아니라, 의료의 질 하락 등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란 비판이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이하 치기협)는 오늘(6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치과기공 관련 제도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 치과기공 관련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삼은 이번 토론회는 치기협이 주관하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연숙 국민의힘 의원,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비례대표), 강은미 정의당 의원 주최로 이뤄졌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 치기협은 현재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양측에 부여된 치과기공소 개설 권한을 치과기공사 단독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 7월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연숙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이 발의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발단이 됐다. 해당 개정안은 치과의사가 치과기공소를 신규 개설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삼고 있으며, 이는 치과기공계가 지난 2011년 지도치과의사제도 폐지 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