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와 환자 모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임상족보가 공개된다. 이화여대 목동병원치과진료부(이하 이대치과진료부)가 2016 이화고급 임플란트 연수회(27th Hands-on/Clinical Workshop)를 6월 18일, 19일과 7월 2일, 3일 총 4회 코스로 진행한다. 연수회는 이대목동병원 임상치의학대학원강의실에서 진행되며 선착순 30명을 대상으로 한다. ‘의사와 환자가 만족하는 임플란트 임상족보 과외하기’를 주제로 한 이번 연수회에서는 임플란트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서부터 수술과 보철 실습, 실제 환자 시술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이 총망라 된다. 4회에 걸친 연수회에는 이대 임치원 구강외과(김선종, 김진우, 박정현), 보철과(박은진, 윤형인), 치주과(방은경, 이종빈), 교정과(김민지), 보존과(김예미) 교수진이 총 출동한다. 또 김태형 원장(서울 김앤이치과), 김양수 원장(서울 좋은치과)이 초청연자로 참여해 각각 임플란트 보철, 교정, 보존, 외과, 치주, 연조직 등에 대한 특화된 강연을 통해 실질적인 임플란트 임상족보를 공유한다. 특히 연수생들을 위한 특전으로 환자 시술 임상지도와 다양한 임플란트 시스템 Hands-on, 임상연수
디오가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두주자로써 축적된 임상 솔루션과 노하우를 공유, 디지털 치과 진료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오(대표 김진백)는 오는 6월 12일 부산 디오임플란트 본사 7층 대강당에서 ‘The Original: DIO Digital Dentistry Symposium’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3월 25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해 성황을 이룬 서울 심포지엄에 이은 두 번째 심포지엄으로 디오는 매년 전국 규모의 심포지엄 확대를 통해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두주자로써 축적된 임상 솔루션과 노하우를 공유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는 각 분야에 최적화된 연자를 섭외됐다. 먼저 최병호 교수(연세대 원주세브란스병원)가 ‘디지털 플랩리스 상악동 수술’을 주제로 강연하며 손현락 원장(웰컴치과)은 ‘디오나비의 경영적 관점에서의 접근’에 대해 강연한다. 강재석 원장(예닮치과병원)은 ‘다양한 Intra-Oral scanner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이양진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는 ‘전악 임플란트 수복 시 보철의 고려사항’, 신준혁 원장(디지털아트치과)은 ‘기성 어버먼트에 디지털을 입히다’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디오 관계자는 “
5월 20일 오후 4시. 치협과 건보공단의 2차 수가협상이 진행됐다. 1차 수가협상이 치협의 입장을 전달하는 자리였다면 2차는 건보공단 측이 준비한 자료를 설명하고 양측의 의견을 나누는 선에서 마무리 됐다. 치과 협상단은 이날도 치과보장성 확대에 따른 ‘진료비 증가 착시현상’과 ‘지출증가에 따른 치과경영악화 부분’을 이해시키는데 총력을 다했다. 이날 비공개 2차 수가협상을 마치고 나온 마경화 부회장은 “1차에서 우리가 내놓은 자료와 건보공단이 제시한 자료가 상충되는 부분이 있었다. 이 부분에 대해 서로 고민하고 의견을 나눴는데 생각이 많이 어긋나지 않았다. 진료양과 특정행위가 늘어난 원인들을 얘기했는데 서로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이 됐다”고 설명했다. 마 부회장은 또 “오늘 논의 포인트는 보장성이었다”면서 “치과처럼 쏟아져오는 보장성에 정신이 없는 곳은 기존의 보장성에 대해 서로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마 부회장은 특히 이날 스케일링이 확대되는 것을 절대 줄이면 안 되며 건보공단과 치과가 같이 대국민 홍보를 해서라도 더 늘어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스케일링 대상인원 중 실제 치과를
국내 최정상급 연자들과 함께 대한민국 치과계 20년 임플란트 역사를 관통하는 통찰력을 키움으로써 미래 임플란트가 나아갈 길을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A.T.C 임플란트연구회가 주최하고 ㈜예낭아이앤씨 주관, ㈜신흥이 후원하는 ‘A.T.C Implant Annual Meeting 2016’이 오는 6월 19일(일) COEX 4층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3월 15일 진행된 ‘A.T.C 임플란트연구회-신흥양지연수원 상주학술단체 선정’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Insight of Implant Dentistry’를 대주제로 한 세미나는 국내 최정상급 연자들이 초청된 가운데 대한민국 임플란트의 현재를 짚어보고 발전을 꾀하기 위한 통찰력을 키우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연자로는 이번 세미나의 총괄 디렉터인 오상윤 원장(아크로치과)을 비롯해 주대원 원장(가야치과병원), 김신구 원장(하얀치과), 정찬권 원장(에이블치과), 박휘웅 원장(서울에이스치과) 등이 참가한다. 또한 일본 내 보철 분야에서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는 Takehiro Hayashi(Yoshiki 덴탈클리닉)를 초청해 일본 치과계의 보철 노하우를 공유하게 된
5월 18일 오후 4시 30분. 치협 1차 수가협상(단장 마경화)이 팽팽한 신경전 속에 진행됐다. 건보공단의 원주이전으로 인해 당산역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진행된 이날 수가협상에는 치협 수가협상단장인 마경화 보험부회장, 박경희 보험이사, 최대영 서울지부 부회장, 김영훈 경기지부 보험이사가 참석했다. 건보공단 측에서는 장미승 급여상임이사와 박국상 보험급여실장, 장수목 급여보장실장, 이종남 수가급여부장이 배석했다. 먼저 건보공단 장승미 급여상임이사는 “치협 협상단 경력들이 짱짱하시다”며 첫 인사를 건넸다. 이에 마경화 부회장은 “경력이 짱짱하면 뭐하느냐 성적이 영 시원치 않다”고 받아치며 초반부터 치열한 신경전을 예고했다. 이후 1시간 넘게 비공개 협상을 마치고 나온 마경화 부회장은 브리핑을 통해 “치과는 올해 특별히 달라지는 것이 없다. 지난해와 비슷한 기조로 협상을 진행했다”면서 “다만, 지난해에는 운동화를 신고 작두에 올라갔다면 올해는 맨발로 작두에 올라간 기분”이라는 말로 지난해 보다 더욱 절박하게 수가협상에 임하고 있음을 역설했다. #진료비 증가는 착시현상, 치과수입 되레 마이너스 강조 마 부회장에 따르면 치과 협상단은 이날 치과 수가협상에서 유리한 고지
치과의료 융합기술개발의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기술개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Future Dentistry – Pulp Biology’ 워크숍이 지난 5월 7일(토)과 8일(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신흥양지연수원에서 열렸다. ‘2016 질환극복기술개발 치과의료(Dental-Care) 융합기술개발’을 주제로 열린 이번 워크숍에서는 치과의료 융합기술개발과 관련된 연구 과제들이 발표됐다. 먼저 김선영 교수(경희대 보존과)는 ‘치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아 치수 재생 연구’에 대해, 이현우 교수(경희대 치과양리학과교실)는 ‘동종 이식 가능한 치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동정 연구’에 대한 세부 연구 과제를 발표했다. 이어 정한성 교수(연세대 구강조직학교실)가 ‘치아발생 및 치수 질환 단백질 분석을 통한 치아 기능회복 conjugated polymer 개발’, 김의성 교수(연세대 보존과)가 ‘치수질환 동물 모델 및 단백질 분석을 통한 치수 재생물질 개발’에 대해 소개했다.
대전 이엘치과병원(병원장 이도훈)이 해외 의료봉사에서 인연을 맺은 필리핀 청년의 수술비를 전액 후원해 주의를 훈훈하게 하고 있다. 이엘치과병원은 최근 필리핀 몬탈반 의료봉사에서 만난 필리핀 청년 알빈(20) 씨의 ‘함치성낭종’ 제거 수술을 후원한다고 밝혔다. 병원과 알빈 씨의 인연은 지난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추석 연휴인 2012년 9월 27일 필리핀 몬탈반으로 의료봉사를 떠난 의료진은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의료봉사를 했다. 이들은 3년 뒤인 지난해 9월 4일 한국으로 와 병원에 방문해 구강검진을 받았고, 이중 알빈 씨의 우측 하악 구치부에서 2cm 크기의 낭종이 발견됐다. 이에 병원은 알빈 씨의 낭종 제거수술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도훈 병원장은 “필리핀 현지서 치료받기 힘든 알빈에게 심미적, 기능적 회복뿐 아니라 웃음과 삶의 희망을 주는 것이 목적”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한 해외 의료봉사를 실시하며 의료혜택이 필요한 환자들을 위하는 사명을위해 최선을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민준 부교수(하버드치대 치주과)가 지난 5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중국상해에서 하버드치대 평생교육원(디렉터 김민준) 주관으로 열린 Comprehensive Treatment Strategy in Implant Dentistry : Overcoming Your Surgical Dilemmas 심포지엄에 참석해 ‘Growth-Factor Mediated Alveolar Ridge Augmentation Procedures 에 대해 강연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총 7명의 연자가 참가해 다양한 주제로 하버드대학의 최신 임프란트 트렌드를 소개했다.
최근 각종 언론매체 등이 ‘양악수술의 위험성’을 연이어 보도하는 등 부작용이 부각되면서 정작 수술을 받아야 할 환자들이 주저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악, 편악 수술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통해 이들에게 턱수술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가칭)대한선수술교정학회(회장 황현식)가 지난 7일 연세대학교치과병원 강당에서 선수술교정 심포지엄 및 총회를 열고 양악, 편악 수술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심포지엄은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갑작스럽게 주어진 황금연휴기간에 이뤄져 참석률이 저조할 것으로 우려됐지만 130여명의 젊은 교정의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심포지엄에서는 먼저 이기준 교수(연세대 교정과)가 ‘양악스러운 얼굴, 문제점과 해결방안’이라는 주제로 “양악수술이 무분별하게 시행될 경우 오히려 심미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 후, 양악, 편악 수술에 대한 각각의 적응증을 다양한 증례와 함께 제시해 큰 관심을 모았다. 정영수 교수(연세대 구강악안면외과)는 ‘심미를 고려한 선수술 기법’을 주제로 선수술 진단과 수술실에서의 노하우를 가감 없이 소개했다. 이어 선수술 전문 개원의로 잘 알려진 오창옥 원장
“치과계는 정부의 치과 보장성 강화 정책에 발맞춰 열심히 협조했고 많은 개원의들의 희생이 따랐다. 그런데 정작 수가협상에서는 급여 액수가 늘었기 때문에 수가를 인상해 줄 수 없다는 (터무니없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고 있다. 올해는 이러한 부분을 감안해 (치과 등) 소외된 단체도 꼭 배려해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2017년도 치과의 한해 살림살이를 결정하는 수가협상(요양급여비용) 계약 시즌에 본격 돌입한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 성상철 이사장과 장승미 급여상임이사, 치협, 의협, 병협, 한의협, 약사회, 간협 등 공급자단체 단체장들이 지난 10일 12시 서울가든호텔에서 간담회(상견례)를 열었다. 이날 치협을 대표해 참석한 최남섭 협회장은 많은 개원의들의 희생을 담보로 정부의 치과 보장성 강화 정책에 적극 협조해 온 만큼 올해 수가 계약에서는 “치과계가 더 이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해 달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최 협회장은 특히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에 호응해 적극 협조하고 발맞춘 단체는 불이익을 받고 회원들에게는 불만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토로하면서 지난해 일본 동경에서 열린 노인치과진료 월드 컨퍼런스에 참석했던 후일
교정치료와 악교정수술을 통해 적절한 교합을 달성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논의하는 장이 마련됐다. 로스교정연구회(회장 최병택)가 오는 22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제2강의실에서 2016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Orthodontics, Orthognathic Surgery Optimum Occlusion’을 주제로 좋은 교합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점들을 논의하게 된다. 학술대회에서는 먼저 이계형 원장(여수21세기치과의원)이 ‘Criteria for Optimal Occlusion’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 손재도 원장(서울이오스치과)이 ‘Optimal Condylar Position: Starting Point for Optimal Occlusion’, 안정순 원장(선이고운치과의원)이 ‘Stabilization Splint in Growing Patients’, 최재형 원장(윌치과)이 ‘과두의 흡수를 보이는 2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 프로토콜’, 박채희 원장(전주미르치과의원)이 ‘ Unilateral open-bite case with TMD’를 주제로 강연한다. 오후에는 이용찬 원장(베스티안병원)이 ‘턱교정 수술 방식에 대한 고찰’, 황순정 교
한국심는치아연구회(회장 이건영·이하 연구회)가 지난 4월 23일부터 24일까지 KT 대전인재개발원에서 2016춘계학술대회를 열고 ‘AAID Part II 시험’ 노하우 공유 등 학술교류 및 친목도모를 통해 연구회의 발전을 다지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연구회는 미국 치과임플란트학회(AAID)의 공식 임플란트 수련프로그램인 한국맥시코스 수료생들의 모임으로 매년 1박 2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한국맥시코스는 2007년 1기부터 2016년 현재 10기까지 총 376명이 배출됐으며 이중 AAID의 Assoicate Fellow/Fellow를 획득한 회원이 80명(일본회원 포함)에 달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총무위원회(위원장 홍경재) 주관으로 진행돼 한국치과의사 41명과 미국치과의사 3명, 중국치과의사 1명 등 총 45명이 참석했다. 먼저 23일 학술대회에는 이연종 초대 회장(연세우일치과병원)이 ‘임플란트 성공의 십계명’을 주제로 강연했다. 또 한국맥시코스 디렉터인 심재현 원장(심재현 치과)이 ‘Split bone block grafting with tunnel procedure’, 조득원 교수(분당서울대병원)가 ‘합병증으로 풀어보는 임플란트’, 이충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