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나 FDI 상임위원회(Dental Practice Committee) 위원이 상임이사(Councillor)에 출사표를 던지고, 김다솜 치협 국제위원도 FDI 상임위원회(Membership Liaison and Support Committee) 위원 초선에 도전하는 가운데 정견 발표를 통해 강력한 지지를 호소했다. ‘2025 세계치과의사연맹 총회(FDI World Dental Congress·이하 FDI 총회)’가 지난 5일부터 상해에서 진행 중인 가운데 지난 7일 열린 General Assembly A와 오늘(8일) 개최된 Open Forum 2에서 두 후보자의 정견 발표가 이어졌다. 먼저 이지나 상임위원은 “FDI의 사명에 대한 헌신은 지난 6년간 치과임상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시작됐으며, 그곳에서 치과 분야의 전문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저를 지지해주신다면 우리 모두의 공동 목표인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지나 상임위원은 지난 2024년 치과 윤리 정책 성명서 개정과 올해 치과 광고 정책 성명서 개정 작업을 주도했으며 6년 동안 Women Dentists Worldwid
“Welcome to Korea Lunch! we’ve prepared a lot of delicious things, so enjoy them.” 2025 세계치과연맹총회(2025 FDI World Dental Parliament)가 지난 5일부터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가운데 치협이 오스템임플란트의 후원을 받아 전 세계 치과의사들이 화합하고 교류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치협은 General Assembly A가 열린 지난 7일 Korea Lunch(이하 오찬)를 열고 회의에 참석한 130여 개국 대표단을 초대해 상호 교류를 이어갔다. 이날 오찬에는 박태근 협회장을 포함한 치협 대표단, 그렉 채드윅(Greg Chadwick) FDI 회장, 김희수 오스템 중국법인 상무이사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행사는 단순히 친교의 시간을 넘어 국가 간 현안을 공유하고 나아가 치협과의 우애를 다지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각국 대표단은 박태근 협회장에게 화합의 마음을 담아 준비한 선물을 전달하는 등 향후 지속적인 교류를 제안했으며 박태근 협회장 역시 이에 화답했다. 또 오찬 참석자들은 General Assembly A 오후 회의를 대비해 주요 논의 사항들을
치협이 인구 고령화, 저수가 치과, 치과계 디지털 및 AI 기술 발전 등을 글로벌 의제로 내세우며 세계 치과의사들과 혜안을 공유했다. 2025 세계치과연맹총회(2025 FDI World Dental Parliament)가 지난 5일부터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가운데 6일 치협이 주최하는 Perth Group Meeting이 개최됐다. 이날 Perth Group Meeting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등 7개국이 참석했다. 특히 치협은 ▲Advancing Digital Dentistr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ening Oral Health Care for an Aging Society ▲Addressing Low Reimbursement Rates and the Rise of Discount-driven Dental Clinics 등을 중심으로 토론을 이끌었다. 먼저 허봉천 치협 국제이사는 “한국은 디지털 치의학과 AI가 빠르게 진료에 접목되고 있다. 더 나은 진단, 효율적인 작업 흐름, 환자 접근성 향상 등 긍정적인 측면이 많지만 동시에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FDI 125년 역사에서 차기 회장 단독후보는 이번이 처음인 걸로 안다. 그만큼 각국에서 보내는 신뢰와 기대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또 치협에 대한 전 세계의 신뢰와 위상에 대해서도 다시 돌아보게 됐다.” 오늘(7일) 상해에서 2025 세계치과연맹 총회(2025 FDI World Dental Parliament) General Assembly A가 열린 가운데, 박영국 FDI 재정책임자(Treasurer)가 FDI 차기 회장(President-elect) 후보에 단독으로 출마, 최종 확정됐다. 박영국 차기 회장 당선인은 지난 2004년 FDI 교육위원회(Education Committee) 위원을 시작으로 지난 2023년에는 득표율 56%라는 압도적 지지에 힘입어 재정책임자(Treasurer)에 당선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FDI 회장이 나온 건 지난 2003~2005년 임기를 지낸 고 윤흥렬 회장 이후 두번 째 쾌거다. FDI는 세계 구강 건강을 위해 국가 간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연합으로 현재 132개국이 속해 있으며 100만 명 이상의 치과의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FDI 차기 회장이 나왔다는 건 전 세계 치과계의 중심에 또
2025 세계치과의사연맹 총회가 오는 5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된다. 이 가운데 오는 6일 있을 Perth Group Meeting에서 치협이 인구 고령화, 저수가, 디지털 및 AI시대의 치과 등 국내 현황을 알리고 이를 글로벌 의제로 공유키로 했다. 치협은 지난 2일 Perth Group Meeting 사전 회의를 개최했다. Perth Group Meeting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등 7개국이 모여 각국의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의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다. 특히 이번 미팅은 치협이 주관한다. 사전 회의에서 치협은 ▲Advancing Digital Dentistr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ening Oral Health Care for an Aging Society ▲Addressing Low Reimbursement Rates and the Rise of Discount-driven Dental Clinics를 주요 의제로 올리기로 결정했다. 먼저 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AI 시대를 맞아 이 같은 기술력이 치과계에 미칠, 또는 미치고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원장님! 환자가 의식을 잃었어요! 어떻게 하죠? 빨리요!” 진정법을 시행하던 중 환자가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환자는 숨을 쉬지 않고 직원들은 겁을 먹었는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뭐라도 해야 하는 데 뭐부터 해야 하는지 도통 감이 서질 않는다. 실제로 개원가에서 진정제를 사용하다 이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최근 늘고 있다. 하지만 급박한 상황에 당황한 나머지 치과의사도 직원도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때 신속한 대처가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만큼 개원가에서도 응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갖춰야 할 것들을 숙지해둘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와 관련 지난 8월 17일 대한치과마취과학회 정주진정법 연수회에서 강연한 박원진 연세치대 교수는 크게 9가지 체크리스트를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치과에 근무하는 모든 사람이 자기 역할을 숙지 ▲비번 인원 대비 역할 대행 지정 ▲전 인력 응급 상황 대처법에 대한 교육(BLS) ▲응급 상황에 사용할 기기와 약물 구비 ▲응급 상황 연습 2~3개월에 한 번 시행 ▲응급 시 연락할 모든 전화번호 전화기 옆에 부착 ▲산소탱크 정기적 확인 ▲응급 약물의 유효기간 확인과 사용 후 즉시 보충 ▲직원 중 한 명이 위
지방대학에서 신입생 선발 시 해당 지역 출신을 일정 비율 이상 선발하도록 규정한 것은 위헌이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나와 주목된다. 먼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지방대육성법)’ 제15조에 따르면 지방대학의 장은 지역의 우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및 간호대 입학자 중 해당 지역 출신자의 수가 학생 입학 전체 인원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관련 시행령 제10조 제3항 ‘별표’에서는 그 비율을 충청권, 호남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은 40%, 강원권과 제주권은 20%로 정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정에도 한의과대학 입학을 준비하던 A 씨는 지난 2021년 12월 24일 지방대육성법에 따른 시행령이 자신이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 침해한다며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 하지만 지난 7월 17일 재판관 7인 전원일치 의견으로 심판청구를 기각했다. 헌재는 “심판대상 조항은 지역 출신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며 “지역의 우수한 인력 유출과 수도권과 지역 간 불균형의 심화 및 이에 따른 각종 사회적 폐단이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을 공유하며 호주 임상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난 8월 23일부터 24일까지 호주 시드니 Sheraton Hyde Park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이번 ‘2025 DIO AU Symposium’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과 최신 보철 접근법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임상 전문가 12명이 대거 참석해 실전 중심의 강연을 펼쳤으며 현지 임상가 200여 명이 참가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첫날 행사는 DeSR 어버트먼트를 활용한 시멘트리스 보철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며 시작됐다. 이 외에도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스캐폴드를 활용한 수직 골재생 기술, 임플란트 주위 조직 재건술, 풀아치 보철 역설계 접근법 등 최신 임상 전략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둘째 날에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풀아치 치료에서의 연조직·경조직 통합 관리법, 기도 협착과 두개골 변형, 부정교합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했으며, 마지막으로 즉시 식립 보철 시 외부 장벽 기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창재 디오 호주법인 법인장은 “임상 현장 중심의 수준 높은 강연을 통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의 허영구 원장이 지난 8월 23일 부산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ALX 론칭 세미나’를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허영구 원장은 ‘ALX & 1~2day Loading with Final Restoration’을 주제로 실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즉시 로딩에 적용 가능한 전략과 노하우를 공유했다. 허 원장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네오의 신제품 ALX 임플란트의 독창적인 설계와 우수한 성능을 소개했으며,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의 핵심 개념을 비롯해 이를 실현하기 위한 ‘CMI Fixation’ 콘셉으로 고정력을 확보하는 방법과 ALX를 통한 즉시 식립, 즉시 로딩, Early Loading 방법 등도 함께 소개했다. 네오가 새롭게 선보인 ALX는 기존 임플란트와 차별화된 독창적인 바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시술 편의성을 높였다. 또 Narrow한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를 통해 BIC(Bone to implant contact)를 극대화해 즉시로딩에 최적화된 차세대 임플란트다. 특히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손실(Bo
세계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스트라우만 그룹(Straumann Group, 이하 스트라우만)이 올해 상반기 13억 스위스프랑(한화 약 2조 2568억 원)을 기록했다. 스트라우만은 지난 8월 2025년 상반기 주요성과 및 지역별 매출을 발표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스트라우만 그룹은 올해 상반기에 한화 약 2조 256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 2024년 동기 대비 10.2%의 유기적 성장을 이룬 것으로 확인된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EBIT) 마진은 26.6%에 달해,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보였다. 특히 스트라우만의 2분기 매출은 6억 6750만 스위스프랑(한화 약 1조 1588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동기 대비 유기적 매출성장률은 9.3%로, 모든 지역에서 고른 성과를 달성했다. 무엇보다 아시아태평양(APAC)과 라틴아메리카(LATAM) 지역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보였고, 유럽·중동·아프리카(EMEA)는 한 자릿수 후반의 성장을 기록했다. 북미는 어려운 미국 시장 환경 속에서도 전 분기 대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이끌었다. 프리미엄 임플란트 라인업인 아이엑셀(iEXCEL)과 BLT임플란트
AI를 활용해 환자의 3D 스캔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 교정 치료 전략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오픈해 개원가의 이목을 사로잡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덴티스트리 스타트업 이노디테크(InnoDtech)가 자사 AI 교정 진단 솔루션 ‘닥터덴트AI(Dr.dentAI)’의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지난 8월 28일 밝혔다. 닥터덴트AI는 환자에게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자동 추천하는 솔루션이다. 이노디테크는 닥터덴트AI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의학적으로 가치 있는 5000건 이상의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치아교정 치료에 최적화한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번에 선보인 닥터덴트AI 시뮬레이션 서비스는 환자의 구강 3D 스캔 데이터(STL 파일)를 자동 분석해 3분 이내에 ▲자동 치아 객체 분리 ▲부정교합 진단 ▲전체 치아 배열(심플), 앞니 유지(홀드AP) 치아 확장(익스팬드), 공간 확보(IPR), 발치 후 교정(44발치) 등 5가지 맞춤형 교정 전략 시뮬레이션 등의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정밀한 치료 계획을 빠르게 수립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존에 일주일 이상 소요되던 치료 계획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오는 13일부터 14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GAMEX 2025’에 참가해 신제품 유니버설 임플란트 시스템 ‘UniCon(유니콘)’과 상악동 거상 시스템 ‘New Sinus Kit’을 공개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지난 1일 정식 출시된 ‘UniCon’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첫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UniCon’은 직경과 길이에 관계없이 단일 커넥션 규격으로 픽스처와 보철 체결이 가능해 복잡한 시술 과정을 단순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한 솔루션이다. 또 임플란트 상부 제품 전체 라인업에 Natural S-Curve 디자인을 적용해 심미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했으며, 전용 툴과 Smart Position 개념을 결합해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도 예측 가능한 결과를 지원한다. 함께 선보이는 ‘New Sinus Kit’는 한층 진일보된 상악동 거상 시스템으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수술적 접근을 가능케 한다. 디오는 참관객이 직접 제품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핸즈온 프로그램을 운영해 혁신적인 술식 과정을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이와 함께 디오 부스에서는 신제품 체험뿐 아니라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된다. 디오몰 가입 및 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