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뇌가 아니라 목 정맥의 기능장애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이목을 끈다.미국, 영국, 대만의 공동연구팀은 알츠하이머가 목 정맥 역류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발표했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목 정맥 역류는 정맥혈을 배출하는 ‘내경정맥판’이 고장나 뇌에서 배출돼야 할 정맥혈이 다시 뇌로 돌아가는 현상이다.연구팀은 치매 환자 12명, 경도인지장애 환자 24명, 건강한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초음파와 MRI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매환자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서 목 정맥 역류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연구팀의 로버트 지바디노프 박사는 “뇌에서 빠져나와야 할 정맥혈이 다시 뇌로 돌아가는 역류가 잦아지면 이것이 뇌 혈류 순환에 영향을 미쳐 결국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충치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설탕이 개발돼 이목을 끈다.일본의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 효소를 이용해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설탕의 생산에 성공했다고 미국의 과학전문포털 ‘피조그닷컴’이 최근 보도했다.핀란드에서 유명한 자일리톨은 1960년대부터 시장에 통용되면서 현재 치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감미료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일본 연구팀이 희소당을 개발함에 따라 함께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을 전망이다.연구팀은 효소처리를 통해 단맛은 그대로 나면서 아스파탐과 같이 칼로리가 높지 않고, 건강에 좋은 ‘D-타가토스’의 대량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연구팀의 헤이키 오자마 교수는 “그동안 감미료는 너무 달뿐더러 칼로리도 지나치게 높아 나쁜 식품의 취급을 받아 왔다”며 “우리가 만든 D-타가토스는 단맛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칼로리를 반 이하로 줄였다. 펩시같은 대형 업체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D-타가토스를 비롯한 희소당의 이로움에 주목하고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미생물을 통한 희소당의 생산’이라는 논문을 쓴 앤 유스발람피 박사는 “타가토스는 자일리톨과 같이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고 인
공황장애를 유발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치료에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스페인의 게놈제어연구소(Center for Genomic Regulation)는 NTRK3라고 불리는 유전자가 과잉 발현되면 공황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신경과학 저널(Journal of Neuroscience)’에 발표했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 NTRK3가 과잉발현하면 두려움을 관장하는 기억중추인 해마와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가 오작동을 일으켜 공황장애가 발생한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연구소의 디에르센 박사는 “이 유전자가 과잉발현되면 두려움과 관련된 뇌의 기억 시스템이 장애를 일으키면서 위험상황을 과대평가하게 만들어 필요 이상의 두려움을 유발한다”며 “이 유전자를 억제하는 약물이 개발되면 공황장애를 치료하는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견과류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대나-파버 암연구소 연구팀이 의학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서 견과류 섭취가 각종 질환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사망률을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이 남녀 12만여명을 대상으로 30년에 걸쳐 이들의 건강기록을 분석하며 2~4년에 한번씩 견과류 섭취량과 암, 심혈관질환 발병 등에 의한 사망률을 조사했다. 연구결과 평소 견과류를 먹는 사람은 전혀 먹지 않는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평균 7% 낮았으며, 1주일에 한 번 견과류를 먹는 사람은 사망위험이 11%, 2~4번 먹는 사람은 13%, 매일 견과류를 28g이상 먹는 사람은 사망위험이 20% 낮았다.특히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위험이 29%,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11% 각각 낮았으며, 견과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사망위험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것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브리검 영 대학 연구팀이 ‘보건증진 저널(Journal of Health Promotion)’ 최신호에서 규칙적인 수면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이 여대생 33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면습관을 조사한 결과 매일 수면시간이 90분 이상 차이 나는 여성은 60분 미만인 여성에 비해 체지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또 수면시간이 6.5시간 미만으로 너무 짧거나 8.5시간 이상으로 너무 긴 여성도 체지방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수면시간은 8~8.5시간 사이일 때 체지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브루스 베일리 박사는 “밤 늦게까지 잠을 자지 않거나 늦잠을 자는 것도 체지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유아보육시설에서 어린이들의 칫솔질만 제대로 관리해도 전체 치과치료비용이 상당히 절약된다는 해외 연구사례가 나와 눈길을 끈다.스코틀랜드 글라스코 대학 연구팀이 지역사회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해 아이들의 구강건강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고 BBC뉴스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연구팀이 지난 2001년부터 정부 지원을 받아 지역사회 보육시설에 칫솔을 공급하고 시설 어린이들이 규칙적으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구강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아이들의 충치가 감소하면서 한화로 100억여원의 진료비를 줄이는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아이들의 규칙적인 칫솔질 사용을 지도함과 동시에 불소도포 등의 시기적절한 예방관리를 해줘 효과를 봤으며, 이와 함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아이들의 치아건강에 좋은 음식을 교육하는 사업도 꾸준히 진행해 왔다.10여년에 걸친 이러한 사업의 결과 아이들이 충치로 인해 발치를 하거나 충전을 해야 하는 진료건수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마이클 매스선 스코틀랜트 보건부 장관은 “매우 간단한 조치의 구강관리 프로그램으로 아이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들어가는 예산이 상당히 줄어들었다”며 “이는 정부가 더 많은 아이들의
천식이 있는 여성은 임신 성공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덴마크의 비스페비예르(Bispebjerg) 대학병원 연구팀은 천식여성 1천여 명이 포함된 여성쌍둥이 1만5200여 명의 자료를 분석해 천식이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임신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결과를 ‘유럽호흡기저널’에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연구팀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천식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임신에 더 시간이 걸렸으며, 천식 그룹 중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의 30.5%가 임신이 지연됐다. 천식이 있으나 치료를 받은 그룹은 23.8%의 여성이 임신이 지연됐다.연구를 주도한 엘리자벳 가데 박사는 “이번 연구는 전신선 염증 질환이 생식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말해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망막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조지타운대 메디컬센터 스카트 터너 박사 연구팀은 망막의 특정 부위의 두께가 얇아지면 치매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신경과학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고 BBC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연구팀이 치매를 유발한 쥐의 망막을 검사한 결과 정상적인 쥐에 비해 속핵층(inner nuclear layer)과 신경절세포층(ganglion cell layer)이 각각 절반, 3분의 1이상 줄어든 것을 발견했다.터너 박사는 “현재의 치매진단은 뇌척수액 채취 등 절차가 간단치 않다”며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는 망막검사로 치매 발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망막 두께는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
회충약 성분이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 멜번대학의 연구팀이 체내의 회충을 죽이는 옥산텔이 치주염을 유발하는 플라크의 생성을 막아 궁극적으로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항생제 및 화학용법(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에 발표했다고 지난 8일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데일리가 보도했다.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옥산텔이 치주염을 유발하는 병원균,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활성화하는 ‘푸마르산 환원효소(fumarate reductase)’를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또, 연구팀은 옥산텔이 치주염의 생물막을 구성하는 P. 진지발리스 외에 타네렐라 포르시시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같이 플라크를 구성하는 다균주 생물막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의 에릭 레이놀즈 박사는 “치주염은 성인 인구의 30~47%가 앓고 5~10%는 심장질환, 치매 등 심각한 형태로 영향을 받는다”며 “옥산텔을 이용한 약물개발은 치주 병원균의 활성화를 방해해 각종 혈관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탄산음료를 지나치게 마시면 신장기능이 손상될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일본 오사카대학 의학대학원 연구팀이 미국신장병학회 연례회의에서 탄산음료 음용이 신장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뉴스가 최근 보도했다.연구팀이 1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3년에 걸쳐 이들의 건강기록을 분석한 결과 하루 가당 탄산음료를 두 차례 이상 마시는 사람은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요단백 발생률이 11%로 하루 한 번 정도 마시는 그룹(9%)이나 전혀 마시지 않는 그룹(8.4%)에 비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요단백은 신장기능의 이상을 알리는 표지다.또 연례회의에서는 과당 섭취가 신장의 염분 배설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학 연구팀은 과당 섭취가 염분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안지오텐신-2에 대한 신장의 민감도를 높여 염분을 배설하지 않고 재흡수시킨다는 사실을 발표했다.염분이 재흡수되면 신부전,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임신 중 운동을 하면 태아의 혈관이 튼튼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연구팀이 의학저널 ‘실험생리학(Experimental Physiology)’ 최신호에서 임신 중 운동이 태아 혈관의 평활근 발달을 촉진시켜 나중에 태아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발표했다고 영국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새끼를 밴 돼지를 임신 마지막 주를 제외한 15주 동안 매주 5일 20~45분씩 러닝머신을 뛰게 했는데, 운동을 한 어미에게서 태어난 돼지들은 대조군에 비해 동맥의 평활근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숀 뉴커머 박사는 “임신을 한 여성은 매일은 아니더라도 일주일 중 몇일은 빠른 걸음 걷기나 조깅, 댄싱 등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며 “이는 체중 증가를 막고 출산진통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