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관련 다양한 증례를 바탕으로 팁을 얻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이하 KAO)가 2025 추계학술대회를 오는 11월 16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산업연구원 2층 강당에서 개최한다. ‘골 소실 임플란트, 살릴 것인가 뽑을 것인가?’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임플란트의 다양한 증례를 만나볼 수 있는 자리로 구성된다. 김윤정 서울대치과병원 교수(치주과)가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의 최신 지견과 임상 적용’을 주제로, 곽규환 경희치대 교수(구강미생물학과)가 ‘임플란트 주위 뼈 안정성의 이해와 증진 전략’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 Reuben Kim UCLA 치대 교수가 ‘Implants with MRONJ: save it, remove it or leave it?’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Kim 교수는 약물관련턱뼈괴사증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설명할 예정이다. 그밖에 권용대 경희대치과병원 교수(구강외과)의 ‘Against All Odds, 실패를 딛고 일어서다’, 이재관 강릉원주치대 교수(치주과)의 ‘Failed Implant Site Revisited’, 이강운 강치과 원장의 ‘임플란트 실패와 관련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서울특별시회(이하 서울시치과위생사회)가 치과위생사들에게 임상 현장의 필수 팁들을 전수했다. 서울시치과위생사회가 ‘2025년 하반기 보수교육 및 제4회 학술제’를 지난 9월 27일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보수교육과 학술제를 병행 진행함으로써 치과위생사들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임상·조직 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자리로 구성됐다. 먼저 ‘구강관리와 감염관리’라는 대주제로 진행된 보수교육의 첫 강연은 하원호 LG생활겅강기술연구원 수셕연구위원이 맡았다. 하 연구위원은 ‘건강 행동 변화와 지속적인 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구강관리용품 처치’를 주제로 치약의 구성 성분과 원리 작용에 대해 강연했다. 이어 이선애 아이오디케 대표이사 겸 신구대 겸임교수가 ‘치과 임상의 감염관리 실태’를 주제로 임상 환경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감염관리 원칙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환자 관리와 직원관리’라는 주제로 진행된 학술제에는 김동석 춘천예치과 원장의 ‘치과위생사를 위한 환자공감 인문학’과 박정이 고운미소치과 이사의 ‘헷갈리는 노무, 속 시원히 정리해드립니다’ 강연이 마련됐다. 서혜원 연수이사는 “
대한치과보존학회가 일본 학회와 함께 수복 및 근관치료 분야 노하우를 담은 강연을 마련했다. ‘2025 대한치과보존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27회 한일공동학회’가 오는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서울 원불교 소태산 기념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저명한 연자들의 특강과 함께 전공의들의 치과보존학 관련 다양한 연구 발표가 마련됐다. 우선 25일에는 인정의 필수보수교육으로 조효진 교수(경북대)가 연자로 나서 ‘Minimally Invasive Endodontics: up to date’를 주제로 강의한다. 이어 한일공동학회 차원에서 ‘KACD-JSCD Joint English Oral Session New Researcher Competition’이 진행된 예정이다. 아울러 Chiaki Kitamura JSCD 회장의 초대 강연과 민수영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의 ‘On the verge of pulp exposure: Caries Management Strategies in Pediatric Dentistry’ 특별 강연이 준비됐다. 이후에는 신동훈 교수(단국대)의 ‘Indirect Posterior Restoration: AI suggestion V
코웰메디가 최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치과대학(Penn Dental Medicine)과 손잡고 3일간의 심화 교육 프로그램 ‘UPenn Advanced Course’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교육에는 펜실베이니아대 치과대학의 저명한 교수진이 직접 참여해 ▲디지털 임플란트 복원 ▲전악 수복 ▲GBR(Guided Bone Regeneration) ▲신소재 임상 적용 등 최신 임상 트렌드를 다뤘다. 참가자들은 각 세션을 통해 전 세계 석학들과 토론하며 치료계획 수립과 술식 적용에 필요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교육을 이수한 참가자에게는 펜실베이니아대학 명의의 공식 수료증이 수여됐다. 코웰메디는 이번 과정을 통해 임상과 교육을 잇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위상을 강화했다고 자평했다. 특히 일본·중국·러시아·인도 등 주요 지역에서도 학술행사와 세미나를 지속 개최하며, 국제적 교육 네트워크를 넓혀가고 있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코웰메디의 교육적 가치와 브랜드 신뢰도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교육 협력과 임상가 중심의 실질적 교육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이하 지부)가 11월 17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대강당에서 정기총회 및 초청 강연을 연다. 정기총회에서는 지부 현안을 심도 있게 다룬다. 특히 이번에는 ▲지부장 승계 ▲부지부장 선출 ▲일부 회칙 개정안 등 주요 안건을 대거 상정해 다룰 예정이다. 이어 초청 강연에는 곽 춘 원장(김해 바른이치과교정과치과)이 연자로 나선다. 곽 원장은 ‘Shape Memory Aligner : The most advanced aligner. Not future, but real’을 연제로 최근 들어 관심이 크게 높아진 형상기억 교정장치의 핵심을 깊이 있게 다룰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 사전등록은 11월 12일까지다. 강연은 지부 회원뿐 아니라 교정학회 회원, 비회원도 등록할 수 있다. 참석자는 교정학회 인정의 보수교육점수와 치협 보수교육점수를 각 2점 획득할 수 있다.
구강 내 질환 치료를 넘어 전신건강에 이르기까지 치의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치과의사들이 모였다. 제7회 한국BCD연합회(이하 BCD연합회) 학술 강연회가 오는 11월 23일 서울 레이덴트 세미나실에서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된다. BCD연합회는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한국순응교합연구회, 대한두개악안면성장연구회가 연합해 출범한 학술 단체로 ‘Beyond Conventional Dentistry’를 뜻한다. 치의학의 지평을 확장하고 미래를 제시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특히 이번 강연회에서 BCD연합회는 ‘Beyond Dentistry, Toward Holistic Medicine’을 대주제로 치의학의 경계를 넘는 전인 의학을 탐구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연에는 총 6명의 연자가 나서, 각 분야의 최신 지견을 깊이 있게 전달할 예정이다. 세션 1에서는 ▲박희주 원장(분당 바른선치과) ‘Beyond Dentistry, Toward Holistic Medicine’ ▲이윤운 원장(명치과) ‘순응 교합 치료를 향한 우리의 노력’이 진행된다. 이어 세션 2에서는 ▲유춘식 원장(광명 유치과) ‘TMJ가 전신질환을 일으키는 기전과 대응’ ▲김성욱 원장(캘리포니아 미형치과) ‘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전국 세미나를 매월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오는 24일과 29일에도 서울(노원, 동대문)에서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ALX 세미나’를 개최한다. 네오의 차세대 임플란트 ALX는 기존 임플란트와 차별화된 독창적인 바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시술 편의성을 높였으며, Narrow한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를 통해 BIC(Bone to implant contact)를 극대화해 즉시로딩에 최적화된 차세대 임플란트다. 특히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 손실(Bone Loss)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돼,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번 세미나는 이성복 경희치대 명예교수와 김중민 원장이 ‘ALX & 1~2day Loading with Final Restoration’을 주제로 ALX의 개발 배경과 임상적 우수성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즉시로딩을 위한 다양한 임상 전략과 실제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강연 후 진행되는 라이브 데모와 핸즈온 세션을 통해 ALX의 특장점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먼저 라이브 데모에서는 ALX 임플란트의 식립 과정 전반
최신의 임플란트 술식도 배우고 여의도 불꽃축제도 즐긴 자리가 열렸다. 알파베러(Alphabetter)가 주최한 VIP 세미나가 지난 9월 27일 유한양행 15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자리는 알파베러의 사업 소개와 함께 최신의 임상 강연, 불꽃축제와 함께 참가자들 간 네트워킹이 어우러진 가을밤 학술·친교의 장이 됐다. 강연에서는 박정철 원장이 ‘iGBR 즉문즉답 & 트러블슈팅’을 주제로 강의하며 발치 즉시 골이식술을 할 때 PDRN을 활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실제 임상례를 바탕으로 설명했다. 또 정재욱 원장이 ‘Astra Implant & Twin Zero’를 주제로 강의하며 아스트라 임플란트 및 유한 트윈제로의 특장점에 대해 강의했다. 정 원장에 따르면 아스트라 임플란트는 롱텀 데이터가 가장 많은 제품으로, 본레벨 임플란트의 원조로 칭할 만 하다. 강한 픽스처는 파절에 강하며, 마이크로 스레드가 과도한 초기고정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초기고정을 보여준다. 또 세멘리스 어버트먼트 유한 트윈제로는 세멘트가 필요 없는 진정한 의미의 세멘리스 제품으로 시술의 정밀도와 편리함을 높여주는 시스템이라는 설명이다. 강의 후에는 만찬
암 면역치료에서 구강질환까지 신약 후보물질인 GV1001의 다학제적 치료 잠재력이 집중 조명됐다. ‘GV1001-related Clinical Research Colloquium 및 박노희 명예학장 출판기념식’이 지난 2일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미래홀에서 열렸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Organ Regeneration Center가 주최하고 삼성제약이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박노희 UCLA 치대 명예학장을 비롯해 국내외 연구자 다수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첫 순서로 박노희 학장은 ‘Therapeutic Versatility of GV1001: Cancer Immunotherapy and Host Tissue Protection’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펼쳤다. 박 학장은 GV1001의 기초 연구 단계부터 임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 핵심 인물로, UCLA에서 GV1001의 세포 보호와 항염 기전에 관한 연구를 주도하는 등 다학제 융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왔다. 이날 박 학장은 “GV1001은 세포 노화와 염증, 손상이라는 인체의 근본적인 문제를 동시에 겨냥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라며 “암, 신경질환, 구강악안면 질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장정록 원장 •현) 여수모아치과 원장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졸업(박사 수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BDPG 정회원 •빛고을임상치의학연구회 정회원 •한국치과교정연구회 정회원 안지현 MD •현) KMI한국의학연구소 수석상임연구위원 •현) 내과 전문의 •전) 중앙대학교병원 교수(내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내과학)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언론학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내과학) ▶▶▶전신질환자를 위한 치과치료 임상 매뉴얼 Ⅱ:(임상실전편) 구매 사이트 QR코드.
글로벌 치과용 생체재료 전문 기업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세계적인 석학 마우리시오 아라우조 교수를 글로벌 대표 연자(KOL)로 위촉했다. 브라질 maringa 주립대 치주과 교수이자 치주·임플란트 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마우리시오 교수는 향후 푸르고의 글로벌 대표 연자로 활발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그 첫걸음으로 오는 11월 4일부터 3일간 특별한 방한 일정을 소화한다. 푸르고는 이번 방한 일정을 통해 마우리시오 교수와 혁신적인 기술력 및 글로벌 경영철학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로 나아가는 성장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방한 기간 동안 마우리시오 교수는 푸르고가 월별로 진행하고 있는 ‘고민상담소’의 글로벌 버전에 특별 연자로 참여, 전 세계 치과 전문가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예정이다. 푸르고의 혁신적인 솔루션과 마우리시오 교수의 깊이 있는 통찰력이 시너지를 낼 이번 라이브 방송은 푸르고의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또 마우리시오 교수는 푸르고의 생산 시설을 직접 방문, 우수한 생산 공정을 둘러보고, 연구 개발 인력들과 심도 있는 기술 교류의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푸르고는 향후 마우리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