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종일 찬 실내에서 근무하던 치과의사 K씨는 얼마 전부터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몸살기가 있어 병원을 찾았다. 의사는 K씨의 증상을 듣고 ‘냉방병’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최근 K씨처럼 냉방병에 걸려 ‘두통’, ‘콧물’, ‘무기력’ 등을 호소하는 치과 의료인이 늘고 있다. 30도를 웃도는 무더운 여름 날씨 탓에 병원에 온 환자들이 에어컨을 세게 틀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가정의학 전문의 들은 여름철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에어컨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해 실내외 온도 차를 5도 안팎으로 유지할 것을 당부한다.
#여름철 냉방병···과도한 냉방이 원인
냉방병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감기 증세와 비슷하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 등이다.
또 자율신경계 피로에 의한 증상으로 몸이 으슬으슬 춥거나 관절통 또는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찬 공기에 오랜 시간 노출될 경우 호르몬계에 이상이 생겨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심해지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여름철 냉방병에 걸리는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냉방에 있다.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가 많이 나면 인체가 온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에어컨을 장시간 틀게 되면서 실내 습도가 낮아져 코나 기관지 등이 건조해지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이뿐 아니라 에어컨 냉각기의 냉각수가 ‘레지오넬라’ 균에 오염됐을 경우 균이 찬 공기를 타고 실내에 퍼져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폐렴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에어컨 적정온도 유지·환기 자주 시켜야
여름철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에어컨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냉방 온도는 바깥 기온보다 5~6도 낮게 맞추는 게 바람직하며 찬바람을 될 수 있으면 직접 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적어도 2~3시간에 한 번씩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주는 게 좋다.
만약 환자들의 요청으로 인해 에어컨 온도를 낮추는 게 어렵다면 카디건 등을 걸쳐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잠시라도 바깥 공기를 쐬고 들어올 필요가 있다.
특히 평상시 건강상태 유지를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꾸준한 운동을 통해 몸 컨디션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가정의학과 교수는 “에어컨을 틀더라도 실내 온도를 26도 정도로 유지하는 게 좋다”며 “찬 실내에 오래 있을 때는 차가운 음식을 피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