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임플란트 학술단체인 ITI(International Team for Implantology) 한국지부가 지난 6월 30일 SETEC 컨벤션에서 ‘ITI Annual Section Meeting 2024’를 개최했다. ‘실사구시, 경세치용(實事求是, 經世致用): 사실에 바탕을 둬 진리를 탐구한다.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데 실익을 증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Practice-oriented knowledge’라는 주제 아래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는 ITI의 근거 기반 학술과 임상 컨셉을 되새기는 의미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Digital Dentistry)에서는 한상선 연세대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 교수의 ‘How to best utilize CBCT’, 홍성진 경희대치과병원 보철과 교수의 ‘작은 범위 임플란트 보철 Digital Workflow의 Accuracy’, 박찬익 선치과병원 원장의 ‘무치악 수복을 위한 디지털 워크플로우’ 강연이 펼쳐졌다. 두 번째 세션(Regeneration)에서는 박정철 연세 굿데이치과의원 원장의 ‘PDRN 적용의 이론적 배경과 임상적 실천’, 박진영 연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의 ‘Regenerative Periodontal Therapy Using Emdogain FL’, 김성태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의 ‘Collagen Matrix를 이용한 Gingival Augmentation’가 진행됐다. 끝으로 세 번째 세션(Complication & Management)에서는 이재열 부산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의 ‘임플란트 식립 시 발생가능한 외과적 합병증 및 대처’, 이중석 연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의 ‘임플란트 성공과 실패에 대한 고찰’, 서재민 전북대치과병원 보철과 교수의 ‘Food Impaction과 Collection에 대한 보철적 고려사항’ 강연이 열렸다. 또 이번 Annual Section Meeting에서는 ITI 한국지부 역대 회장 5인에게 학회와 임플란트학 발전에 기여한 공을 기리는 감사패를 전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Study Club Directors Meeting을 개최하기도 했다. ITI는 스터디 클럽을 기반으로 하는 학술단체로 이번에 새롭게 개설된 3개의 스터디클럽(Sun Implant Academy, Yonsei AGD, A.C.I Study Group)을 포함 현재 한국지부에는 총 19개의 스터디 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ITI는 환자에게 이익을 도모하는 임플란트 치의학의 우수성을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 치과 전문인들을 통합하는 학술단체다. 회원 가입은 홈페이지(http://www.iti.org/community/become-a-member)에서 하면 된다.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최신 교정 치료에 관한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가 열린다. 한국 포괄치과연구회(K-IDT) ‘2024년 제2차 학술집담회’가 오는 8월 10일 광명데이콤 이프라자 빌딩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최신 교정에의 다양한 접근’을 대주제로 진행되는 이번학술대회에서는 장준규 원장(서울바른이치과교정과 치과의원)과 심미영 교수(중앙대 광명병원),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의원)이 연자로 나서 ▲상악과 하악의 구치 원심이동 ▲Directly 3D Printed Clear Aligner ▲Stage IV 치주염 환자의 치료교합 구성 전략을 주제로 강의를 펼친다. 우선 ‘상악과 하악의 구치 원심이동’ 파트에서는 교정치료 내 후방이동 시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에서 보이는 차이점과 후방이동량, 구치부와 교합평면의 변화 등에 대해 살펴본다. 또 ‘Directly 3D Printed Clear Aligner’ 강의에서는 이에 관한 특성과 임상 사례들을 소개하며 ‘Stage IV 치주염 환자의 치료교합 구성 전략’에서는 이에 관한 환자 치료 전략은 물론, 잔존치아 및 임플란트가 조화롭게 어울리는 교합의 형성을 위해 협진이 가지는 의미에 관해 강의할 예정이다. 사전 등록 마감은 8월 6일까지며 가입 안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철민 한국포괄치과연구회 회장은 “‘환자 중심의 협진으로 최상의 치료 결과’를 모토로 지난 2015년 발족한 한국 포괄치과연구회는 매년 일본 포괄치과학회(J-IDT)를 정기적으로 방문, 교류하고 있다”며 “이번 학술대회에도 주제별로 심도 있게 살펴보는 시간을 갖는 만큼, 관심있는 치과의사들의 많은 참석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설측교정 노하우 전수에 전공의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대한설측교정치과의사회(이하 KALO)에서 주최한 교정과 전공의 대상 무료 강좌가 지난 14일 일요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2시간 동안 진행됐다. KALO 측은 이번 강좌의 총등록자 수가 90명을 넘는 등 설측교정에 대한 전공의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에는 총 3명의 연자가 참여했다. 먼저 윤현주 원장(더라인치과교정과 치과의원)은 ‘개원의로서 설측교정치료를 알아야 하는 이유 그리고 해야만 하는 이유’를 주제로 강연했다. 특히 윤 원장은 갈수록 가격 경쟁이 심해지는 개원가의 현실을 짚으며 “수가가 아닌 실력으로 경쟁하는 교정 전문의가 되기 위해 설측교정 치료는 꼭 알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장훈 교수(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치과교정과)는 ‘설측교정에서의 절치 경사도의 중요성’을 주제로 강연했다. 안 교수는 환자의 전치부 경사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학술적으로 뒷받침되는 문헌을 소개했으며, 또 진단 자료 채득 과정과 그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CBCT용 프로그램을 소개해 주목받았다. 이기준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과)는 ‘중심선 기반 설측교정’이라는 주제로 투명 교정 장치와 설측 교정 장치가 갖는 장단점을 비교·설명했다. 이 교수는 “어떤 환자에게 어느 장치를 쓸 것인지는 술자가 경험에 기반해 최종 판단을 해야 하므로 교정 의사는 이 두 가지 장치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본인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교수는 강연에서 중심선이 맞지 않는 안면 비대칭 혹은 치열 비대칭이 있는 케이스를 소개하며 비수술적 방법으로 이를 개선해야 한다면 투명 장치보다 설측 장치를 사용해 치료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해 이목을 끌었다. 아울러 KALO는 오는 10월 6일부터 설측교정 연수회 온라인 강좌를 시작할 예정이다. 또 11월 9~10일에는 1박 2일 실습이 진행될 계획이다. 관련 등록 문의는 홈페이지(kalo.or.kr) 혹은 이메일(kalomember@gmail.com)로 하면 된다. 배기선 KALO 회장은 전공의들에게 “설측교정은 최근 취업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갖춰야 할 필수기술로 인식되고 있다”며 “실제로 최근 몇 년간의 연수회 등록자 현황을 보면 주로 수련 중이거나 수련을 갓 마친 젊은 선생님들로 구성되고 있다. 이에 KALO에서는 올해부터 연수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6회 오프라인 체제에서 온라인강의 4번과 1박2일 집중 실습체제로 개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턱관절장애 진단 및 치료에 관한 29년 내공이 담긴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끝났다. '2024년 제4회 턱관절장애, 이갈이, 턱관절 증식치료 완전정복을 위한 One-Day 세미나'가 지난 7월 15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진행됐다. 턱관절장애 교육연구회 회장인 김욱 원장(의정부 TMD 치과의원)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번 세미나 현장에는 150명의 치과의사들이 강의실을 꽉 채울 정도로 개원의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날 턱관절장애의 진단, 측두하악관절자극요법, 교합장치요법, 보험청구, 최신 보툴리늄톡신 주사요법, 비급여 턱관절 증식치료 및 최신 PDRN 재생 주사요법 등의 강의가 진행됐다. 김욱 원장은 강의를 통해 턱관절장애의 진단, 치료 및 보험청구에 대한 구강내과 전문 개원의로서 지난 29년간 축적된 임상적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달했다. 이날 오전 1, 2교시에서 연자는 턱관절장애 및 안면통증 분야가 측두하악관절 방사선검사, 진단분석검사, 자극요법 등 오늘 배워 바로 내일부터 진단, 치료 및 보험청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오후 3교시에는 허종기 교수(강남 세브란스 치과병원)가 ‘난치성 턱관절장애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특강을 했다. 이어 4교시에는 한국 프롤로 턱관절 연구회 회장인 윤현옥 원장(울산 우리치과의원)과 동 연구회 총무이사인 조용일 원장(울산 웰컴치과의원)이 합법 비급여 턱관절 증식치료, 초음파 영상 유도하 주사법에 대해 강의했다. 또 오희정 원장(바른턱 치과교정과 치과의원)이 합법 비급여 턱관절 증식치료의 실손보험 청구에 대해 설명했다. 5교시에는 김욱 원장이 다양한 교합장치요법, 보험청구, 최신 보툴리늄톡신 주사요법 등 개원가의 관심이 높은 주제에 대해 핵심적 내용을 요약, 집중적으로 강의해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편 연구회는 오는 8월 24일 제1회 턱관절, 프롤로, 미용 초음파 실전코스(Hands-on)를 개최, 현재 접수 중이다. 또 오는 9월 22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1층 승산강의실에서 제4회 턱관절장애 One-Day 세미나도 접수 중에 있다.
전 세계 치과의사가 한자리에서 임상 성공사례를 나누는 소통의 장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코웰메디 ‘COWELL International Conference’(이하 CIC 2024)가 지난 14일 서울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에서 개최된 가운데 30여 개국에서 온 10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본격적인 강연에는 Dr. Claudio Sotomayor(Chille), Dr, Jorge O'Brien(Chille), Dr. Alain Romanos (Lebanon), 천세영 원장(디지털 허브치과), 장호열 원장(장호열 치과), 정명진 원장(가디언즈 치과), 박동원 원장(파크에비뉴 치과), 임 필 원장(NY필치과), 이근용 원장(울산 참치과), 정의원 교수(연세치대 치주과), 차재국 교수(연세치대 치주과), Dr. Alegandro Vivas (Venezuela), Prof. Reuben Kim(USA), Prof. Yongkun Kim (USA) 등 연자 14인이 rhBMP-2의 활용, 디지털 보철 솔루션, GBR의 성공적 사례, 약물관련 골괴사와 치과 임플란트 연관성, 임플란트 주위염의 예방과 처치 등 여러 임상 노하우와 성공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천세영 원장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digitally guided surgery’를 주제로 라이브 서저리를 진행하는 등 참가자들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더했다. 강의 이후에는 전 세계 70여 개국 치과의사가 참가한 Poster Competition 2024의 우승자 발표와 더불어 ‘Cowell night’로 각종 공연과 만찬으로 참가자를 환영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 내년 CIC 중국 상하이서 개최 행사장 로비에는 코웰메디의 INNO Fixture를 비롯한 BMP, InnoGraft B, INNO CaP 등 여러 골이식재와 다양한 종류의 Surgical Kit, SFIT, 비흡수성 차폐막 Wifi-Mesh 등이 전시됐다. 또 행사 장 내에 있는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고 SNS에 해시태그와 함께 업로드한 모든 이들에게 코웰메디 마스코트 인형 키링을 증정, 컨퍼런스 강연 후 설문조사를 한 참가자들 모두에게 USB를 증정하는 등 이벤트도 진행됐다. 그 밖에 이날 컨퍼런스에는 김소영 작가가 ‘코웰메디 대한민국 임플란트의 시작’이라는 문구의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선보여 좌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내빈으로는 코웰메디 창립자인 김수홍 박사를 비롯 최현명 대표, 박태근 협회장, 송호택 치협 자재표준이사 등이 참석해 행사 개최를 축하했다. 코웰메디가 주관하는 CIC는 2022년 터키, 2023년 이탈리아 등 매년 세계 각국을 돌며 개최되는 등 참석자가 늘어나며 전 세계 치과의사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한국 임플란트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주요 행사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내년 CIC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CIC는 전 세계 치과의사들이 임상 교류와 발전을 도모하는 글로벌 소통의 장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세계 각국의 저명한 연자를 초청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강악안면외과의사들이 구강암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장이 열렸다.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와 구강암연구소가 지난 13일 부산대학교 병원 E동 세미나실에서 ‘2024년도 제1차 구강암 증례토론회’를 개최한 가운데, 약 70여명의 전공의와 전임의, 교수 등이 참석했다. 이번 증례 토론회에서는 안강민 교수(서울아산병원)의 사회로, 연세대, 서울 아산병원, 서울대, 울산대병원, 경희대, 고대 구로병원, 부산대 전공의들이 발표에 나섰다. 학회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각 증례마다 열띤 토론이 이어져 참석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나눴다. 토론회가 끝난 후 구강암연구소는 구강암 진료 지침서 개정을 위한 회의를 가졌다. 안강민(서울아산병원) 구강암연구소장은 “이번 토론회는 편평세포암종뿐 아니라 구강악안면 영역에 발생하는 다양한 육종 증례들을 공유했다. 뿐만 아니라, 방사선 골괴사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구강암과의 감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증례의 재건법과 예후에 대해 깊이 논의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학술 교류와 연구를 통해 구강암 치료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구강암연구소는 10월 12일 ‘제2차 구강암 증례토론회’를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덴티움이 주최한 ‘2024 쉽게 끝나는 Sinus 세미나’가 지난 7일, 덴티움 사옥 16층 교육장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는 덴티움의 제품을 활용해 간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는 ‘Sinus Simple’ 컨셉을 알리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김성태 교수가 나서 강연을 펼쳤으며 30여 명이 참석해 강의에 집중했다. 강의에서는 DASK Simple 제품을 활용한 상악동 거상술 실습과 참석자들에게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과 노하우를 전달했다. 김성태 교수는 실제 케이스 리뷰를 통해 Sinus 술식의 실패율을 줄이고 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노하우를 공유했으며, 특히 Hands-on 세션을 통해 막 손상 없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과 DASK Simple을 활용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를 제시해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Crestal·Lateral approach ▲Bicortical fixation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참가자들에게 제공했으며, 특히 계란을 활용해 Lateral drill의 2-step grind-out 테크닉으로 간단하게 시술을 마무리할 수 있는 방법을 실습을 통해 지도했다. 또 Sinus 모형을 통해 Compaction drill의 자가골 채취의 안정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 DASK Simple의 Compaction drill은 상악동 거상술에서 중요한 막 손상을 최소화하고, 자가골 채취의 안정성을 확보해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도록 고안됐다. 참석자들은 “모형 및 계란을 이용해 다양한 교보재를 직접 적용해 볼 수 있어 매우 좋았다”며 “김성태 교수의 실전 임상 노하우가 담긴 강연에 감동받았다”고 큰 만족감을 표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Sinus Simple 컨셉을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어렵고 복잡한 Sinus application을 DASK Simple을 활용해 쉽고 간단하게 제시하고 임상의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덴티움은 최신의 술식과 노하우가 업그레이드 된 후속 Sinus 세미나를 9월 중순에 개최할 예정이다. 후속 세미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덴티움 아카데미 홈페이지(https://www.dentium.co.kr/academy/index_academy.ph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개원가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투명 교정 노하우가 공개된다. 치의신보 TV와 투명 교정 시스템 개발 기업 시스루테크가 함께한 온라인 세미나 영상이 오는 29일 치의신보 TV 유튜브에 업로드된다. 해당 영상은 지난 8일 온라인에서 라이브로 진행된 강의다. 라이브 세미나에는 홍경재 시스루테크 대표(보스톤클래식치과의원 원장)가 직접 참여해 눈길을 끌었으며, 당일 700여 명이 접속해 강의를 시청하는 등 큰 관심을 받은 바 있다. 홍경재 대표는 해당 세미나에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투명교정 실전 가이드’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그는 “최근 개원가를 중심으로 투명 교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강의는 투명 교정에 전반적인 기본 과정은 물론, 시스루 투명 교정의 핵심을 엄선해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의에서 ‘시스루 얼라이너’를 활용한 다년간의 임상 케이스를 바탕으로 자세한 설명을 이어가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무엇보다 치료 전후를 포함한 치료 전 과정을 실제 환자 사진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어 유익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홍 대표는 “투명 교정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처음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에 시스루테크에서는 유저에게 케이스별 설명,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설명하고 있다”며 “관련해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자사에서 자체 진행하고 있는 세미나 등도 있으니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스루테크는 7월 20일, 8월 17일 자체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커리큘럼은 ▲Part1-다양한 임상 증례를 통한 시스루 투명교정 어태치먼트 시스템의 생역학적 이해 ▲Part2-초보자도 가능한 시스루 얼라이너 적용 범위 및 적응 방법 ▲Part3-시스루 투명교정 실제 상담 및 적용 노하우, 진료 가치에 맞는 치료비 책정 등이다. 문의: 070-5015-3626
임플란트 수술 심화과정을 배울 수 있는 마스터코스가 오는 11월까지 대전에서 열린다. 대전 오스템임플란트 연수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마스터코스는 7월 20일부터 11월 2일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며 김진구 원장(연세구치과의원)이 디렉터로 참여한다. 강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상희 원장(안산 연세세브란스치과의원)과 이세형 원장(대전 이안치과의원)이 패컬티로 함께할 예정이다. 이번 마스터코스에서는 FGG, AFG, CTG 등 soft hard Tissue Management와 Crestal approach Sinus Surgery, narrow ridge에서 임플란트 식립 방법 등 수술 심화 과정에 대한 이론 및 임상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구성했으며, 임플란트 원가이드 시스템까지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 특히 수강생들의 실전 적용과 이해도 제고를 위해 라이브 서저리 시간을 별도 마련해 디렉터 및 패컬티 지도하에 임플란트 식립 등을 진행해 볼 수 있다. 여기에 결손부위 형태에 따라 다양한 GBR Technic와 골이식재, 치폐막 선택 방법 등 GBR 술식도 익힐 수 있도록 기획했다. 임플란트 식립 시 축농증 등의 염증 발생에 따라 상악동 거상술 실패 가능성도 있는 만큼 김영진 이비인후과 전문의(열린이비인후과)의 SINUS 특강도 함께 진행된다. 대전에서 열리는 마스터코스는 구강 모형을 그대로 재현한 교보재도 1인당 1개씩 제공한다. 수강은 카카오톡 채널 오스템 연수센터(OIC)를 추가하면 신청할 수 있다. 오스템 관계자는 “이번 마스터코스는 임플란트 수술 심화 과정을 다루며 다양한 케이스에 적절한 수술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며 “수강생들은 GBR과 SINUS 관련해 많은 증례를 보며 다양한 시각으로 술식을 익힐 수 있어 실제 임상에서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치과 소아진료 임상팁과 응대 노하우를 모두 담아낸 세미나가 최근 성황리에 마쳤다. 덴티스 ‘OF PEDIATRIC SEMINAR’가 지난 7일 덴티스 문정 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날 주기훈 원장(연세꿈꾸는치과)이 연자로 나서 ‘일반치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아진료의 임상팁과 응대방법’을 주제로 강의했다. 커리큘럼은 ▲쉽게 접근하는 소아 충치치료 ▲쉽게 접근하는 소아 신경치료 & SSCrown ▲쉽게 접근하는 간단한 소아교정 ▲슬기롭게 소아 환자와 소통하기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세미나는 소아 진료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배경의 원장님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소아 진료에 두려움을 느끼거나 소아 진료 경험이 많지 않은 이들, 그리고 보호자와의 소통 방법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 이번 강의는 소아 진료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의를 들은 한 원장님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소아 진료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 팁과 환자 응대 방법을 익히며, 실제 진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라고 후기를 전했다. 덴티스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에 대한 높은 관심과 호응은 소아 진료에 대한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으며, 앞으로도 유익한 프로그램을 통해 치과계에 기여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