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경영 노하우와 최신 경영학 이론을 녹인 ‘Dr MBA의 원장실 경영학’이 최근 출간됐다. 저자인 조정훈 원장(이젤치과의원)은 서울대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 석사(EMBA) 졸업, ㈜디에프덴탈프렌즈와 이젤치과그룹 대표를 맡고 있는 경영 전문가지만, 20여 년간 경기도 오산 한자리에서 치과의원을 운영해온 개원의이기도 하다. 조 원장은 치과의사로서 저성장 시대, 저수가 경쟁 등으로 어려움에 봉착한 개원가의 어려움을 깊이 공감하며, 후배 치과의사들의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경영 참고서가 돼주고 싶어 이번 저서를 집필했다고 취지를 밝혔다. 기존 치과 경영서와의 차별성도 강조했다. 조 원장은 “일본이나 미국의 치과 네트워크 창립자가 만든 서비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병원 운영서 또는 기존 경영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의료관리학 교과서가 있었지만 모두 20년 전 이론을 바탕으로 했기에 현실성이 떨어졌다”며 “이번 저서는 MZ세대를 위한 인사관리부터 선진국 시대를 맞이한 환자들의 서비스 요구도 등 최신 트렌드에 맞춰 집필했다”고 소개했다. 조 원장은 치과의사가 경영학적 교양을 갖고 의료기관의 주인으로서 경영해야 생존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조 원장은 “경제적 파산을 당하고 의료사고와 직원들의 파업으로 스스로 삶을 끝낸 동료 의사의 장례식 장에서 다른 길을 찾아야 한다고 깨달았다”며 “의료인이 경영학적 교양을 갖지 못하고 경영을 타인에게 맡긴다면 머잖아 의료 산업화 시대 속 서커스단의 곰이 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저수가 경쟁, 불법의료광고 등이 잠식 중인 현재의 개원가에도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것이 조 원장의 설명이다. 조 원장은 “이 책은 ‘의료 현장 경험과 경영학의 첫 만남’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대다수의 의사들이 경영과 경제를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경영학적 이론을 설명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웠다. 의학계열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에게는 사전 답사를 위한 의료사업 소개서로, 경영에 고충을 겪는 의료인에게는 경영학 참고서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치의학 온·오프라인 교육 플랫폼 덴탈빈이 실전에서 꼭 필요한 임상 팁을 공유하는 프렙 세미나를 4월 초 개최한다. 덴탈빈은 오는 4월 6일과 7일 총 2회에 걸쳐 덴탈빈 디지털 교육원에서 나기원 원장(연수서울치과의원)의 ‘Tooth preparation Hands-on Course’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 원장은 ▲Basic principles of Tooth preparation을 시작으로, ▲Considerations for posterior tooth prep ▲Temporarization on post. Crown ▲Hands-on : post. Crown prep & Temporarization ▲Considerations for inlay prep ▲Cementation & Bonding ▲Hands-on: Inlay prep ▲Considerations for anterior tooth prep ▲Temporarization on ant. Crown ▲Hands-on: ant. Crown prep & Temporarization 등의 커리큘럼으로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핸즈온의 경우 Micro NX ELEC Ⅱ mini(치과용 모터), Medit i700(i500), 실습용 마네킹, Bur, 프렙모형, 임시치아재료가 사용될 예정이며, SurgiMag Loupes 제공으로 임상과 같은 환경을 조성해 진행한다. 실습에서 사용한 재료(프렙 모형, 임시치아재료)는 수강 후 모두 제공된다. 특히 실제 강도와 비슷한 레진 치아를 제공해 프렙 실습을 마네킹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지대치 형성을 쉽게 할 수 있는 임상적인 팁을 알려주고, 3D 스캐너를 통해 정밀 수치를 눈으로 보며 임상에서 즉시활용 가능한 팁을 공유하는 것이 세미나의 목표다. 나 원장은 “프렙에 대한 피드백과 기본적인 원칙 등 수복물 관점으로 봤을 때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춰서 프렙해야 좋은 프렙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임상 팁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덴탈빈 관계자는 “항상 인기가 좋은 프렙 핸즈온은 대기 및 조기마감 등 많은 임상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어 올해 역시 성원에 힘입어 진행하게 됐다”며 “온라인 강의에서 기본개념, 오프라인에서 실습 위주로 임상가들의 술기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문의 070-4259-5586(덴탈빈 교육팀).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가 오는 1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대치과병원 8층 강당에서 춘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정진우 회장은 “이번 춘계학술대회에서는 구강내과학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부터 구강안면통증에 대한 다각적인 최신 지견 및 미래 인공지능 시대가 치의학 및 구강내과학에 던지는 메시지를 조명해 보고, 함께 토의할 시간을 가지려 한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Expanding the Horizons of Oral Medicine through the Basic’라는 대주제로 열린다. 첫 번째 세션의 각 대학 석박사학위 취득자들의 학위논문발표를 시작으로, 두 번째 세션에서는 옥수민 부산대 구강내과 교수가 ‘연구윤리, Informed consent부터 출판까지’, 국시원 치과의사 시험위원장 및 실기시험 전문위원인 전양현 경희대 구강내과 교수가 ‘국가적 수준의 치과의사 기본역량과 구강내과학’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 세 번째 세션에서는 유지원 조선대 구강내과 교수가 ‘Control of comorbidities in orofacial pain’, 2023년 뇌신경과학회 장진학술상 및 서울대 학술연구교육상 수상자인 이성중 교수가 ‘A target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TLR2 for the treatment of nerve injury-induced neuropathic pain’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끝으로 네 번째 세션에서는 강예지 한양대 의학교육학교실 교수의 ‘인공지능의 시대, 치의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김문종 관악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의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al medicine’, 박재화 중앙대 소프트웨어학부 교수의 ‘인식, 추상, 추리 그리고 인공지능’ 등 강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사전 등록은 오는 12일까지고 디브이몰을 통해 접수가 진행되며 치대·치전원 학생 및 인턴은 무료다. 수강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 점수 2점 및 턱관절구강내과인정의 보수교육 점수 5점이 인정된다. 자세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울산지부가 ‘2024 영남국제치과종합학술대회 및 기자재전시회’(이하 YESDEX 2024)의 성공 개최를 위해 본격적인 행사 준비에 들어선다. 울산지부는 최근 마이스산업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11월 22~24일까지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YESDEX 2024를 위해 지속 협력하기로 다짐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강경동 울산지부장, 이상엽 조직위원장, 이충주 사무총장, 노량석 학술본부장, 조재형 전시본부장을 비롯해 김한수 마이스산업연구원 대표가 참석했다. YESDEX는 영남권 5개 지부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로 올해는 울산지부가 주최한다. 특히 이번 YESDEX 2024는 치협과 공동 주최하는 만큼 수준 높은 강연과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행사로 협업하게 된 마이스산업연구원은 전시컨벤션 전문기업으로 연간 30건 이상의 행사를 운영하는 영남권 전시컨벤션 분야 선도기업이다. 울산지부는 이 같은 장점을 살려 이번 협약을 통해 행사 기획부터 운영까지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하는 한편, 향후 지속될 YESDEX를 위해 성공적인 운영모델을 만들어 나가기로 약속했다. 강경동 울산지부장은 “13년째를 맞이한 YESDEX가 최상의 파트너를 선정한 만큼 그동안의 노하우와 경험을 십분 활용해 회원들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가 기업들에게는 최고의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만남을 심미치과적 시선으로 조망하는 학술의 자리가 마련된다. 대한심미치과학회 부산‧울산‧경남지부는 4월 6일 오후 2시 30분 부산 벡스코 제1회의장에서 춘계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심미로운 만남’을 대주제로 삼은 이번 학술집담회에는 심미치과 분야 국내 저명 연자 3인이 나선다. 조동현 원장(조기종치과의원)은 ‘크렉 치아의 접착 수복을 활용한 접근’, 이소현 교수(부산대치전원 치과보철학교실)는 ‘Utilization of analog and digital for esthetic and functional prosthesis’, 이희경 원장(이희경덴탈아트치과)은 ‘For the longevity of esthetic restorations’를 주제로 심도 있는 강연을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 사전 등록은 4월 4일까지며, 현장 등록도 받는다. 심미치과학회 회원 및 비회원 구분 없이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참가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된다.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가 ‘의료환경의 변화와 데이터 덴티스트리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학술 집담회를 오는 23일 오후 5시부터 영등포역 KTX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집담회에서는 치과 의료계의 최신 동향과 미래 전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자로는 윤홍철 아이오바이오 대표이사(강남베스트덴치과의원 원장)가 나설 예정이다. 윤 대표는 환자 중심 치료 접근 방식을 강조하며, 스크리닝에서 관리에 이르는 5단계 진료 시스템의 중요성을 전파해 온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큐레이(Q-ray) 기술을 개발해 치아 우식증 검사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학술 집담회에서는 치과 의료계가 직면한 고령화 문제, 인력 수급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 디지털 장비의 발달과 그 접목 방안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윤 대표는 “치과 의료 서비스의 미래는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의 접목에서 크게 변화할 것”이라며 “이번 집담회가 치과 의료 전문가들에게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치과의사 참석자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학술대회 등록은 치과의사, 치과위생사는 물론 학생, 일반인 등 누구나 가능하며,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2일까지 사전 등록하면 된다.
턱관절 치료를 통해 전신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론을 배울 수 있는 연중 세미나 코스가 개강한다.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이하 KASD)는 3월 16일부터 시작해 11월까지 세미나 코스를 개강한다고 밝혔다. 강연에는 김성욱 원장(캘리포니아미형치과), 박만규 원장(논현수치과), 유춘식 원장(광명 유치과), 이승호 교수(전 서울대 치주과 외래교수) 등 총 4인의 연자가 나선다. 각 연자는 턱관절 치료와 전신 건강의 연관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강연은 특강, 본강의, 심화강의 등 총 3개 코스로 나눠 순차적으로 열린다. 먼저 TMJ 특강은 3월 16일 개강해, 4월 13일과 5월 11일 3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각 연자는 턱관절 진단, 교합과 호흡, 턱관절과 연관된 목‧어깨 통증, 치주치료의 기본 등을 다룰 예정이다. 본강의는 6월 2일 시작해 7월 14일과 8월 18일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코골이‧이갈이‧수면무호흡증‧시차적응‧불면증 진단과 치료, 보톡스를 이용한 얼굴의 미용 진료, 보철‧교정으로 마무리하는 턱관절 치료 등이 제공된다. 심화 강의는 9월 1일 시작해 10월 13일, 11월 3일 열린다. 강연에서는 치과 재료 선택, 임플란트 주위염, 자세와 TMD의 연관성 등을 다룰 계획이다. KASD는 “턱관절은 연관된 부분이 너무 많아, 아직 현대의학이 완전히 정복하지 못한 분야로 언급된다”며 “임플란트와 함께 치과계의 또 다른 블루오션이 될 수 있는 턱관절 치료를 공부하며 치료 받는 세미나에 초대한다”고 밝혔다.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 주관·TEAM AZIT 주최의 임플란트 장기 연수회 ‘AZIT’가 지난 2월 24일 메가젠 강남사옥에서 개강식을 갖고 본격적인 교육에 들어갔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짧은 기간의 임플란트 교육, 즉흥적인 교육에서 탈피하고자 기획된 AZIT 연수회는 2년간 40강의 장기 교육으로, 임플란트 기초부터 어드밴스, 심미와 전악보철 등을 포함한 모든 영역을 다루며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준비한 연수회다. 개강 첫날은 김용진 센터장(포천우리병원 치과센터)의 ‘Implant overview & introduction’ 첫 강연을 시작으로, 오리엔테이션 시간이 이어졌다. 오리엔테이션에서는 TEAM AZIT 수강생들의 향후 2년간의 계획과 임하는 각오 등을 발표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날에는 손영휘 원장(e-좋은치과)의 강연과 박원서 교수(연세대 통합치의학과)의 특별 강연이 마련됐다. 이를 통해 연수생들은 임플란트를 위한 해부학, 방사선학 및 전신질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시 고려사항 등을 학습했다. AZIT 연자인 최 진 원장은 “치과 임상 생활을 즐겁게 하고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으로써 어떠한 점에서 즐거움을 가지고 있는지 아지트를 통해 나누고 싶다”고 밝혔고, 손 원장은 “같은 술식을 하지만 내가 한 술식에 대해 ‘왜?’ 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근거를 갖고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하늘과 땅 차이이므로 그런 점들을 함께 공부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메가젠 관계자는 “AZIT를 통해 수강생들은 임플란트를 다루는데 필요한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내용 뿐 만 아니라, 토탈 덴탈 케어 관점에서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강생분들이 임상가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을 약속하며, 앞으로의 활동과 행보에 많은 관심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첫 임플란트 장기연수회 ‘메가스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메가젠은 ‘메가스쿨 제1기 졸업식’을 지난 2월 18일 메가젠 강남사옥에서 개최했다. 지난해 9월 16일 개강을 시작으로 총 20회차로 진행된 메가스쿨은 치과 임플란트 임상의 지속 발전과 향상 및 글로벌 임상 치의학 선진국으로써의 위상을 고수하기 위해 기획된 연수회다. 소수정예, 기수단으로 운영되며, 교장을 맡은 창동욱 원장(윈치과)을 비롯해 총 14명의 분야별 국내 최고 연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커리큘럼에서는 임플란트 식립부터 간단한 GBR, SINUS까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노하우 및 가이드, 이론강의 – 핸즈온실습 - Live Surgery 현장체험학습 등의 과정을 집중 교육받아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 경험을 습득할 수 있었다. 특히 3회로 구성된 라이브서저리에서는 수강생이 그간 습득한 지식과 술기를 실전에 적용해 직접 수술을 집도했다. 졸업발표회에서는 20강 동안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R2Guide를 활용한 ▲발치즉시 Live Surgery Review ▲쉽고 빠르게 비우고 채워넣기: 임플란트 제거 후 치조제 보존술 ▲메가스쿨이 일깨운 치과의사의 지덕체 등 다양한 주제와 임상 케이스로 수강생들의 개별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전 과정을 이수한 수강생 전원에게 수료증이 수여됐으며, 뛰어난 학업 성취와 잠재력을 보여준 수강생 7인에게 장학금이 지급됐다. 메가젠은 메가스쿨 졸업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해 수강생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 졸업생은 “미국에서 치과대학을 졸업했는데 7년간의 긴 공백기에 부담감이 있었지만, 메가스쿨을 통해 동기들의 응원, 연자분들의 가르침과 지지, 최신 트렌드를 습득하며 능력을 키워 직장까지 찾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메가젠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 발전 가능한 임플란트 치과학의 메카’를 목표로 치의학의 미래를 이끌어 갈 분들을 발굴하고 키워내고 더 높을 레벨로 리드해 가도록 하겠다. 메가스쿨 2기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메가스쿨 2기는 8월 31일 입학식을 시작으로, 내년 3월까지 메가젠 강남사옥에서 주말마다 진행되며, 총 20회 수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명이내 소수정예로 수강생을 모집할 예정이며, 수강 신청은 메가젠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일반 개원의로서 쉽고 간단한 부분교정,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진행하는데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 기준과 치료법을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최용현 교수(건국대학교 치과교정과)가 진행하는 ‘제22회 STM 교정 아카데미 베이직코스 & 온라인강좌(www.dentipia.com)’가 오는 23일 강변 STM치과의원에서 첫 강의를 시작으로 7월 13일 마지막 강의까지 총 12회에 걸친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이 연수회는 일반의로서 가능한 부분과 전문가가 해야 할 부분을 확실하게 분류해 주며, 원론적이고 이론적인 부분보다 일반의로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부분들을 SWA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세미나 코스다. 구체적인 강의내용은 ▲Case 분석 및 치료방법 선택법 ▲SWA치료법의 특징 및 사용법 ▲Bracket positioning & leveling ▲치아이동의 기본원리 및 Biomechanics ▲Leveling & Alignment법 ▲발치 및 비발치교정의 특성 및 치료법 ▲Finishing, Debonding, Retention ▲Wire 선택법, Rectangular wire 사용법(토오크 & Bending) ▲Intrusion, Extrusion, Forced eruption 등이다. 아울러 Typodont setup, Wax상 Model setup 만드는 법 등 각 강좌별 주제에 맞춘 실습과정이 진행된다.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하면 온라인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 상담실을 이용해 본인의 Case를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 STM치과에서의 Observation과 현장 실습이 언제든지 가능하며, 추가비용 없이 오프라인 강의를 재수강 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 수강자는 소정의 비용을 내고 실습만 별도로 참여할 수 있다. 최용현 교수는 “교정진료를 하는데 체계가 안 잡히는 경우, 일반의로서 가능한 부분에 대한 구분이 잘 안 되는 개원의들을 위한 강의다. 교정 진료의 기초를 정립하고 자신감을 얻고 싶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등록문의: 강변STM치과